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Desflurane 흡입 마취 유도 시 기도 과민성에 대한 Lidocaine과 Fentanyl의 효과

        최인규 ( In Gyu Choi ),최영순 ( Young Soon Choi ),민진혜 ( Jin Hye Min ),김용호 ( Yong Ho Kim ),채영근 ( Young Keun Chae ),이우경 ( Woo Kyung Lee ),이용경 ( Yong Kyung Lee ),이애리나 ( Ae Re Na Lee ),조형래 ( Hyong Rae Cho ),채홍석 대한마취과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7 No.6

        Background: Inhalation induction with desflurane can cause airway irritability and sympathetic stimul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lidocaine and fentanyl could reduce these unwanted reactions. Methods: Seventy-five patients who had premedication with midazolam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ree groups to receive intravenous saline (S group), lidocaine 1.5 mg/kg (L group), fentanyl 1 μg/kg (F group), respectively, before tidal volume induction with desflurane in oxygen and nitrous oxide. We recorded airway irritability such as cough, apnea, laryngospasm and excitatory movement and hemodynamic changes. Results: Airway irrit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In F group, mean blood pressure at LOC ver and LOC BIS and heart rate at LOC ver, LOC BIS and just before intubation were lower than those of S group (P<0.05). Other resul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travenous fentanyl and lidocaine had no beneficial effects to reduce airway irritability, but intravenous fentanyl could significantly reduce hemodynamic stimulation during inhalation induction with desflurane in the patients who were premedicated with midazolam. (Korean J Anesthesiol 2009; 57: 693∼7)

      • 침엽정유추출잔사의 퇴비화 및 조사료 이용

        최인규(In-Gyu Choi),강하영(Ha-Young Kang)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2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1 No.1

        침엽수 잎으로부터 정유를 생산하고 남는 폐잔사의 이용도를 구명하고자 소나무, 잣나무, 편백 및 화백을 이용하여 음식물찌꺼기와 혼합하여 퇴비화 및 조사료화를 시도하였다. 폐유기물인 음식물찌꺼기를 효율적으로 발효시키기 위하여 미생물균주원을 탐색하여 돈분퇴비 등으로부터 고온호기성 박테리아 및 방선균을 선발하여 혼합균주를 대량배양 하였다. 이를 음식물찌꺼기, 정유잔사와 혼합하여 부숙과정을 거쳐 퇴비화를 시도하였으며 작물이용시험에 의한 양질 퇴비 여부를 판단하였다. 또한 발효 후 남는 잔사에 대한 조사료로서 이용 가능성 여부를 타진하기 위하여 영양성 평가 및 소화율을 분석하였다.<br/> The essential oil free needles, which were left after distillation of essential oil from various coniferous needles, were fermented with food waste organics in order to use as compost and roughage. Microorganisms for the fermentation were selected from domestic sources such as swine compost, bark compost, and kimchi, etc, and consisted of aerothermophilic bacteria and actinomycetes. The weight reduction ratio of food waste organics treated with the microorganisms was 90% after 30 days treatment, and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was kept at approximately 45℃. The compost process was really slow due to chemical compounds derived from needles, and it finally took 60 days for complete compost. When 10% of needle compost was mixed with soil for radish growth, the growth indicators such as leaf length and root weight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while root weight, root width, and root length were inhibited on the addition of 20% needle compost.<br/>

      • KCI등재

        Lovastatin을 생산하는 식용버섯 선발과 HMG-CoA reductase 저해 효과

        이재원,이수민,곽기섭,이지윤,최인규,Lee Jae-Won,Lee Soo-Min,Gwak Ki-Seob,Lee Ji-Yoon,Choi In-Gyu 한국미생물학회 2006 미생물학회지 Vol.42 No.2

        국내에서 식용버섯으로 이용되고 있는 8종 균주의 자실체와 균사체로부터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하는 lovastatin 생산과 고지혈증 억제활성을 탐색하였다. TLC 분석으로 lovastatin생산 유무를 검색한 결과 자실체와 균사체의 추출물에 대해 Rf값이 표준물질콰 같은 약 0.46에서 뚜렷한 밴드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자실체로부터 lovastatin 추출을 위한 용매로는 water/acetonitrile/methanol (5:2.5:2.5)을 사용하였을 매 가장 효과적인 lovastatin 생산량을 보였다. Lovastatin 생산량은 자실체 중에서는 Pleurotus ostreatus가 0.98 mg/g (dry biomass)으로 가장 높은 생산량을 나타냈고 균사체 배양액 추출물에 대해서도 P. ostreatus가 21.90 mg/L로 높은 생산량을 나타냈다. 3-Hydroxy-3-methylglutaryl-CoA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에서는 자실체에서 P ostreatus가 67.8%, 균사체에서 P. ostreatus와Laetiporus sulphureus가 각각 37.2%, 29.1%의 저해활성을 보였다. L. sulphureus는 lovastatin 생산량에 비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서 lovastatin 이외의 다른 고지혈증 억제물질을 GC/MS로 분석한 결과 대사산물로 분비되는 식물성 sterol 물질인 campesterol과 gamma-sitosterol이 검출되었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oduction of lovastatin and its HMG-CoA reductase activity produced by fruit bodies and mycelial liquid cultures of domestic edible mushrooms (8 fungal strains). By deter-mining TLC analysis for the confirmation of the presence of lovastatin, all the extracts from fruit bodies and mycelial liquid culture showed same Rf value (0.46), whick was identical to that of the standard lovastatin. In order to extract lovastatin from fruit body, the mixture of water/acetonitrile/methanol was chosen as the most effective solvent. Extracts from fruit body and mycelial liquid culture of pleurotus ostreatus produced the high-est lovastatin 0.98 mg/g based on dry biomass, and 21.90 mg/L, respectively. In the inhibition rate of 3-hydroxy-3-methylglutaryl-CoA (HMG-CoA) reductase, the highest was obtained in P. ostreatus as 67.8% among fruit bodies, and the rates of mycelial liquid culture extracts from P. ostreatus and Laetiporus sulphureus were 37.2% and 29.1%, respectively. Unusually L. sulphureus showed high inhibition rate with low content of lovastatin due to the contribution of campesterol and gamma-sitosterol with hypocholesterolemic activity as metabolites.

      • KCI등재

        두부비지를 이용한 목재 방부제의 사용가능성 평가

        김호용 ( Ho Yong Kim ),최인규 ( In Gyu Choi ),안세희 ( Sye Hee Ahn ),오세창 ( Sei Chang Oh ),홍창영 ( Chang Young Hong ),민병철 ( Byeong Cheol Min ),양인 ( In Yang ) 한국목재공학회 2008 목재공학 Vol.36 No.1

        환경 오염 및 인체 유해성으로 사용이 금지된 목재 방부제인 CCA를 대체하고 최근 CCA 대체방부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고가의 구리·아졸화합물계(CUAZ)과 구리·알킬암모늄계(ACQ) 방부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유기 폐기물인 두부비지를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인 목재방부제를 제조하였다. 목재 내로 유효성분의 용이한 주입을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황산으로 두부비지를 가수분해하였으며, 가수분해된 비지를 CuSO4, CuCl2, Borax 등의 금속염과 반응시켜 최종적으로 목재 방부제를 조제하였다. 이렇게 조제된 방부액은 감가압방법을 통해 목재 내로 주입하였고 주입된 시편에 대한 용탈 실험을 실시하여 각 방부제의 주입능과 용탈성을 비교하였다. 비지의 산가수분해물의 이용과 암모니아수를 이용한 일시적인 해리를 통해 방부제의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주입되었으나 비지를 가수분해하기 위해 사용된 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용탈량이 증가되었다. Borax의 첨가는 주입능과 용탈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가수분해 온도에 따른 주입능과 용탈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비지의 1% 산가수분해물에 금속염으로 CuCl2를 사용하였을 경우 생산 비용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목재방부제로 사용하기에 최적의 제조조건으로 생각되며 두부비지로 조제된 방부제의 주입능과 용탈성을 CuAz에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거나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환경친화적인 목재 방부제로서 사용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The use of CCA as a wood preservative was recently inhibited due to it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uman harmfulness. Instead of CCA, copper azole (CuAz) and alkaline copper quaternary (ACQ) have been used as alternative wood preservatives, but the price of the preservatives is much more expensive than that of CCA. As a substitute for high-priced CuAz and ACQ, environmentally friendly wood preservatives were formulated with okara, which is an organic waste from the production of tofu. Prior to formulating the preservatives, okara was hydrolyzed by three levels of sulfuric acid concentration (1, 2.5 and 5%) to easily penetrate the effective components of the preservatives into wood blocks. Final preservative solutions were formulated with the hydrolyzed okara and metal salts, such as copper sulfate, copper chloride and borax. The preservatives were treated into wood blocks by vacuum-pressure method to measure the treatability of the preservatives, and the treated wood blocks were placed in hot water for three days to measure the leachability of the preservatives. The effective components of the preservatives might be successfully penetrated into wood blocks through the uses of hydrolyzed okara and ammonia water. However, the leached amount of effective components wa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acid used for the hydrolysis of okara increased. The treatability and leachability of the preservatives were not affected by hydrolysis temperature but negatively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orax.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optimal conditions for formulating okara-based wood preservatives cost-effectively and environmentally might be 1% acid hydrolysis of okara and the use of CuCl2 as a metal salt. In addition, the treatability and leachability of okara-based wood preservatives were superior or no differences comparing with those of CuAz.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okara-based wood preservatives might have a potential to be used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ood preservative.

      • < 구두-D-09 > 리그닌/고분자 복합재료 제조를 위한 유기용매 리그닌의 생산 및 분획

        최준호 ( June-ho Choi ),김종화 ( Jong-hwa Kim ),조성민 ( Seong-min Cho ),김종찬 ( Jong-chan Kim ),이다송 ( Da-song Lee ),박세영 ( Se-yeong Park ),최인규 ( In-gyu Choi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리그닌은 페닐 프로판 탄소골격으로 이루어진 삼차원 망상 구조로 석유계 방향족 고리 화합물을 대체할 수 있는 유일한 천연 고분자로 평가받고 있지만 리그닌의 구조 다양성 및 불균일성으로 인해 석유계 원료 대체제로의 이용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그닌/고분자 복합재료 제조를 위해 비교적 순도가 높고 작용기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유기용매 리그닌을 생산하고자 하였으며 생산된 리그닌을 침지 분획함으로서 추가적인 화학 개질을 위한 유기용매 리그닌의 구조 균일화를 실시하였다. 유기용매 리그닌 생산을 위한 최적 전처리 조건은 표면반응분석법을 통해 탐색되었으며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Central Composite Design, CCD)에 따라 실험을 설계하였다. 독립변수는 유기용매 리그닌 수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전처리 조건인 반응온도(X<sub>1</sub>), 촉매농도(X<sub>2</sub>), 에탄올농도(X<sub>3</sub>)로 설정하였으며 리그닌 수율(Y)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중심 값은 160℃, 1% H<sub>2</sub>SO<sub>4</sub>, 60% EtOH로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독립변수는 -1, 0, +1의 3개의 요인 수준을 가지도록 설계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해 도출된 최적 조건을 이용하여 유기용매 리그닌을 생산하였으며, 생산된 리그닌은 참고 문헌을 통해 선정된 용매 순으로 침지 분획되었다(Ethyl acetate → 2-butanone → Methanol → Acetone → 95% dioxane). 각각의 분획된 리그닌 및 리그닌 유래화합물은 GPC, <sup>31</sup>P NMR 등을 통해 구조 분석하였다.

      • KCI등재

        유채박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중밀도섬유판(MDF) 제조용 접착제의 개발

        양인 ( Yang In ),한규성 ( Gyu Seong Han ),최인규 ( In Gyu Choi ),김용현 ( Yong Hyun Kim ),안세희 ( Sye Hee Ahn ),오세창 ( Sei Chang Oh ) 한국목재공학회 2012 목재공학 Vol.40 No.3

        목질 판상재료 생산을 위하여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석유화학계 접착제를 대체하여 재생가능한 원료로부터 대체 접착제를 개발하기 위한 관심이 중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디젤 부산물인 유채박을 산 및 알칼리 가수분해를 통해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 접착제를 중밀도섬유판 (MDF) 제조에 적용한 후 물성과 강도 특성을 조사하여 유채박의 중밀도 섬유판 제조용 접착제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유채박 접착 제 조제를 위하여 유채박을 산과 알칼리 가수분해를 통해 개량한 다음, phenol formaldehyde (PF) prepolymer와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를 중밀도 섬유판 제조용 접착제로 사용하였다. 제조된 중밀도 성유판의 평균 함수율과 밀도는 모두 KS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수 두께 팽창률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중밀도 섬유판의 휨강도는 요소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중말도 섬유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박리강도는 일부 조건에서 요소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중밀도 섬유판보다 높게 나타나 석유화학계 접착제의 대체 접착제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접착성능의 향상을 위해서는 최적화되는 중밀도 섬유판의 제조공정의 변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interest to develop adhesives from renewable resources is growing to substitute petroleum-based adhesive resins in the manufacture of wood based panels In our study, rapeseed flour (RSF), which is the by-product of bio-diesel produced from rapeseed, were hydrolyzed with add and alkali, As a crosslinking agents of the RSF hydrolyzates, phenol-formaldehyde prepolymers (PF) were prepared. The RSF hydrolyzates and PF were mixed to complete the formulation of RSF-based adhesive resins, and the resins were applied to make the medium density fiberboard (MEW).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DF were measured to examine whether RSF can be used as raw materials of adhesive resins for the manufacture of MDF or not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and density of the MDF made with RSF-based adhesive resins satisfied the minimum requirement of KS standard, but the thickness swelling was not The bending strengths of the MDF made with RSF-based adhesive resin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MDF made with commercial UT resins, but the internal bonding strengths of tested MDF in some makeup conditions of RSF-based adhesive resins were higher than that of MDF made with commercial UF resins These results showed the potential of RSF as a raw material of adhesives for the production of MDF. Future works on the optimal manufacturing process conditions of MDF made with RSF-based adhesive resin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DF made with RSF-based res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