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ouble Covering 기법을 이용한 고강도 실크 직물 개발

        최주현(Choi, Ju Hyun),백현국(Beak, Hyeon Kuk),조윤진(Cho, Yun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최근 친환경적이면서 기능적인 소재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크 더블커버링사를 개발하고, 개발된 실크 더블커버링사를 이용해 기능성 실크 직물을 제직하고자 하였다.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의 심사에 두 개의 초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꼬아서 커버링을 시도한 실크 더블커버링사를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실크 더블커버링사로 실크 직물을 제직하였으며, 개발 직물의 원단 강도가 일반 연사를 이용한 경우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발된 직물에 기능성 가공을 실시한 결과 실용성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개발 직물은 향후 인테리어용, 지갑이나 가방과 같은 패션잡화, 그리고 신발용 갑피로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volume of the functional textile market is gradually growing in Korea.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the double covering yarn and high strength silk fabric. The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silk double covering yarn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stretch and anti-bacterial, functional double covering yarn using nano silver was developed. Secondly, using double covering yarn, functional silk fabric was developed and its stretch was improved. Thirdly, to improve its functionality, the fabric was treated in nano silver padding and water repellency and antibacterial performance was improved.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strength silk fabric could be used for the interior fabric and the upper part of shoes.

      • KCI등재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진주 자유 시장 사례-

        최주현 ( Ju-hyun Choi ),김지회 ( Ji-hoe Kim ),이혜지 ( Hye-ji Lee ),조윤진 ( Yun-jin Ch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2 No.-

        연구배경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전통시장의 하나인 진주 자유 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을 통해 새로운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여 전통시장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전통시장의 현황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전통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현황을 분석하였다. 디자인 개발을 진행할 진주 자유 시장을 방문하여 사진 촬영, 관찰, 그리고 시장 상인회와의 인터뷰 등을 진행 한 후 로고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적 표현 요소에 중점을 둔 진주 자유 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하였다. 진주의 역사적 이미지와 캘리그래피가 적용된 현대적인 감각의 심벌과 가독성 및 주목성을 고려한 로고 타입을 디자인하였다. 그리고 심벌과 로고 타입의 조합형을 로고 디자인으로 제시하였다. 홍보 전략으로서 홍보 상품, 패키지, 간판, 배너, 그리고 시장 안내도 등의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결론 진주 자유 시장의 특성을 살린 로고 디자인의 개발을 통해 지역 전통시장으로서의 새로운 정체성 확립에 기여할 것이다.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the brand identity of the Jinju Jayu Market to create brand value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traditional market. Methods Research of the traditional market and brand identity, in combination with a field survey of the market through observation, photography, and interviews. The market`s brand identity was developed based on these studies. Result This study, focusing on the visual expressive factors, developed a brand identity, such as symbol mark, logo type, and logo. Symbol which was adapted calligraphy and modern design was developed. Logo type was designed with increasing readability and attractiveness. Lastly, logo combining symbol and logo type was suggested. The shopping baskets used in the new logo system were designed and produced for promotion. Designs of promotional gifts, packages, banners, and front sign designs were suggested for an integrated marketing strategy. Conclusion Developing the brand identity of the Jinju Jayu Market will help in establishing a new identity of the traditional market, using local identity, and calligraphy.

      • KCI등재

        문화예술공간 조성을 위한 지하철 도자벽화의 사례 연구

        최주현(Ju Hyun Choi),김신원(Shin Wo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르네상스 이후,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도시 곳곳에는 기계화, 대량생산화에 따른 인공적인 신재료에 편향된 건축양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지하철 역사 내의 벽면에 장식 벽화를 설치하여 밝고 생기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고자 자연적 요소를 도입하게 됨에 따라 자연친화적 소재인 흙을 활용한 도예작품이 지하철 공간에 설치되기 시작하였다. 서울특별시에서는 지하철 정거장을 문화예술의 공간으로 조성하고자 미술장식품 설치에 대한 세부시행 기준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도자벽화의 설치가 성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도자벽화의 조성 실태를 파악하여 도자벽화의 설치방안에 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지하철 공간을 서울의 도시문화를 대변하는 문화공간으로 발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지로는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문화열차 5, 6, 7, 8호선을 중심으로 도자벽화가 설치된 15개소의 정거장을 선정하였으며, 총 18개의 도자벽화를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진행을 위하여 분석항목을 크게 도자벽화의 작품 내용, 재료와 기법, 설치 및 관리로 분류하고, 항목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객관적인 상황과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항목간의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자벽화가 지닌 제한된 주제와 재료 및 표현기법, 설치장소의 한계를 찾아볼 수 있었으며, 작품설명판의 부재와 표기내용, 장애요소 등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에 지하철 역사의 정체성을 반영한 주제 선정과 흙의 가소성을 활용하여 도자재료의 특질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기법 개발, 계획단계에서부터 도자벽화의 입안을 검토하여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것을 지하철공간의 도자벽화에 관한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도자벽화 와 지하철공간의 환경 개선은 일상 속에서 친숙하게 예술을 접할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발전시켜 문화도시 서울시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자벽화가 설치된 지하철공간을 이용하는 시민들과 서울을 찾는 외국인에게 한국의 아름다운 도자예술을 소개하는 기회로 삼아 도자벽화의 조형성과 예술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After Renaissa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high developed high technology may cause to provide widely different type of architectural materials which was limited in the before. Also, more architects and designer is applying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to subway decoration because of new technology such as ceramics. As a result, city government of Seoul has settled a ``Regulation for art decoration and scripture for subway station`` to provide appropriate space design guideline. It has been caused to use ceramics often for wall decor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on history of ceramic material usage for station wall decoration and appropriate information for future development. In order to progress this study, it has been concentrated on subway line 5, 6, 7 and 8 which are operated by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15 stations with 18 case studies have been taken for the study. In order to overcome this study, subject has been divided into several subject categories such as story topic, material, technology for application, maintenance. Also, all categories have been taken to study for usage frequency to find out relationship of each other. This study has results that there are limited Story topics, Material, Technology for application and space usage allowed. Also, some of maintenance problem can be found such as no existing information board for the decoration. Ceramics decoration can provide some art experience for the people who use subway in daily base. Furthermore, the decoration of subway station with ceramics leads image of Seoul city to the more art friendly city. Also, tourist and visitor can have easily experience Korea traditional ceramic beauty when the ceramic art are being applied to subway station space with appropriate methods.

      • KCI등재
      • KCI등재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김현진(Kim, Hyun-jin),조윤진(Cho, Yun-jin),최주현(Choi, Ju-hy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 1859~1941)은 기억을 정신의 본질이라 보았다. 그는 의식이 곧 기억이며, 연속되는 흐름으로 우리 경험의 전체를 의미하므로 의식상태의 지속이 곧 기억이라고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1911~2010)의 작품을 분석하고 그녀의 과거에 대한 기억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시각화 되고 표현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기억에 대한 개념의 해석은 앙리 베르그송의 저서『물질과 기억』에서 제시한 개념을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개념을 통해 과거의 기억이 현재까지 이어져 서로 긴밀하게 미치는 상호적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베르그송의 기억 개념 본질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셋째, 기억에 대한 오브제를 작품으로 시각화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작품을 통해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이론을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9세기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해석 이론과 현대 섬유미술의 대표주자인 루이스 부르주아의 오브제 작품 간의 연결 고리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다양하고 깊이 있게 표현된 시각적 작품들이 여러 철학이론으로 해석되기를 기대한다. Henri Bergson(1859~1941) regarded memory as the essence of the mind. He explained that consciousness is a memory, and that memory represents the whole of our experience in a continuous stream, so the continuation of consciousness is a mem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ouise Bourgeois s work and learn how her past memories are visualized and expressed in her work.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memory was based on the concepts presented by Henri Bergson s book, Material and Memory. First, through the memory concepts of Henri Bergson, we looked at the mutual relationship in which memories of the past have continued to date and become close to each other. Second, we specifically discussed the nature of the memory concept of Bergson. Third, I tried to reinterpret the memory theory of Henri Bergson through Louise Bourgeois sculpture, which visualized the memory object as a work.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many philosophy theories will be expressed as diverse and deep visual works by examining the theory of memory analysis by Henri Bergson in the 19th century and the connection between works by Louise Bourgeois, the representative of contemporary textile art.

      • KCI등재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제인 맥아담 프로이트의 조형 표현 연구

        김현진(Kim, Hyun-jin),이준호(Lee, Joon-Ho),최주현(Choi, Ju-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의 정신분석학은 언어를 분석하여 무의식이 드러나는 과정을 의미하며, 그는 무의식이란 인간의 행동에서 합리적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마음속 무의식이 행동과 정서를 규정한다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예술작품은 내재된 무의식에 대한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이트의 무의식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제인 맥아담 프로이트(Jane Mcadam Freud, 1958∼)의 작품 분석을 통해 그녀의 유년 시절에 성장 배경이 무의식과 어떻게 작용하여 시각화되어 작품으로 표현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의식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프로이트가 정의한 무의식에 대해 살펴보고,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이 예술 작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셋째, 표본작가로 프로이트의 증손녀인 제인 맥아담을 선정하여 그녀의 작품을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과 연관 지어 재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무의식이 의식 세계로 표현되어 예술 작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인간이 예술 작품을 창작하는 이상 무의식은 의식 세계에 영향을 주며, 이는 예술 작품에 반영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이트의 무의식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정신분석과 예술영역에서의 상호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작가들이 작품에 내재된 무의식적인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Psychoanalysis of Sigmund Freud(1856∼1939) refers to the process by which the unconscious is revealed by analyzing language, he defined that unconsciousness does not only happen reasonably in human behavior, but also in mind unconsciousness defines behavior and emotions. Therefore, the work of art can be said to be an expression of the inherent unconsci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reud’s concept of unconsciousness and to find out how her growth background in childhood worked unconsciousness and visualized and expressed in works through the analysis of Jane McAdam(1958∼)’s work.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of unconsciousness was examined. Second, the unconsciousness defined by Freud was examined, and the effect of Freud’s unconsciousness theory on works of art was examined. Third, Freud’s great-granddaughter, Jane McAdam, was selected as the sample artist and reinterpreted her work n connection with Freud’s unconsciousness theor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unconsciousness can be expressed as a world of consciousness and influence works of art. As long as humans create works of art it can be confirmed that unconsciousness affects the world of consciousness, which is reflected in works of art. Based on Freud’s theory of unconsciousnes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help artist understand the unconscious nature inherent in the work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ental analysis and ar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