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唯識思想과 腦科學에 관한 硏究

        崔鍾男(Choi, Jong-Na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1

        유식사상과 뇌과학에 대해서는 일부 자연과학자들이 뇌과학의 관점에서 유식사상과 대조 및 비판적인 고찰 등이 중점적으로 연구되었다. 본 논문은 5세기 전후에 형성된 유식학파 문헌들을 대장경이라는 장정에서 벗어나 사상 · 과학적으로 대조 · 분석하여 현대인들에게 문헌의 내용을 회향하기 위함의 一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식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마음이 머무르는 곳, 심체론으로서 유식사상의 제6 · 7 · 8식과 뇌의 각 기능과 대조, 마음과 뇌에 있어서 마음이 먼저인가, 혹은 뇌가 먼저인가 등에 대해서 유식학파 문헌들 및 시대별 관련 문헌들을 참조하고, 그리고 뇌과학에서 제시하는 연구 결과들을 대조 · 고찰하였다. 마음이 머무르는 곳을 「Visuddhimagga」에서는 意界(=마음) · 意識界(=의식)의 토대가 되는 장소로서 心處로, 『구사론』 · 『유가론』 「本地分」(1), 「攝異門分」에서는 죽음과 연관하여 心處 · 心胸處로, 그리고 『유가론』 「本地分」(2)에서는 태어남과 연관하여 肉心으로 각각 언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心處 · 心胸處 · 肉心 등은 심장을 의미한다. 심체론으로서 유식사상의 제6 · 7 · 8식과 뇌과학에서 언급하고 있는 뇌의 각 기능들과 대조 · 유추하면 了別(vijn?na)의 역할을 하는 제6식은 전전두엽, 思量(manas)의 역할을 하는 제7식은 상후두정엽, 그리고 藏識(?layavijn?na)의 역할을 하는 제8식은 대뇌피질과 상응한다. 뇌과학자들은 마음과 뇌에 대해서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대별하여 일원론적으로서는 마음이 곧 뇌의 기능인 心腦同一說, 그리고 이원론적으로서는 마음과 뇌는 별도로 존재하고 작용한다는 이론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유식사상에서는 마음과 뇌의 형성과정순서는 뇌의 형성 이전에 마음이 먼저 모태 안에 존재하며, 그리고 마음과 뇌는 心腦不同一說로서 물질적인 뇌의 작용이 곧 마음의 작용이 아니며 관계적으로 존재함을 언급하고 있다. 生有의 경우 마음과 뇌는 因과 緣의 관계이지만, 本有의 경우 마음과 뇌는 서로 관계적으로 원인과 결과가 서로 될 수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음과 뇌는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실재로서만 존재하므로 마음과 뇌는 각각 별도의 존재라든가, 혹은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In considering the thought of Vijnaptim?trat? and neuroscience, most natural scientists have compared the two and offered critical considerations of the thought of Vijnaptim?trat?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This dissertation is an ideological and scientific analysis of the literature of the Vijnaptim?trat? school, which developed in the fifth century from the Tripitaka tradition. In this thesis I will refer to the literature of the Vijnaptim?trat? school and related books of the period, and will compare and consider the results of neuroscientific research with the parts, the place where mind stays on focusing on the thought of Vijnaptim?trat?. I will also consider each function of brain and how they compare to one another, and I will review the concepts of the sixth, seventh, and eighth consciousnesses in Vijnaptim?trat? thought,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himche-ron the Treatise on Mind and Body. Which one is first, mind or brain, when it comes to the mind and brain? The Visuddhimagga mentions the point where the mind stays on, calling it 心處, “the place that is the basis of 意界 (the mind) and 意識界 (consciousness)” in the Abhidharma kosabhasya, the Yog?c?rabh?mi-??stra Maul?bh?mi (1) and the Pary the ?graha??, as 心處 · 心胸處 related to death, and in the Yog?c?rabh?mi-??stra, Maul?bh?mi (2) as 肉心 related to birth. Similarly, 心處 · 心胸處 · 肉心 means “heart.” When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function of the brain involved in the sixth, seventh, and eighth consciousnesses of Vijnaptim?trat? thought with that as determined by neuroscience and as mentioned in the Treatise on Mind and Body, I was able to identify corresponding points. The sixth consciousness plays the role of vijn?na in the dorsolateral frontal lobe; the seventh consciousness plays the role of manas in the parietal lobe, and the eighth consciousness plays the role of ?layavijn?na in the cerebral cortex. Neuroscientists insist 心腦同一說 that the mind is the monistic function of the brain, and hold that the mind performs different actions than the brain dualistically, largely dividing into two types of mind and brain. However, there are mentions that, in the formation of the mind and brain in the Vijnaptim?trat? thought, the mind exists intrauterine before the formation of the brain, and as 心腦不同一說 for the mind and brain, the material function of the brain is not actually a function of the mind; rather, they exist mutualistically. In the case of birth (生有), the mind and the brain have a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ut during one’s life (本有) this cause-and-effect relationship is mutualistic. Also, the mind and the brain do not exist as substances, but only as existences, so the mind and the brain cannot exist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or exist as substances.

      • 수증기-메탄 개질의 메탄 전환율에 관한 연구

        최종균(Chong-Gun Choi),정태용(Tae-Young Chung),진현(Jin-Hyun Nam),신동훈(Donghoon Shin) 한국연소학회 2008 KOSCOSYMPOSIUM논문집 Vol.- No.-

        개질기가 수소 생산 장치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개질기의 실제 모델은 고효율, 소형화, 경량화 및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고효율 소형화 및 경제성확보를 위해 개질기의 형상은 좀 더 복잡해지고 크기는 작아지고 있어 개질기에 대한 해석 및 개발하는데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개질반응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하여 CFD모델을 Xu와 Froment이 제시한 모델과 비교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Xu 모델과 CFD모델을 통한 해석결과에 대한 검증에 필요한 실험 장치를 구성하여 실험을 진행 중이다. 향후 실험을 통한 검증을 거친 후에는 CFD를 통한 해석을 통하여 실제 개질기의 내부유통 및 내부 반응분포를 알아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구의 최종단계에는 다양한 개질기에 대해 CFD 해석 및 설계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투고논문 : 범(梵),장(藏),돈황본 『금강경』 대조 연구

        최종남 ( Jong Nam Choi ) 인도철학회 2009 印度哲學 Vol.0 No.27

        실크로드 역사에서 중심역할을 한 돈황은 세계적인 造型遺産과 文獻遺産을 남겼다. 이 중에서 문헌유산은 2만 여점의 필사본들이다. 이들은 莫高窟제 17호굴에 밀봉된 채 보존되어 있다가 도사 王圓?과 그의 조수 楊씨에 의해 光緖226(1900)년에 발견되었다. 발견된 필사본 2만 여점은 대부분 佛典들로서 한문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돈황사본 중에서 完本, 혹은 完本에 가까운 20점의 대승불전 『금강경』을 산스크리트어 원전, 티베트어 번역본, 고려대장경과 대조하고, 그리고 이와 함께 중국과 일본의 大藏經類인 房山石經, ?砂大藏經, 永樂北藏, 乾隆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을 각각 대조·연구하였다. 이들의 언어별, 大藏經類別대조에 의하면 돈황사본에 상당수의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단어, 혹은 문장 생략, ②단어 첨삭, ③비슷한 한자로 誤記, ④단어倒置, ⑤단어를 바꾸어 필사, ⑥단어, 혹은 문장을 중복 필사, ⑦문장을 다르게 구성하여 필사, ⑧필사시 빠뜨린 단어, 혹은 문장을 오른쪽 옆빈 行에 기록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예들로 보아 돈황사본은 신앙과 기원을 위하여 필사하였고, 그리고 돈황사본의 필사 시기는 대부분 北宋蜀版大藏經의 開版이전인 971년 전에 필사되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敦煌寶藏』에 수록되어 있는 卷5까지 중에서 스타인 본 『금강경』(구마라집 번역) 20점만을 중심으로 대조·연구하였다. 아직도 수천 점의 『금강경』이역본별, 언어본별 필사본들이 현존하고 있다. 많은 관련학자들이 동참하여 이와 같은 필사본들을 경전의 原意에 가깝게 교감·연구하였으면 한다. Dunghuang who took an important role in history of the Silk Road left legacies of international formative arts and literatures. Among these, The legacies of literatures consist of 20 thousand manuscripts. They were in good preservation with sealing up in the 17th cave of Mogao Cave, and found by an enlightened buddhist Wang Yuanlu and his assistance Mr. Yang in Guangxu 226(A.D. 1900). Most of the found manuscripts are Buddhist scriptures in Chinese. The rest are manuscripts in Sanskrit, Tibetan, Mongolian and languages of Central Asia. These manuscripts that were collected by expedition parties of England, France, Japan, Russia, America, etc. are displayed in libraries, museums, etc. of each countries. This treatise compares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 20 Mahayana scriptures that are complete works or close to them in Dunghuang`s manuscripts with original works in Sanskrit, translated ones in Tibetan and Tripitaka Koreana. In Addition, this paper studies Tripitakas of China and Japan such as Fang Shan Shi Jing, Tripitaka of Jisha, Tripitaka of Northern Yongle Edition, Tripitaka of Qianlong and Taisho Shinshu Daizokyo im comparison. I have found a lot of faults in Dunghwang`s manuscripts by comparison in languages and with other Tripitakas. The faults are followings. ①omission of words or sentences, ②correction of words ③miswriting with similar Chinese character, ④inversion of words, ⑤use of new words ⑥duplication of words or sentences, ⑦change in construction of sentences, ⑧writing omitted words or sentences at copying in the blank line at left, etc. I presume with above mistakes that Dunghwang`s manuscripts were copied for faith and prayer before A.D. 971 when Tripitaka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Shu edition had been revised. This paper compares and studies only 20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s(translation by Kumarajiva) of Stein among 5 books contained in Dun Huang Bao Zang. Thousands of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s still exists in other languages and translation versions. I hope that a lot of scholars take part in studying the above manuscripts in comparison with original works.

      • KCI등재

        유가행파 문헌에 있어서 열반의 종류에 관한 연구

        최종남(Choi, Jong-nam)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열반사상은 고대 인도인의 철학적 사유, 정신문화, 그리고 삶에 근거하여 종교적 사유의 한 단면으로 탄생된 것이다. 불교에서도 열반사상은 초기ㆍ부파ㆍ대승의 시대별ㆍ학파별 등으로 전개되어 각 사상들에 있어서는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교의 시대별ㆍ학파별 문헌들에 있어서 열반사상의 특징과 대승불교 유가행파(Yogācāra-School)의 열반의 종류에 대해서 관련 문헌들을 중심으로 대조ㆍ연구하였다. 시대별 문헌들에 있어서 열반사상의 특징은, 초기ㆍ部派佛典에서는 열반사상을 번뇌와 괴로움을 소멸하고 現身의 상태에서 열반에 이르기를 중점적으로 설하고 있다. 그러나 대승불전들에서는 초기ㆍ부파불전에서 설하고 있는 열반사상을 토대로 하여 대승의 반야(prajñā) 및 自利利他 사상과 각 학파의 사상들을 추가하여 구체적이면서, 적극적으로 설하고 있다. 그리고 열반의 체성(體性)에 대해서 부파의 설일체유부(Sarvāstivādins)에서는 열반의 체성이 실체로서 존재함을, 그러나 경량부(Sautrāntikas)에서는 열반의 체성이 실체로서 존재하지 않음을 각각 설하고 있다. 대승의 중관학파(Madhyamaka-School)에서는 열반을 無自性(niḥsvabhāva)ㆍ空(śūnya)에 입각하여 본래 제거되는 것도 없고, 열반에 도달될 곳도 없으므로 열반은 실체가 없는 空性(śūnyatā)으로 설하고 있다. 유가행파에서는 열반은 본래 실체로서 존재하지 않지만, 열반의 체성인 적정(寂靜)은 있음을 설하고 있다. 열반의 종류는 시대별ㆍ학파별 불전들에서 2종ㆍ3종ㆍ4종 열반 등으로 설하고 있다. 초기ㆍ부파ㆍ대승의 중관학파ㆍ유가행파 초기 일부 문헌들에서는 2종 열반에 대해서, 유가행파 초기 문헌들에서는 3종 열반에 대해서, 그리고 후기 주석서들에서는 4종 열반에 대해서 각각 설하고 있다. 열반사상과 열반의 종류는 각 시대별ㆍ학파별 교학적인 사상 전개에 의해 2종, 3종, 4종 열반으로, 그리고 유여의열반(sopadhiśeṣa-nirvāṇa)ㆍ무여의열반(anupadhiśeṣa-nirvāṇa), 유여의열반ㆍ무여의열반ㆍ무주처열반(apratiṣṭhita-nirvāṇa), 유여의열반ㆍ무여의열반ㆍ무주처열반ㆍ본래자성청정열반(anādikālikaprakritiśuddha-nirvāṇa)의 순서로 각각 성립되었다. 특히 유가행파 문헌들에서는 대승의 보살(bodhisattva) 사상과 유가행파 사상을 접목하여 여타 시대별ㆍ학파별들에서 설하고 있는 열반사상과는 달리 수행, 지혜, 그리고 자비의 실천과 방법 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하고 있다. Nirvāṇa thought was born to be an aspect of religious grounds based on philosophical reason, spiritual culture and the life of ancient Indians. Buddhism had been developed including all the thoughts of Early Buddhism, School Buddhism, and Mahayana Buddhism as part of its ultimate purpose. This study compare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Nirvāṇa thought in different periods and schools, and also researched the kinds of Nirvāṇa of Yogācāra-School, focusing on related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Nirvāṇa thought are different according to literature of specific periods. EarlyㆍSchool Buddhist scriptures focus on teaching people to remove anguish and suffering from life and reaching Nirvāṇa from the state of their bodies in this world. But Mahāyāna Sūtras, based on the Nirvāṇa thoughts of EarlyㆍSchool scriptures, are more specific and active in preaching Nirvāṇa by adding transcendental wisdom(prajñā), Jari-ita(自利利他) thought(by benefiting oneself, one benefits others.) and other schools’ thoughts. Regarding the essential nature of Nirvāṇa, the Sarvāstivādins school claims the essential nature of Nirvāṇa exists as a true nature, and the Sautrāntikas school claims that does not exist. The Madhyamaka-School of Mahayana teaches that Nirvāṇa has the “nature of emptiness(śūnyatā)”, which means it has no true nature, because there is nothing to be removed and nowhere to reach for Nirvāṇa based on none-self(niḥsvabhāva) and emptiness(śūnya). There are three categories of Nirvāṇa in scriptures according to periods and schools; 2 kinds, 3 kinds, and 4 kinds. Some early Madhyamaka-School and Yogācāra-School’s literatures of EarlyㆍSchoolㆍMahāyāna Buddhism teach 2 kinds of Nirvāṇa, and other early literatures of Yogācāra-School teach 3 kinds of Nirvāṇa. In addition post commentaries preach 4 kinds of Nirvāṇa. The Nirvāṇa thought and its kinds have been divided into 2, 3, and 4 kinds Nirvāṇa as educational thoughts were developed by periods and schools. And they have been established in order of sopadhiśeṣa-nirvāṇaㆍanupadhiśeṣa-nirvāṇa, sopadhiśeṣa-nirvāṇaㆍanupadhiśeṣa-nirvāṇaㆍapratiṣṭhita-nirvāṇ, and sopadhiśeṣa-nirvāṇaㆍanupadhiśeṣa-nirvāṇaㆍapratiṣṭhita-nirvāṇaㆍanādikālikaprakritiśuddha-nirvāṇa. Particularly in the literature of the Yogācāra-School, unlike other thoughts which combine bodhisattva of Mahāyāna and the ideas of Yogācāra-School to preach Nirvāṇa, teach practice, wisdom, and the practice of compassion and its teaching is specific and detailed in above order.

      • KCI등재

        요양기관 종별 외래 약제비 본인부담 차등정책의 효과 분석

        최종남 ( Jong Nam Choi ),조정숙 ( Jeong Sook Jo ),류시원 ( See Won Ryu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6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1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on differential coinsurance for outpatient prescription drug coverage in general hospitals or advanced general hospitals among patients covered by health insurance for 52 mild diseases (Notification No. 2011-86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hich came into force in October 2011. Methods: The claims for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outpatient medical expenditures in all general hospitals and advanced general hospitals, which were made for a year (from October 2010 to September 2011) before the policy and for two years (from October 2011 to September 2013) after the policy, wer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ratio of the number of all the claims for medical expenditures and patients to that of claims for 52 mild diseases as principal conditions and relevant patients were analyzed in terms of care institution types, gender, regions, age groups, and diseases. Results: The policy on differentiated prescription drug coverage was effective both in general hospitals and in advanced general hospitals. The number of medical claims and patients were decreased, and it was slightly more effective in advanced general hospitals. It was more effective among females than among males in terms of the number of both claims and patients. It was most effective among those in their fifties in terms of the number of claims and among those in their seventies in terms of the number of patients. It was most effective in Gangwon Province in terms of the number of claims and patients for advanced general hospitals and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terms of claims an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in terms of patients for general hospitals. It was most effective on hypertension both in general hospitals and in advanced general hospitals and was more effective on chronic diseases than on acute ones. Conclusions: The policy on differential coinsurance for outpatient prescription drug coverage by care institution types was effective, as intended by the government, and the effectiveness differed by gender, age, regions, and disease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enhancing the policy for preventing mild disease patients from being concentrated in large hospita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내와 그 인근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건들의 시계열적 분석

        최종남 ( Jong Nam Choi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9 인문학연구 Vol.16 No.-

        이 연구는 미국 소재 대학교와 그 인근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건을 다양한 시간적 스케일로 분석하였다. 사건의 총 발생 건수 및 각 사건의 발생 비율은 주초에 비해 주말에 높게 나타났다. 특히 미성년자 주류소지 및 음주와 음주운전, 그리고 폭력 행위 등 음주 관련 사고들은 주류의 소비가 많은 주말에 주로 발생했고, 이들 사건들 간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 반면, 봄 방학과 추수감사절 등 연휴 및 명절기간에는 사건들의 발생빈도가 현격히 줄었다. 추운 계절보다 온난한 계절에 사건이 많이 발생했다. 학기간의 사건발생빈도를 비교해보면, 신입생들의 비중이 높고 학생 수가 많은 가을 학기가 봄 학기에 비해 높다. 또한, 각종 사건의 총 발생건수는 학생 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은 치안관련 담당자가 대학교와 그 인근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건의 발생빈도와 형태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연구결과는 기후와 날씨가 대학교인근의 각종 범죄의 발생형태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