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심리특성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최항준(Hang-Joon Choi),조수경(Su-Kyoung Cho),Young-Hee Kwa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심리특성(어머니 자아존중감, 어머니 자기효능감, 어머니 우울)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의 설명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08년도에 출생한 영유아 1,802명의 아버지와 어머니이며 이를 대상으로 한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어머니의 심리특성이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특성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특성은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특성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 KCI등재

        취업모의 심리변인, 사회적 지원변인, 경제변인 및 자녀(영아)의 기질변인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최항준(Choi, Hang-Jo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3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 현상을 취업모의 심리변인, 사회적 지원변인, 경제변인 및 영아의 기질변인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어머니 심리적 특성 변인, 사회적 지원 변인, 영아기질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을 종속변인으로 선택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으로 이미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하고 있는 취업모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자료는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PSKC) 2차년도(2009)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총 1,904가구 중 후속출산을 계획하고 있는 취업모 2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와 각 변인 간의 직·간접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유의미한 변인은 어머니 심리적 특성, 부모 자녀가치, 양육스트레스였다. 매개변인인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정된 주요한 변인들의 경로 중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은 기질 중 정서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 부모 자녀가치였다. 기질 중 정서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 부모 자녀가치 변인은 양육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경제활동변인과 자녀양육, 가족 및 친족 범위의 사회적 지원, 부부간의 가사 및 육아의 역할분담 경향,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변인, 사회적 지원이었다. 특히 경제변인은 후속출산계획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w birth rate of working mothers with psycho-social factors within the family.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infant temperament variables were chose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orking mothers’ subsequent birth plan was a dependent variable. The subjects of study were mothers who were working and raising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variables which were related to the subsequent birth plan of working mothers. If the causes for the low birth rate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effective policy making.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metho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latent variables, which were abstract concepts rais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It was expected to build up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 structural equation. In this study, the data were from the second-year study of the Panel of South Korean Children (PSKC) conducted by the Child 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PSKC study included 2,078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were born at medical institutions (It is not clear whether you mean the children or the mothers were born at these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except Jeju. 226 households dropped out from the first-year study and 52 households were added newly to the second-year study, so 1,904 households ended up participating in the study. SPSS 12.0 was used for analysis in this study. Cronbach"s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AMOS 7.0 was used to fi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paths of variables on the mother"s subsequent birth plan.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models were analyzed step-by-step from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final model. The hypothetical model was used to presum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lat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extracted from each of the theories, and the final model was used to choose the rational selection model that was most appropriate for this study.

      •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가정내 부정적 생활사건에 따른 부모와 자녀 변인 연구

        최항준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19 人文論叢 Vol.36 No.-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지식과 가정내 부정적 생활사건에 따른 부모와 자녀 변인의 차이 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11∼18개월의 영아 1,904명과 그의 부모이다. 사용된 자료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2009) 2차년도 데이터로 기술통계, 다중응답분석, t-검증 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양육지식이 양호한 집단은 월가구소득, 부모됨의 태도(정서적), 자기효능감, 자아 존중감, 자녀의 활동적 기질, 의사소통능력이 높았으며, 양육지식이 적은 집단은 부모됨의 태도(도구적), 우울, 양육스트레스에서 각각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가정내 부정적 생활사건이 덜한 집단은 월가구소득, 결혼만족도, 남편의 양육참여,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녀의 정서적 기질에서, 가정내 부정적 생활사건이 많은 집단은 부부갈등, 우울, 양육스트 레스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nalyze the differences of children’s and parents’ variables between lowest and highest groups of parenting knowledge and negative life events within family. The data were from 1,904 children aged 11 to 18 month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e 2nd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2009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ultiple-response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group in parenting knowledge, also showed higher scores in monthly income, emotional parenting attitude, self-efficacy, self-esteem, child’s active tempera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lowest group in parenting knowledge, showed higher scores in instrumental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stress. The group with least negative life events within family showed higher scores in monthly income, marriage satisfaction, husband’s parenting participation, self-efficacy, self-esteem, and child’s emotional temperament. The group with highest negative life events within family showed higher scores in couple conflict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