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돌봄 참여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최예린 ( Ye Lin Choi ),최운선 ( Woon Sun Choi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riables influencing fathers` involvement in infant care. The subjects were 203 fathers with infants aged 0-36 months who were attending day care centers in the Chungnam area i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ssess the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a Bootstrap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emotional motivation has no direct effect on infant care. However, role-confidence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motional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infant care. Second, spousal support directly affected the level of involvement in infant care, and role-confid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al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infant ca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영아를 위한 북스타트 프로그램 경험의 의미

        최예린(Choi Ye-lin),구수연(Gu Su-Ye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의미를 탐색하는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C시의 문헌정보관에서 제공하는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참여 하는 영아와 보호자를 참여 관찰하였으며, 인터뷰를 하였다. 자료 수집과 분석은 도출된 연구 문제인 북스타트 프로그램이 영아와 양육자에게 갖는 경험으로 나뉘어 분석되었다.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은 영아들에게 즐거움으로서의 책 경험, 자율적인 책 탐색, 모방의 기회, 또래 인식 등의 경험으로 분석되었으며, 양육자에게는 영아기에 책이 갖는 의미 이해, 양육에 대한 정보 교류, 자녀와 놀이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 영아 발달에 대한 인식, 유익한 외출로서의 경험으로 분석되었다. 영아를 위한 북스타트 프로그램에서 책은 영아에게 감각 탐색의 대상이면서, 환경과 자신을 매개해주며, 영아의 보호자에게는 자녀 양육에 있어 배움과 변화의 기회를 제공한다.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Bookstart program for infants. The experience of Bookstart program was analyzed in two aspects, for infants and their mothers(grandmothers). For infants, it has the meaning of ‘experience of book as the source of joy’, ‘autonomous exploration of book’, ‘chance to imitate’, and ‘recognition of peers’. And for their mothers it has the meaning of ‘chance to change and learning’; ‘recognition on the meaning of book for infants’, ‘exchange of information about raising kids’, ‘knowing how to play with their kids’ and ‘understanding about infant development’ and ‘beneficial going out’. Bookstart program can be rolled as a media to relate infant with environment, and gives mothers chances to learn and chang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o raise their children.

      • KCI등재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이야기

        최예린 ( Ye Lin Choi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이야기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과 그들이 깨달은 좋은 수업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아동복지학과 학생 9명이고,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울러 참여자들의 사고를 확장하기 위해 수업 관련 동영상 시청, 그림책 읽기, 경험회상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좋은 수업 특징은 재미와 흥미가 있는 수업,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능동적 참여가 있는 수업, 놀면서 배우는 수업,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의 수업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이 깨달은 좋은 수업 의미는 상호 신뢰 하는 수업, 존중과 수용이 공존하는 수업, 기다려주는 수업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관련 동영상 시청, 그림책 읽기 및 경험회상을 활용한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 활동은 예비유아교사로 하여금 좋은 수업에 대한 반성, 변형, 재구성을 할 수있게 하는 교사교육의 한 형태라는 것을 제언할 수 있겠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good teaching recogniz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nine students who are senior in the child welfare department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and participants`` journals. In addition, this study used video and picture books on class teaching to expand the participants’ thinking. The results presented below: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are as follows a fun and interesting class, active interactions, active participation, learning while playing, direct and specific experiences. Second, the meaning of good teaching based on self-realization was as follows: a class with mutually trust, respect and acceptance, waiting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mall group discussion and journaling through video and picture books used during class, to document the experience can be useful in teacher education in developing student teachers`` reflection and reconstruction as well as making modification for good teaching.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유아교육과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최예린(Choi Ye-L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2년제 유아교육과에 입학한 성인학습자들이 학생이 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자 이루어졌다. C도시에 소재 B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입학한 성인학습자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집단면담, 개인면담, E-mail, 전화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trauss와 Corbin (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개방코딩결과 25개의 하위범주와 13개의 상위범주로 범주가 추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유아교육과를 선택하게 된 인과적 조건, 유아교육과 대학생활을 경험하면서 발생하는 현상, 그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상황적 맥락, 맥락으로 인해 성인학습자가 취하는 행동으로 상호작용,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특정한 요인으로 중재적 상황, 그리고 상호작용에 의해 초래된 성과로서 결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선택코딩에서 중심 범주를 도출한 결과 핵심범주는 현실을 수용하며 배움에 임하기였다. 유형분석 결과 ‘자아실현형’, ‘혼신형’, ‘의존형’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dult learners’ experiences in a 2-yea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 adult learners who entered a 2-year early childhood pre-service program located in C cit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group interviews, e-mail and telephone interview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open coding as the first stage of the analysis was conducted and 13 categories and 25 sub-categories were found. Then the axial coding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dimensions of grounded theory including the causal conditions that the participants chose to be a early childhood teacher, the phenomena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rough their school lives, the contexts that caused those phenomena, the interactional strategies that the participants planned in the contexts, the mediate situations that made it possible to plan the strategies, and the consequences of the interactions in the context. Finally, through selective co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experiences of adult learners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program were identified with three different types such as self-actualizer, trier, and dependant.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책의 특징과 책읽기의 의미 내용 분석

        최예린 ( Choi Ye-lin ),한주희 ( Han Ju-h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에 나타난 책의 특징과 책읽기의 의미에 관한 내용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책에 관한 내용이 담긴 그림책 총 23권을 선정하였고, 질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그림책에 나타난 책의 특징으로는 동물 주제의 책, 전문 분야의 책 등 다양한 종류의 책이 있으며, 책은 종이로 만들어졌으며 글과 그림 등이 있다는 속성을 가지고 있고, 책에서 보여주는 공간은 환상 세계의 공간과 과거 공간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에 나타난 책읽기의 의미는 재미있고 행복하기 위해서 그리고 슬픔을 치료하기 위해 책을 읽고, 책을 읽음으로써 지식을 습득하게 되고, 풍부한 책읽기 환경으로 변화된다. 장소적 측면에서 도서관과 그 밖의 다양한 장소에서 책을 볼 수 있으며, 책은 혼자 조용히 읽을 수 있고 다른 사람과 함께 읽을 수 있는 매체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들이 그림책에 나타난 책을 읽음으로써 그림책의 가치와 책읽기의 의미를 알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tents, especially the features and meanings, in picture books. This study used 23 picture books, and quantitative design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the features of the picture books were as follows: there were a variety of books related to animal themes, the attribute of the books had a material like a paper, and the characters of the picture books moved to an imagination space and past space. Second, the meaning of the picture books was as follows: the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e ‘reason’ for reading was related to fun and emotional support; the ‘result’ of reading was related to increasing knowledge and changing to an environment that has plentiful books; the location of reading was at the library and in a variety places, and the ‘method’ of reading was quiet reading and shared reading.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e value of reading as well as the meaning of reading in children through picture books.

      • KCI등재

        소모임과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초임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적응 과정

        최예린(Ye Lin Cho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초임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을 탐색해 봄으로써 바람직한 초임교사들을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4년제 아동복지 학과를 졸업 후 충청남도 소재 ○○ 어린이집에 취업한 보육 교사 6명을 연구 참여 자로 선정하였으며 약 5개월 동안의 연구기간 동안 소모임과 저널쓰기 등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학부모, 교사, 일은 초임 보육교사의 적응과정을 설명하는 토대가 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초임보육교사들은 유아와의 관계에서 ‘초임’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부정적 정체성을 경험했지만 점차 유아 들과의 관계에서 ‘나는 교사다’라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둘째, 초임 보육교사들은 부 모와 경력교사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꼈지만 ‘만남’을 통해 점차 긍정적인 관계로 발전되었다. 마지막으로 초임 보육교사들은 다양한 과업을 수행하면서 육체적 피로를 경험하였지만, 돌봄과 가르침의 과정에서 배움과 자기성찰의 경험을 하게 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adaptation process of day care center`s beginning teachers and to reveal implications for supporting beginning teachers. Participants consist of six bachelor degree holders in curriculum in child welfare working in Chung Nam. The data collection, conducted over five months, was obtained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s and the participants` journals. Findings show that the adaptation of beginning teachers can best be explained through the children, their parents, experienced teachers, peer teachers and work itself. The study offers three important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self-consciousness of being novice contributed to their experiencing a negative identify in relation to children. Second, initial difficulties related to dealing with the parents and more experienced teachers gave way, through meeting, to a positive situation. Third, the beginning teachers suffered physical fatigue from their job but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and of self-reflection to caring as well as the teaching` process.

      • KCI등재

        그림책 내용분석 논문의 연구 동향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최예린(Choi, Ye-Lin)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2002년도부터 2017년도까지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총 137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그림책 내용분석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 경향은 2016년에 17편으로 가장 많았고, 2002년 이후 꾸준하게 수행되고 있다. 둘째, 그림책 내용분석 주제는 내적 세계와 사회적 세계가 각각 27편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족 세계 21편, 종교 세계 12편, 문화 10편, 기타 7편, 성, 친구 및 놀이가 각각 6편, 노인, 책과 도서관과 장소가 각각 5편, 자연 세계 4편, 동물 2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 내용분석 논문은 질적 연구 69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양적 연구가 47편, 혼합 연구가 21편이다. 자료수집의 경우 국내외 그림책을 함께 사용한 논문이 67편, 국내 그림책 37편, 국외 그림책 33편이었다. 넷째, 분류기준 경향은 글과 그림 텍스트를 함께 본 연구가 99편, 글 텍스트를 기준으로 한 논문이 38편, 그림 텍스트만 분석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다섯째, 장르 경향은 제시하지 않는 논문 37편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창작 그림책 36편, 사실 그림책 15편, 환상 그림책 14편, 모두 포함 11편, 옛이야기 10편이고, 옛이야기, 사실 그림책, 환상 그림책 8편, 창작과 정보 그림책 6편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학술지가 47편으로 가장 많이 그림책 내용분석 연구가 게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picture book content analysis for 137 published papers in a domestic journal from 2002 through 2017.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research trends was the highest for 2016(17 articles) and research on picture book content analysis has been consistently been conducted since 2002. Second, research topics appearing in the domestic journal were as follows: inner world and the social world 27 articles; family world 21 articles; the religious world 12 articles; cultural 10 articles; others(not included) 7 articles; sex (sex role and sexual violence), friends and playing each other 6 articles; older man, book and library and place each 5 articles; natural world 4 articles and animals 2 articles. Third,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litative studies 69 articles; quantitative studies 47 articles and mixed methods studies 21 articles. In the data collection, 67 articles used Korean and foreign picture books and 37 articles used domestic picture books and 33 articles used only foreign picture books. Fourth, the classification tendency was as follows: 99 articles used writing text with picture text, and 38 articles used only writing text which was not found in the picture text. Fifth, the genres of the research trends were as follows: no genres 37 articles; next created picture books 36 articles; realistic picture books 15 articles; fantasy picture books 14 articles; all genres 11 articles and old tales 10 articles. Finally, 47 articles in the KSCL&E journal had the most picture book content published.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책 읽는 등장인물 분석

        최예린 ( Choi Ye-li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에 나타난 책 읽는 등장인물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책 읽는 등장 인물이 묘사된 그림책 총 50권을 선정하였고, 빈도분석과 질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그림책에 나타난 책 읽는 주체를 살펴보면 사람이 38권, 동물 24권, 기타(유령, 괴물 등)가 6권이며, 책 읽는 등장인물의 연령은 아동이 37권, 성인이 15권, 노인이 3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책 읽는 등장인물 성별은 남성 27권, 여성 29권, 모름 9권이다. 둘째 그림책에 나타난 책 읽는 이유는 즐거움과 재미29권, 좋음과 행복함 14권, 배움 확대 10권, 정서적 지지와 공감 12권, 기타 또는 모름이 5권으로 나타났다. 셋째 책 읽는 등장인물 특징은 독서광이지만 유익을 주는 존재, 환상적 이야기를 펼치는 존재, 우스꽝스럽고 엉뚱한 존재, 취침 전 책 읽기를 요청하는 존재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림책에서 책을 읽고 있는 등장인물의 유형, 책 읽는 이유 그리고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책읽기의 가치와 책 읽기의 방향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haracters who are reading books in picture book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0 picturebook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ir frequency based on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the picturebooks had the following characters: 37 books included humans; 24 included animals, and 6 books included everything else(gosh, monster, etc). The ages of the characters in the picturebooks were as follows: 37 books portrayed children; 15 books showed adults, and 3 books depicted an old man. The gender of the characters was as follow; 27 books had male characters; 29 books had female characters, and 9 books had genderless characters. Second, the reasons why characters were reading a book were as follows: 29 books were related to fun and enjoyment; 14 books were related to happiness and just for love; 10 books were related to the expansion of learning; 12 books were related to emotional support, and 5 books were not revealed. Third, the features of the characters` who were reading a book were as follows: (1) A being who- was a bookworm who was very helpful to other people, (2) A being who was a storyteller who one`s imagination wander, (3) A being who represented a funny and a bold idea, (4) A being who asked for bedtime reading books.

      • KCI등재

        1세 영아의 그림책 읽기 행동 변화 탐색

        최예린(Choi Ye-Lin),박찬옥(Park Chan-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1세 영아의 그림책 읽기 행동의 변화를 탐색하는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1세 영아 남아이며, 자료 수집은 2008년 3월19일부터 2009년 2월 26일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일주일에 한번 참여자 현빈이의 집 또는 현빈이 친구네 집을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1세 현빈이가 두드러지게 보여준 그림책 읽기 행동은 감각적 탐색하기, 눈과 손의 협응을 통한 책읽기, 언어적으로 표현하기, 그림책의 내용 모방하기, 그림책의 내용 알고 반응하기였다. 이러한 행동은 월령이 높아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변화는 이전의 경험과 유기적으로 관계 맺으며 나타났다. 이런 점에 그림책 읽기는 연구 참여자 영아의 발달과 관련됨을 시사해 주었다. This qualitative research is the exploration on the changes of an one year old infant's reading of picture books. For this research, the subject was an one year old bo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9 2008 to February 26 2009 by both participated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For this data the researcher visited the participant at his friend’s house regularly once a week. The aspects of an one year old infant from reading picture books could be enumerated to sensory exploration, eye-hand coordination, verbal expression, imitating story of picture books and responding to story of picture books. As one year old infant adds more months to his life, his reading behavior gradually improves. Particularly, this change was correlatively related with their previous experience. Therefore the picture book reading was related to the one year infant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도깨비 분석: 형상과 인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최예린 ( Ye Lin Choi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그림책에 나타난 도깨비의 형상과 인간과의 관계를 통해 나타난 도깨비를 분석고자 한다. 본 연구에 선정된 그림책은 한국인 작가에 의해 출판된 24권의 도깨비가 등장한 그림책이다. 연구결과, 그림책에 나타난 도깨비의 외적인 특성은 맨발(23권), 큰 이빨(18권), 큰 얼굴(17권), 뿔(15권), 머리(15권), 하의(11권), 방망이(9권) 순으로 나타났고, 이미지의 경우 귀여움(16권), 우스움(12권), 무서움(9권)순으로 나타났다. 인간과 도깨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도깨비는 인간에게 양면적인 존재, 상호 교류하는 존재, 인간과 놀이를 즐기는 존재로 드러났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도깨비는 무능하면서 초능력적인 면을 가지고 있고, 때로는 인간에게 복을 주기도 하고 벌을 주는 존재였다. 둘째, 도깨비는 인간에게 작은 것을 빌려가고 더 많은 것으로 보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또는 인간과 물질적인 것을 교환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도깨비는 인간과 놀고 싶어 하거나 또는 인간과 함께 놀이에 참여하는 존재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Dokkaebis as character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human as depicted in picture books published in Korea. 23 picture books by Korean author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Dokkaebi found to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appearances in picture books: bare-foot (24 books), canine tooth (18 books), big face (17 books), a horned (15 books), hairy (15 books), possessing a magic club (9 books) and wearing short pants (11 books). They were variously cute (16 books), funny (12 books) or horrible (9 books). Their relationship with humans in these picture book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s a double existence, interdependence with humans and playing with humans. The researcher hopes Dokkaebi will be recognized as a culturally relevant metaph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