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장충단공원 변화에 관한 시계열적 연구

        김해경 ( Hai Gyoung Kim ),최현임 ( Hyun Im Choui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4

        장충단(長忠壇)공원은 현재 남산자락 내 공원으로 인식되지만, 조선 시대 남소영(南小營) 터에 대한제국의 군인 추모를 위해 조성된 장소였다. 일제강점기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공원으로 변모했고, 식민지의 타당성을 표현하는 공간구성요소가 도입되었다. 이에 일제강점기 장충단공원의 시계열적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제국을 위해 싸운 군인들을 위한 추모공간이었다. 1900년 남산 자락의 제한된 진입공간을 지닌 터에 중심건물인단사(壇舍)와 부속건물을 지형에 위요되도록 배치했다. 1909년까지 봄가을에 정기적으로 추모 제례를 진행했다. 둘째, 경성부민을 위한 도시공원이었다. 1919년 경성부는 장충단을 공원으로 조성하여 제례를 금지시켰고, 단사를 제외한 기존 건물은 공원관리 시설로 활용했다. 다양한 계층이 이용할 수 있도록 휴게시설과 편의시설이 보완되었고, 대규모 벚나무 식재로 관앵(觀櫻)과 탐화(探花)의 명소가 되었다. 셋째, 식민지에 영향을 준 인물을 배향하는 추모공간을 조성했다. 1932년 이토히로부미를 추모하는 박문사(博文寺)가 장충단 권역을 내려다 보이는 위치에 자리잡았다. 이때, 조선의 전통건축을 이축(移築)하여 박문사의 부속건물로 활용했다. 관광지화 전략으로 경성유람코스에 박문사를 포함하여 다수가 경성 시내와 장충단 권역을 시야에서 내려 보는 경관을 체험하도록 유도했다. 장충단공원은 일제강점기 이질적 구성요소가 도입되어 공간이 지닌 성격조차도 변화되거나 재생산되었다. 향후 공원에 대한 재정비 사업의 진행 시 과거 기억을 존중하는 공간계획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Jangchungdan(奬忠壇) Park is now perceived as a mere park at the foot of Namsan mountain, but originally it was created to commemorate soldiers of Korean Empire on a site which name was Namsoyeong(南小營) during Joseon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transformed into a park due to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so the components expressing the validity of the colonial rule were introduced into the park. This paper examines the time sequential changes of Jangchungdan Park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as given below. Firstly, the park originally was a space to commemorate the soldiers who fought for the Korean Empire. It was built on formerly restricted area at the foot of Namsan Mountain in 1900, and it was arranged putting the ceremonial shrine Dansa (壇祠) as a central building and the annexes in the surroundings of it. The memorial ceremonies were held regularly in spring and autumn until 1909. Secondly, it became a city park for citizens of Gyeongseong-bu(the name of Seoul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authorities of Gyeongseong-bu reorganized Jangchungdan as a park in 1919, prohibited the performance of memorial ceremonies, and the existing buildings except the ceremonial shrine Dansa began to be used as park management facilities. Resting areas and amenities were supplemented for the usage of people from various backgrounds, and the large scale planting of cherry trees made the park a famous place to enjoy cherry-blossoms and other flowers in spring. Thirdly, it was reconstructed as a space to honor the influential personalities of Japanese colonial system. In 1932, Bankmun temple (博文寺) to commemorate Ito Hirobumi was constructed at a location that made it possible for a number of people to overlook Jangchungdan area. During that time, the buildings of traditional Joseon architecture were removed and reconstructed to serve as annexes to Bankmun temple. Due to the strategy to make Jangchungdan park a tourist attraction, Bankmun temple was included into the Gyeongseong sightseeing course, since the wide panorama of Jangchungdan Park and the whole city of Gyeongseong was opening from the temple. Various different components were introduced into Jangchungdan Park due to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therefore the nature of the park was either altered or reproduced. Hopefully, the park rearrangement works will be executed paying respects to the memories of the past hereaf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