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잎사귀 질병 검출을 위한 관심 영역 특징 추출 기반의 어텐션 강화 YOLO 모델

        최태민(Tae-Min Choi),손창환(Chang-Hwan Son),이동혁(Donghyuk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4

        The YOLO model, which is widely used in the existing object detection, excludes the attention function that can learn which feature vectors are more importa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ttention YOLO model that can improve the object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existing YOLO model. The proposed attention model was conceived from the fact that there is no information on diseases in the background area of the input leaf image, and spots and color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iseases exist only inside the leaf. By combining the YOLOs feature extraction subnetwork with the image segmentation subnetwork capable of dividing the background, leaf, and disease areas from the input leaf,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ability to distinguish features in the region of interest. In other words, a new attention model that can spatially reinforce the importance of disease-related features in the YOLO model is introduced. In addition,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attention YOLO model can improve the detection performance by about 0.06 in the mean Averaged Precision(mAP) evalua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YOLO model.

      • 잎사귀 질병 검출을 위한 어텐션 YOLO 모델

        최태민(Tae-Min Choi),손창환(Chang-Hwan S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6

        기존 객체 검출에서 사용되고 있는 YOLO 모델은 특칭 추출과 분류를 한 번에 진행하여 빠르고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실시간 객체 검출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성능을 보이지만, 정확도 측면에서는 조금 아쉬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YOLO 모델을 잎사귀 질병 검출에서 활용할 때, 어텐션 기법을 활용해 잎사귀 질병의 특징을 적용한 모델과 기존 객체 검출 모델들의 성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The YOLO model is characterized by a simple feature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at once. Although it shows performance enough to be used in real-time object detection, It is true that it is a bit disappointing in terms of accuracy. When using this YOLO model for leaf disease detection, we intend to create and apply a feature map for the region of interest to improve accuracy. Also, we want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applied model and the existing object detection models.

      • 온라인 가공식품의 수량과 중량에 따른 최저가격 검색 모델

        최태민 ( Tae-min Choi ),임희석 ( Heui-seok L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가공식품이라는 특정 도메인에서는 기존 검색엔진에서 많이 활용되는 BM25 만을 가지고 최저가 검색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BM25 외에도 검색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HuggingFace 에 공개되어 있는 KoELECTRA 를 활용하여 개체명 인식(Named Entity Recognition 과 이진 분류모델(Binary Classification)을 Fine-tuning 하고 BM25 와 연계하여 구축한 검색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BM25 대비 성능 평가를 통해 효과를 검증하였다.

      • KCI등재

        여름 질소 시비량에 따른 ‘부유’ 감나무의 생장과 노화 중 잎의 양분 변화

        최성태(Seong-Tae Choi),박두상(Doo-Sang Park),안광환(Gwang-Hwan Ahn),김성철(Sung-Chul Kim),최태민(Tae-Min Choi)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6

        본 연구는 여름 N 시비가 4년생 용기재배 유목의 과실 특성, 수확 후 잎의 양분 변화, 저장양분의 축적 및 이듬해 초기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시비는 요소를 사용하여 N을 주당 0g(무시비구), 6월 36g 또는 6-7월 72g씩 관주하여 처리하였다. 11월 3일에 모든 과실을 수확하였는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시비구의 과실이 큰 경향이었다. 무시비구의 과실은 N 농도가 낮았으며, 과육이 무르고 색도와 당도는 높아 성숙이 빨랐음을 나타내었다. 잎의 SPAD 값은 11월 3일에 무시비구에서 19.2로 가장 낮고 72g 시비구는 54.9로 가장 높았으며, 11월 14일까지 모든 처리구에서 직선적으로 감소하여 이 기간에 잎의 노화 속도가 빨랐음을 알 수 있었다. 비엽중은 무시비구에서 가장 낮았고 모든 처리구에서 수확 후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11월 3일에 채취한 잎의 N은 무시비구에서 0.87%였으나 36g 시비구는 1.18%, 72g 시비구는 1.52% 증가하여 시비량의 효과가 뚜렷하였다. 잎의 가용성당, 전분, 아미노산 농도는 무시비구보다 시비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수확 후 11일 동안 잎의 단위면적당 N, P, K, 가용성당, 전분, 아미노산 함량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감소량은 무시비구에서 가장 적었다. 그러나 잎의 Ca와 Mg, 단백질 함량은 일관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11월 14일에 채취한 휴면가지의 N농도는 무시비구보다 시비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고 가용성당, 전분, 아미노산, 단백질 농도도 시비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시비량이 많을수록 처리 당년의 주간단면적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처리 이듬해 1년생 가지당 착뢰수는 무시비구에 비해 시비구에서 5배 이상 많았으며, 72g 시비구의 총신초장은 무시비구의 1.9배에 달하였으나 시비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여름 N 시비량은 과실의 성숙, 잎의 양분 이동 및 저장양분 축적 변화 등 고려하여 조절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With pot-grown 4-year-old ‘Fuyu’ persimmon tre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different nitrogen (N) rates during summer on fruit characteristics, changes of leaf nutrients after harvest, reserve accumulation, and early growth the following year. A total of 0, 36 g N in June, and 72 g N in June and July was fertigated to each tree using urea solution. All the fruits were harvested on Nov. 3. Although not significant, fruits were larger for the 36 g and 72 g N than the 0 g N. Fruits for the 0 g N, having lower N concentration, were softer and had a better coloration and higher soluble solids, indicating that they matured earlier. SPAD value on Nov. 3 was 19.2 for the 0 g N and 54.9 for the 72 g N, and then the values linearly decreased in all the treatments by Nov. 14, exhibiting rapid leaf senescence. Specific leaf weight, being the lowest for the 0 g N, also gradually decreased during this period. Increasing N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trunk. Leaf N concentration on Nov. 3 was 0.87% for the 0 g N, whereas it was 1.18 and 1.52% for the 36 g and 72 g N, respectively. The N fertigation tended to increase leaf concentrations of soluble sugars, starch, and amino acids. Contents of N, P, K, soluble sugars, starch, and amino acids per unit leaf area gradually decreased in all the treatments during the 11 days after harvest, and the extent of the decrease was the lowest for the 0 g N. On the other hand, those of Ca, Mg, and protein did not consistently change during this period. The N fertigation resulted in higher concentrations of N in dormant shoots on Nov. 14, and although not great, it also increased soluble sugars, starch, amino acids, and protein. Clear differences were found in number of flower buds per one-year-old branch and total shoot length per tree the following year. The 72 g N trees had 5.6-fold more flower buds and 1.9-fold more shoot length, compared with those of 0 g N trees. However, it was noted that tree growth the following yea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36 g and 72 g N the previous year. It was concluded that N rate during summer should be adjusted with considering the changes of fruit maturation, mobilization of leaf nutrients, and reserve accumulation.

      • KCI등재

        강전정에 의한 저수고 감나무의 시비량 조절에 따른 수체 생장 및 과실 생장 반응

        최성태(Seong-Tae Choi),박두상(Doo-Sang Park),안광환(Gwang-Hwan Ahn),김성철(Sung-Chul Kim),최태민(Tae-Min Choi),노치웅(Chi?Woong Rho) 한국토양비료학회 201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6 No.2

        Lowering tree height has been a key practic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persimmon orchard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whether fertilization rates could be reduced after lowering the tree height by heavy pruning. Twelve-year-old ‘Uenishiwase’ persimmon trees were lowered to 2 m from over 3 m by -severe dormant pruning, and then conventional fertilization rate was applied to some trees in April (N 224 g, P₂O5 172 g, and K₂O 172 g per tree), June (N 112 g and K₂O 99 g per tree), and October (N 112 g and K₂O 99 g per tree). At the same time, 1/3 or 2/3 of the conventional rate and none were applied to other trees, respectively. Non-application decreased shoot length and reduced number of unnecessary secondary shoots by 39%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ate, not affecting yield and weight, color, firmness, and soluble solids of frui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the yield and the fruit characteristics among the trees fertilized with different rates. Concentrations of soluble sugars, starch, N, and K of dormant shoots in March of the following year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the different treatments of the previous ye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hoot growth and yield among the treatments the following year when the same fertilization rate was supplied to all the trees. Results indicated that fertilization rate could be reduced to less than 1/3 of conventional rate to save the cost and stabilize shoot vigor when tree height is lowered by severe pruning.

      • KCI등재

        요소 및 제일인산칼륨 엽면시비가 초가을 잎 손실 감나무의 과실 특성과 저장양분 축적에 미치는 영향

        최성태(Seong-Tae Choi),박두상(Doo-Sang Park),안광환(Gwang-Hwan Ahn),김성철(Sung-Chul Kim),최태민(Tae-Min Choi) 한국토양비료학회 201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6 No.1

        초가을 태풍에 의해 잎 손실이 심해지면 감나무의 과실 품질이 나빠지고 이듬해 생장에 필요한 저장양분이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가림하우스 내 50 L 용기에서 재배한 2년생 ‘부유’ 감나무를 대상으로 9월 상순에 인위적으로 적엽한 후 엽면시비 효과를 검토하였다. 9월 9일에 나무 전체 잎 수의 75%를 고루 적엽한 후 9월 중순과 10월 중순에 요소 0.5%액을 8회 엽면시비하거나 요소와 제일인산칼륨을 교호로 4회씩 엽비시비 (요소+KP 시비구)하는 처리를 하였다. 적엽한 나무 일부는 시비를 하지 않고 대조구로 두었다. 요소 엽면시비로 11월 6일 잎의 N과 P 농도가 대조구에 비해 약간 증가한 반면, 요소+PK 시비에 의해 P와 K농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엽면시비는 과실 비대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나 과피의 착색을 감소시키는 경향이었다. 과실 당도는 요소 또는 요소+NK 시비로 대조구보다 각각 1.5, 1.0°Brix가 높아졌다. 엽면시비로 세근의 건물중이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영구기관인 지상부 목질과 뿌리의 건물중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영구기관의 N 농도는 엽면시비구에서 높은 경향인 반면 P와 K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가용성당 또는 전분 농도는 엽면시비 방법에 관계없이 신초, 주간 또는 세근에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엽면시비가 잎 손실 감나무의 과실품질과 저장양분 회복에 부분적으로 유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A severe defoliation by typhoon in early autumn reduces fruit quality for the current season and reserve accumulations for the next seas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oliar applications during the autumn on alleviating the damages after defoliation. Leaves of 2-year-old ‘Fuyu’ trees, grown in 50-L pots under a rain-shelter, were 75%-defoliated on September 9. In mid-September and early October, trees were treated either with eight foliar applications of urea or with four alternating applications of urea and KH<sub>2</sub>PO<sub>4</sub> (urea + KP application), all at 0.5% (w/v). Trees untreated after the defoliation served as the control. The urea applications slightly increased N and P concentrations of the leaves collected on November 6, while urea + KP applica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P and K concentrations. Foliar applications did not affect fruit growth, but tended to decrease skin coloration. Fruit soluble solids increased by 1.5 and 1.0 °Brix for urea and urea + KP applications,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dry weight of fine root for the foliar application treatments but not in those of aerial woods and larger roots. With the foliar applications, N concentration tended to increase in the permanent organs but not P and K, whereas soluble sugars and starch notably increased in shoot, trunk, or fine root regardless of the different applications.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liar applications could partially help to restore fruit quality and carbohydrate accumulations in the defoliated trees.

      • KCI등재후보

        변칙주간형을 개심형과 Y자형으로 갱신한 ‘부유’ 감나무의 수체 반응

        최성태(Seong-Tae Choi),김학규(Hag-Kyu Kim),김성철(Sung-Chul Kim),최태민(Tae-Min Choi),강성모(Seong-Mo Kang),박윤문(Youn-Moon Park)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3

        2003년 봄에 주지가 5개인 변칙주간형의 8년생 ‘부유’ 감 나무를 강전정으로 개심형(주지 3개)이나 Y자형(주지 2개)으로 갱신하거나 변칙주간형으로 유지시켜 3년 동안 수체생장과 과실생산을 조사하였다. 주간단면적 증가량, 수고, 선단 신초장, 전정량은 처리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주당 신초 수는 변칙주간형구에서 많았고 개심형과 Y자형 갱신구에서 적었다. Y자형으로 갱신한 나무에서는 갱신 처리한 당년에 도장지가 많이 발생하였다. 주당 수량은 변칙 주간형구에서 많은 반면 생산효율은 개심형 갱신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착과율, 과실 색도, 당도는 처리구간에 일정한 차이가 없었으나 과실 크기는 개심형 갱신구에서 큰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결과로 ‘부유’ 단감의 수형을 개심형 또는 Y자형으로 갱신할 때는 밀식 정도를 고려하여 수형을 선택하고, 수세안정과 결실량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었다. ‘Fuyu’ persimmon trees had been grown for eight years in a modified-leader (ML) form with five scaffolds. In spring of 2003, they were heavily pruned for tree form renovation to an open-center (OC) having three scaffolds or a Y form having two. Tree growth and the fruit production were then monitored for three years. Tree forms significantly affected neither the growth of trunk, tree height, and terminal shoots nor pruning weight. However, renovating from an ML to an OC or a Y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of shoots per tree. The renovating to Y form tended to stimulate more water sprouts but with an inconsistent year-to-year variation. Per-tree yield and yield efficiency were higher in ML and OC trees, respectively. Fruit set, fruit color, and soluble solids of fruits were not consistently changed during the three years depending on tree forms, while average fruit weight tended to be higher in OC trees. Data suggested that tree density be considered together when renovated to OC or Y form, and that the renovated trees be cared for tree vigor and fru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