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교사들의 학생 능동 수업 실행경험을 통한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최윤희(Choi, YunHee),김용진(Kim, Yong-Jin),김미점(Kim, Mi-Ju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75 No.-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학생 능동 수업에 대한 인식과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문헌 조사와 학생 능동 수업의 경험을 가진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수집하여, 학생 능동 수업의 성과 지표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예비 문항은 교육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와 내용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를 통해서 총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완성된 문항은 서울, 경기 지역을 포함한 전국 지역의 초⋅중고 과학 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능동 수업의 경험을 가진 교사들은 학생들과의 대화의 빈도가 증가함과 동시에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증가시켜나가는 조력자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수업 시간에 학생을 칭찬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교사 효능감이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학생 능동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원 연수 모형의 개발, 학생 능동 수업을 위한 교수 학습 전략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educational effects of active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To do this, we gathered opinions of field teachers who had various literature survey and experiences of student active class, and developed preliminary questionnaire of performance index of student active class. The developed preliminary questionnaire consists of 12 questions through Delphi survey,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for 20 education experts. The complet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102 prim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the another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student active class have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 with students and helped to increase students self - directed learning ability.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praise for the students in the classroom increased and the teachers efficacy improved. And th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er training model and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student Active-Learning class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 of student Active-Learning class.

      • KCI등재

        대학 교양 수업에서의 비대면 서비스러닝 운영 사례 연구

        최윤희(Yunhee Choi),김진선(Jinsun Kim)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1 No.3

        본 연구는 코로나 상황에서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과목을 비대면 방식의 수업과 대면 방식의 지역사회봉사를 접목한 수업 설계와 이에 따른 효과에 대해 고찰해보고, 효과적인 교과 운영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서비스러닝은 학교에서 전문지식을 배우고 이를 현장에서 연계하여 실습을 통한 경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수법으로, 학생들의 학습 증진과 지역사회의 유익함을 함께 추구하는 교육 방법이다. 본 수업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교과 운영 후 수강생, 봉사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수업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습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성찰일지와 심층 면담 내용을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높은 만족도와 학생들 스스로 자각하고 있는 학습 효과 및 내적 성장, 역량 함양을 통해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학습과 팀별 봉사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변화되는 교육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유연하고 효과적인 교수전략 및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 결과는 서비스러닝 관련 교과 개발 및 봉사활동과 연계된 여러 유형의 수업들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sign of classes combining non-contact speaking classes and face-to-face community services in the Covid situation and the effects thereof, and to seek the methods of effective curriculum management. As a form of experiential education, service learning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integrates professional knowledge education in schools and practical training in the field to pursue student learning and community outcomes and values. After the course operation, a class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and volunteer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service learning teaching method and the class operation method, and the reflection log and in-depth interview results were reviewed using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itive educational effect of the proposed methods through the high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the class, the learning effect that the students themselves were aware of, and their internal growth and capacity build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rateg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tudents' learning and team volunteer work.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ontinuously seek flexible and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and measures to respond to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post-Covid era.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service learning and its related subjects and various types of classes related to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

        TIMSS 2019 중학교 8학년 주제별 학습 시기에 따른 우리나라 과학과 물리 영역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최윤희(Choi Yunhee),김현경(Kim Hyu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TIMSS 2019에서 8학년 대상 주제별 학습 시기에 따른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물리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TIMSS 2019 평가틀의 7개 주제와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여 주제별 학습 시기와 교육과정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교육과정 일치도 분석은 TIMSS 2019의 본 검사가 시행된 2018년을 기준으로 당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적용된 교육과정과 TIMSS 2019 평가 문항과 일치도를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TIMSS 2019 평가틀에 제시된 물리 영역의 주제들을 학습 시기별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 초등학교,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부분은 제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물리 영역에서 ‘힘과 운동’ 부분의 경우에는 물리적 변화, 여러 가지 힘, 힘과 운동, 운동과 에너지, 에너지의 전환과 보존 등의 내용과 개념들이 연계성 있고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 않았다. 따라서 8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TIMSS 2019의 평가 시기와 평가틀을 구성하고 있는 주제들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리 영역의 내용 수준과 연관성, 적절성, 위계 등을 재조정하는 합의가 필요하며 이에 맞는 교수 학습 전략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curriculum in Korea according to the learning period by topic in the 8th grade of TIMSS 2019, focusing on the field of physics. For the analysis, seven subjects of the TIMSS 2019 Evaluation Framework, and the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by analyzing the learning timing and curriculum correspondence by subj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most of the subjects in the physics domain presented in the TIMSS 2019 Evaluation Framework were presented in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Korea. However, in the case of the “force and motion” part in the physics domain, the contents and concepts such as physical change, various forces, forces and motion, motion and energy, and Energy Conversion and Conservation are not connected and comprehensively understood. Therefore, Considering the timing of the evaluation framework of TIMSS 2019, which is being conducted for 8th grade students, and the topics constituting the evaluation framework, an agreement is needed to readjust the content level, relevance, adequacy, and hierarchy of the physics field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Korea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students.

      • KCI등재

        안티 패턴 기반의 정적 분석을 이용한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취약점 분석

        최윤희(YunHee Choi),최은만(Eun Man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8 No.4

        본 논문에서는 시큐어 코딩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선정한 27개의 안티패턴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분석하였다. 선정한 안티 패턴은 심각도, 수정비용, 정보유출에 대한 가중치 항목을 포함하며 메소드에 안티패턴이 있을 때 각 메소드 별로 취약점이 분석되게 된다. 이 가중치 값은 취약점 분석 후 비슷한 특성을 가진 메소드들을 취약한 정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취약함이 덜한 메소드들을 하 군집, 전체 메소드들 중 취약함이 중간에 속하는 메소드들을 중 군집, 또한 다른 메소드들보다 상대적으로 취약한 메소드들을 상 군집으로 군집화하여 프로그램 수정을 위한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모든 오류 및 취약점의 분석 결과를 파악할 수 있으며 군집화 결과에 따라 필수적으로 수정해야 할 부분의 범위를 쉽게 확인함으로써 유용성을 높일 수 있다. In this paper, a novel static analysis method is proposed. The novel method uses twenty-seven anti-patterns to analyze weak points of android applications. Each anti-pattern includes weighted values which consist of severity, remediation cost, and information leak. The weakness of application is measured for each class's method. After analysing weak points, the class's methods are divided into three clusters by the sum of weighted values in each class's method to decide the modifying priority of the application. These clusters are poor, fair, and good cluster, poor cluster which includes a few anti-patterns, fair cluster which includes some anti-patterns, and good cluster which includes many anti-patterns. As a result, using the novel method a user can find the weak points of the application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modify quickly more weak class's methods than others using the result of clustering.

      • KCI등재

        학생 능동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최윤희(Choi, YunHee),김용진(Kim, Yong-Jin),민재식(Min, Jae Sik),이윤형(Lee, Yoonhyeong),한효정 (Han, Hyojeong),김미점(Kim, Mi Jeom),이동엽(Lee, Dong Yup),신영준(Shin, Youngj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학생 능동 수업 유형과 학생 능동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초ㆍ중ㆍ고등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는 2016년 7월부터 12월까지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로는 학생 능동수업의 경험을 가진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며, 본 연구를 위해 학생 능동수업 성과 지표를 개발하고, 학생 능동수업 유형별 교육적 효과 차이와 학생 능동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언어적인 활동이 중심이 되는 수업보다 는 학생들은 조작적이며 수공적인 유형의 수업에서 학생 능동 수업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생보다는 초ㆍ중학생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학업 성적은 중, 하 수준의 학생보다 상 수준의 학생들이 능동 수업의 모든 유형에서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6개월에서 1년 미만 능동 수업 경험을 가진 경우에 학생 능동 수업의 교육적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 능동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고르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적 사고력’, ‘자기 주도 학습 능력’, ‘정보 매체 활용 능력’,‘발표 토론 참여 빈도 증가’ 부분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인식이 많았다. 학교급별 효과 차이는 ‘심미적 감성 역량’, ‘자기 관리 역량’, ‘과학적 참여’, ‘자기 주도 학습 시간의 증가’ 부분에서 중학생들의 효과가 초등, 고등학생들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과학적 사고력’, ‘자기관리’, ‘과학적 참여’ 부분에서는 남학생에게 효과가 있었고, 1년 이상 학생 능동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자기 주도 학습 시간의 증가’ 면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업 성적과 능동 수업의 경험에 따른 학생들의 잠재적인 발달 수준의 간격을 줄일 수 있는 방안 제시와 학교급별, 성별에 따른 학생 능동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을 양적 및 질적 분석을 통해 좀 더 심도 깊게 밝히고 구체적인 대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student active class types and student active classe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to December, 2016. Participants were 460 elementary, mid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active experience in student activities. As a result, first, students active classroom activities were more effective than active classroom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were more effective in all types of active class than the students with middle and lower grades. In the case of students who have active class experience for 6 months to less than 1 year, the active effect of student active class is high. Second, the educational effect of student active class was e enly higher in all areas. Howe er, there were many perceptions that scientific thinking ,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ability to use information media , and The effect of school level difference on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aesthetic emotional competence , self-management competency , scientific participation , and increase of self-directed learning time was higher than that of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Scientific thinking , Self-management ,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were effective for male students, and students who received active classes for more than one year were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self-directed learning tim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way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student s potential developmental level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active classroom activities, depending on the school s grade and gender, It is necessary to clarify more deeply through the analysis and to prepare specific alternatives.

      • KCI등재

        융합 인재 교육 경험을 가진 중등 과학 교사들의 공학적 설계에 대한 인식 탐색

        최윤희 ( Yunhee Choi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3

        본 연구는 융합 인재 교육 경험을 오랫동안 해 온 교사들의 공학적 설계에 대한 인식을 탐색한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융합 인재 교육 경험을 5년 이상 해 온 초·중등 교사 12명으로 진행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서 진행되었으며, 면담은 1~2회에 걸쳐 60~90분 정도로 진행되었다. 면담 질문은 융합 인재 교육 경험과 공학적 설계에 대한 인식, 공학적 설계의 교육과정 반영 여부, 공학적 설계를 도입한 융합 인재 교육의 실제 사례 등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과학, 기술, 공학에 대한 개념의 동일시 그리고 혼재, 공학적 설계는 창의적 설계를 위해 필요한 요소들의 적절한 조합, 공학적 설계는 창의적 설계에 유용성과 경제성을 추구했을 때 가능, 공학적 설계는 이공계 진로를 선택한 학생들만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과학, 기술, 공학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정립하여 제시하고 과학적 문제 해결을 위한 공학적 설계에 대한 내용을 교육과정에 포함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공학적 설계가 포함된 융합 인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산하여 현장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교사와 예비 교사들의 과학, 공학 융합 프로그램과 공학적 설계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 of Engineering Design of teachers who have long experience in the Integrated STEAM education.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12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in the Integrated STEAM Education. The study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Interview questions focused on experiences of Integrated STEAM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Engineering Design, whether or not to reflect the curriculum of Engineering Design, and actual cases of Integrated STEAM Education with Engineering Desig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cognized that 'identification and coexistence of concepts for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about Engineering Design, 'Creative design is possible when creativity is added to Engineering Design', 'Engineering Design is to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utility of the output created through the creative design process', 'Engineering Design is only for students who choose a career in science and engineering'. Based on this research, We need to establish and present correct concepts for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and make an effort to include Engineering Design for solving scientific problems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we will have to develop and spread the Integrated STEAM Education program including Engineering Design and apply it in the field. Through this, we will have to find concrete action plans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STEAM programs and Engineering Design among no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 폭소노미에서 위치태그 분석을 통한 공간관계 추출 기법

        최윤희(YunHee Choi),용환승(Hwan-Seung Yong)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

        최근 시멘틱 웹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시멘틱 웹의 핵심기술인 온톨로지 역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온톨로지는 웹 2.0 환경에서 가장 널리 인용되는 폭소노미의 부족한 어휘제어기준 때문에 생기는 동의, 유의, 다의어 등에 대한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되고 있다. 그래서 현재 폭소노미와 온톨로지를 서로 보완시켜 결합시키는 연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폭소노미 기반의 메타데이터들 중 위치정보를 담은 태그들을 오픈서비스를 이용해 추출하고, 위치정보 관계분석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태그들 간의 공간관계를 추출하여 위치정보 도메인 온톨로지로 자동구축 및 보완해 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구현한 시스템을 통해 폭소노미의 쉬운 접근성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를 온톨로지의 의미적이고 기술적인 정보와 연관시킨다. 이를 통해 데이터에 개념적인 관계를 보완해서 정보를 검색할 때 더욱 정확한 검색결과 제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웹 서비스의 자동화는 물론 온톨로지 구축 및 보완방법에 있어서 일관성과 정확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KCI등재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을 중심으로 한 어머니훈련이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윤희(YunHee Choi),이소현(SoHyu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2

        부모와 유아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은 유아의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어머니와 발달지체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어머니의 민감성(sensitivity), 반응성(responsiveness), 상호성(reciprocity) 증진을 목표로 한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을 훈련하였다. 어머니훈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놀이 상황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훈련을 통해 어머니와 발달지체 유아의 상호작용 발생률이 증가하였고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상호성을 강조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발달지체 유아의 조기 중재 시 부모 지원을 위한 상호작용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importance of quality of early parent-child relationships has become increasingly apprecia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ing mothers to use responsive communication strategies(RCS) to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during their play actives. RCS, comprising development of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to child’s communication behavior, following the child’s lead and increasing the mutual reciprocity, were used to facilitate a conversational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three parent-child dyads was used to prove the experimental control. Data were collected by recording a 10-minute video of their play with partial interval, time sampling.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aternal RC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omoting the parent-child interaction and that this interaction was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Increases in the reciprocity of parent-child and quality of interaction were not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including the need to explore implementation factors rela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ren, are presented.

      • KCI등재

        TIMSS 2019 평가에서 eTIMSS 평가와 문항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최윤희(Choi Yunhee),김현경(Kim Hyu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TIMSS 2019 평가에서 eTIMSS 평가(컴퓨터 기반 평가)와 평가 문항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은 총 12명으로 TIMSS 2019 예비 문항이 보안 문항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예비 문항 검토에 참여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일반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와 PSIs로 구성된 검사에 동시에 응답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위해 사 전에 학생 설문지를 토대로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하였고, 교사용 질문지를 활용하여 교사들이 자유롭게 의사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TIMSS 2019의 컴퓨터 기반 eTIMSS 문항을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 행하고 있는 과정형 중심 평가에 도입 및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컴퓨터 기반 교수 학습 활동을 통해서 과학 핵심 역량을 비롯하여 과학적 탐구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컴퓨터 기반으로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이나 전략의 개발을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중학교 과학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요소들을 탐색하여 과학 교사들이 갖추어야 하는 역량을 제안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on eTIMSS evaluation (computer-based evaluation) and evaluation items in TIMSS 2019 evaluation. A total of 12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for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preliminary question review because of the specificity of TIMSS 2019 preliminary question as security item.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eachers who responded to tests consisting of general questions and PSIs. In order to interview the focus group, they develope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based on student questionnaires in advance, and interviewed teachers to freely express their opinions using teacher questionnaires. Based on this study, we will be able to present concrete measures to introduce and apply the computer-based eTIMSS items of TIMSS 2019 to the process-fortified evaluation currently underway in Korea. In addition, through computer-bas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e can expect to develop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on a computer basis that can develop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s well as core scientific competen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pose the competencies that science teachers should have by exploring factor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o apply computer-based evalua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