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본소득제 실현가능성 : 프랑스 사례

        최인숙(Insook CHOI) 통합유럽연구회 2019 통합유럽연구 Vol.10 No.1

        세계화로 인한 양극화, 정보혁명으로 인한 고용의 불안정과 노동의 우버화는 사회안전망을 필요로 한다. 최근 좌우파를 막론하고 기본소득제가 필요하다고 보는 이유다. 기본소득제는 현행의 복지제도와는 달리 모든 국민에게 의무나 조건 없이 소득을 제공하는 최저 사회보장제도이다. 본 연구는 프랑스 기본소득제를 사례로 들어 그 실현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기본소득에 관한 4개의 시나리오와 정부와 시민이 추진하는 기본소득제의 실험, 그리고 논의되고 있는 담론들을 분석한 결과 기본소득제는 분명한 개념정립과 표준화된 모델, 충분한 실험 등이 선행되어야 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프랑스의 기본소득제는 새로운 시스템이 아니라 기존의 복지개혁 때마다 부분적으로 도입되어 왔다. 1989년 RMI 창설, 2009년 RSA의 창설 등이 그 예이다. 결국 프랑스 기본소득제의 실현은 복지제도를 완성하기 위한 마지막 단계지만 결코 쉬운 여정은 아니다. 프랑스 기본소득운동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소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복지제도를 확대하고 기본소득 개념을 가미한 정책들을 꾸준히 개발해 나가야 한다. 둘째, 복지수준이 미흡한 현 단계에서 기본소득제 도입은 큰 모험이다. 셋째, 국민과 꾸준히 논의하면서 기본소득의 개념을 정립하고 표준화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The bi-polarisation caused by globalisation, the instability of employment exacerbated by information revolution, and uberisation of labour require social safety net. This is the reason that both left and right parties have recent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universal basic income. The basic income system, different from the current welfare system, is the minimum social welfare system which provides the whole citizen with the income without any responsibilities and the condition.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feasibility of the universal basic income by taking the case of the Republic of Fr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four scenarios of basic income system, private-public basic income experiment, and ongoing discourses, the universal basic income can be boosted only when the clear establishment of concept, the standardized model, and extensive experiments are preceded. Besides, the French basic income system is not a new one but the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welfare reformation. The creation of RMI in 1989, and RSA in 2009 are those examples. The realization of French universal basic income is at the last stage of completing the welfare system but this is not an easy journey. The implication of French universal basic income movement gives us is that we need to first of all extend the welfare system as well as continuously develop the policies applying the concept of basic income. It is a big adventure to adopt the universal basic income at a current stage, when we have a weak welfare system. We need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universal basic income with the citizen and develop the standardized model, then we will see the feasibilities.

      • KCI등재
      • 상황맥락 제시를 통한 ‘은/는’과 ‘이/가’ 교수 방안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절충적 접근법으로

        최인숙 ( Choi In Sook )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15 No.-

        A study on a method of teaching ‘eun/neun’ & ‘i/ga’ in situational context: by eclectic approach for Chinese beginner learners. Korean particles ‘eun/neun’ and ‘i/ka’ are the first grammatical forms Korean language learners encounters, which daily usage shows very higher error frequency. In order to resolve Chinese beginner learners' errors regarding usage of ‘eun/neun’ and ‘i/ka’, this study suggests the situational context must be presented in the method, so that the learners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which contains ‘eun/neun’ and ‘i/ga’. To this end, firstly this paper survey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eclectic approach. And then, from the reviews of the previous study, this paper found various semantic functions of them that need to be taught to beginner learners; such as the markers of topic and contrast by ‘eun/neun’, the markers of subject and option by ‘i/ka’ and the distinctions of semantic function between ‘eun/neun’ and ‘i/ka’ such as uncertainty vs. specificity and old information vs. new inform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apply the eclectic approach for presenting situational context proper to teach each semantic functions of ‘eun/neun’ and ‘i/ka’ for Chinese beginner learn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환경 특성 자료에 기반한 범죄 발생 추이 분석

        최인숙(In-Suk Choi)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16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0 No.2

        최근 공공 데이터 개방에 따라 많은 분야에서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가치와 서비스를 창출하고자 하는 연구와 활동들이 증가하고 있다. 범죄가 시간, 공간, 기후, 인구 분포 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생각은 있으나, 실제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여 통계 분석을 통한 검증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여 과학적인 데이터 분석을 함으로써 환경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치안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또한 범죄 데이터라는 민감성을 고려하여 비식별화 방법을 적용하고, 공간을 특성별로 세분화하여 범죄와 연관성 있는 변수를 추출하여 효과적으로 치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예측 모형을 제안한다.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research and activities to create new value and services using public data in many fields of the public data. Although there is an idea that crime will be affected by time, space, climate, and population distribution, there is not much verification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using actual public dat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appropriate policing servi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by analyzing scientific data using public data. In addition, we propose a prediction model that can apply the non-idenfication method considering the sensitivity of the crime data and extract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rime by subdividing the spa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칸트철학과 불교철학에서 마음과 물질의 관계

        최인숙(In Sook Choi) 한국철학회 2011 철학 Vol.0 No.106

        우리의 일상생활은 지각으로 점철되고, 지각은 판단 과정을 통해서 가능하다. 그리고 판단은 대상과 주관의 ‘관계’에서 성립한다. 개별적 대상에 대한 지각에서 대상과 주관의 ‘관계’는 복합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칸트철학과 불교철학의 인식론을 통해서 이러한 복합적인 단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칸트철학과 불교철학에서 마음과 물질의 ‘관계’(심적인 현상과 물리적 현상의 관계)를 통해서 지각이 어떤 방식으로 논의되는지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특히 오류 판단이 발생하게 되는 계기 및 과정에 대해 주목한다. 오류 판단이 발생하는 데 상상력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칸트철학과 불교철학을 하나의 주제 속에서 다루는 이유는, 이 양자의 철학이 인식론적으로 매우 상통하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칸트철학과 불교철학은, 우리의 인식이 주관의 인식능력이 만들어내는 상과 개념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인정하는 점에서 유사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양자의 철학은, 현상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수시로 오류에 빠지기도 하지만 동시에 진리에 도달할 수 있는 기반을 지니고 있는 존재라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이 양자의 철학 이론은 대상 인식 및 우리의 삶에 적용 가능한 보편적 사고로 인정될 수 있음을 우리는 확인할 수 있다. 칸트철학과 불교철학이 오늘날 우리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 사고를 제공함에 있어, 필자는 특히 오류 판단을 중심으로 이 글을 전개한다. 오류 판단을 중심으로 칸트의 인식론과 불교의 인식론(대승기신론의 유식이론)을 논하되, 칸트철학은 분석론의 한계 내에서 논한다면(변증론 제외), 대승기신론의 유식이론은 생멸문과 진여문 서로 간의 관계 속에서 논한다. 생멸문과 진여문을 연관 속에서 논할수밖에 없는 이유는 불교 인식론 자체의 성격에 기인한다. Our ordinary lives are imbued with perceptions, and they are effected by judgmental processes. And judgments are formed by the relationship of object and subject. In the perception of an individual object, the relationship of object and subject contains some multiple aspects. In this paper the author explores those aspects via the epistemologies in Kant's and Buddhist's philosophies. In particular, by dint of examining how perceptions are realized in the view of Kant's and Buddhist's philosophi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matter(i.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and physical phenomena}, the author focuses on explicating the moment and process of a fallacious judgment (misrepresentation). In the moment and process of a fallacious judgment, the power of imagination plays a great role. The reason why the author considers Kant's and Buddhist's philosophies from one perspective is that they do share some common philosophical motivations epistemologically. They both recognize that our knowledge is formed by pictures and concepts of subject. And they do recognize that the human as a phenomenal being is being to pursue and attain the truth while it often judges falsely. On the basis of this consideration, we ascertain that both Kant's and Buddhist's philosophies can be taken as universal thoughts which could apply to our present lives as well as knowledge of object in general. Pinpointing the significance and processes of fallacious judgments, the author develops especially the Kant's epistemology in the limit of the "Analytik"(except the "Dialektik"), but Buddhist's epistemology in the both views of the 生滅門, and the 眞如門. The reason why the both views should be treated simultaneusly lies in the Buddhist's philosophy itself.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