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소 지각 발달 연구 고찰 및 관련한 한국어 연구의 동향과 과제

        최영은(Youngon Choi),최미혜(Mihye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본 연구는 지난 수십여 년간 많은 발전을 이룬 음소 지각 발달에 대한 연구를 심도 있게 개괄하고 종합하여 음소 지각 발달 이론의 검증과 구축에 한국어와 한국어 습득 영아들에 대한 연구가 지닌 역할과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지난 40여 년 이상의 국내외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분석에는 행동 측정 연구만이 아니라 대뇌 측정법을 이용한 연구들도 포함하였고, 최근 비롯된 한국어 관련 연구 시도들도 포함하였다. 결과: 문헌 고찰 결과, 최근 다양한 언어들에서 추가적으로 얻어진 결과들은 기존의 발달 이론만으로는 음소 지각 발달을 모두 설명할 수 없음을 드러내었고, 음소 지각 발달에 보다 다양한 요인들이 개입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어 습득 연구는 아직까지는 미미하지만 기존 이론의 수정에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할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어 음운 발달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여 추가 연구가 중요함을 볼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음소들과 이를 습득하는 아동들에 대한 추후 연구는 음소 지각 발달 이론의 검증과 구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비장애 아동의 발달 과정에 대한 자료 구축은 조기 의사소통장애의 진단과 치료에도 매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The goal of the present article is to provide an in-depth review of past studies on infant speech perception. Based on an extensive review, we aim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field and to propose important roles that research on Korean and Korean-learning infants can play to further test and advance exiting theories. Methods: We conducted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encompassing papers published in the past four decades or so, including behavioral studies as well as brain research, and studies conducted with various languages, including recent efforts made towards testing Korean babies. Results: Our re¬view showed that the existing theories are largely drawn from a few languages, mostly Indo-European and Romance languages, and how recent data from various other lan¬guages have challenged the existing model. This suggests that more data from languages such as Korean are essential to further test the development of speech perception theory. Furthermore, our review shows how little has been done to understand Korean babies’ na¬tive phonology development. Conclusion: Studies involving Korean phonology will not only play an important role for developing speech percepton theory, they will also provide developmental normative data for diagnosis/therapy of individuals having difficulty devel¬oping Korean phonology.

      • KCI등재

        문장 의미 처리에서 학령전기 아동의 운율 정보 이용

        최영은(Youngon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들이 문장의 의미와 구조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운율 정보를 문장 의미 결정에 이용할 수 있는 조건들을 살펴보았다. 방법: 실험 1에서는‘어디 가요?’와 같은 의문문의 의미를 운율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지를 이야기를 듣고답하도록 하였고, 실험 2에서는 ‘기린/과자 먹어요.’와 같이 중의성을 띈 문장(‘기린이 과자를먹는다’ 혹은 ‘누군가 기린과자를 먹는다’)의 의미를 운율이나 형태소 정보에 따라 해석할 수있는지를 보기 위해, 문장을 듣고 의미에 맞는 그림 고르기 과제를 운율 정보만 제시한 조건,형태소 정보만 제시한 조건, 그리고 운율과 형태소를 함께 제시한 세 조건에서 수행하도록하여 아동의 문장 처리에서 운율 정보가 독자적으로 차지하는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결과:실험 1과 같이 운율 정보가 문장의 구조와 무관하게 어휘의 의미에만 관련된 경우, 3~4세아동들도 운율 정보에 따라 문장을 잘 해석하였다. 반면에 운율 정보가 문장의 통사적 구조에직결된 실험 2의 문장들의 경우 5~6세 아동들도 운율 정보에 따라 문장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그러나 형태소 정보와 운율 정보를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때, 형태소만 사용할수 있는 조건보다 높은 수행을 보여 운율 정보가 아동의 문장 처리에 어느 정도 독자적 기여를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논의 및 결론: 학령전기 아동들은 운율 정보를 잘 탐지하고 문장처리와 해석에 이를 이용하지만, 문장 해석 조건에 따라 이러한 능력이 쉽게 제약을 받는것으로 나타나 이렇게 제약을 부여하는 조건들과 그 원인을 설명하는 이론과 관련 요소들을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sentential conditions that affect preschool-aged children’s ability to use prosody in sentence processing. Methods: In experiment 1, children were asked to respond to ambiguous questions, which can be disambiguated solely based on prosodic information, after listening to a series of stories that preceded the question. Experiment 2 examined whether the children can use prosody to determine sentence structures and meaning accordingly and compared the role of prosody in child parsing to that of morphological information, such as case markers, by presenting syntactically ambiguous sentences across three conditions: prosody-only, morphology-only, and prosody-morphology. This approach also allowed us to determine the unique contribution of prosody to child parsing above and beyond morphological information. Results: Children as young as 3 to 4 years of age were able to determine the target meaning of the ambiguous questions based on prosody in experiment 1,in which prosody was not relevant to sentence structure. By comparison, children as old as 6 years of age still showed some difficulty using prosody to determine sentence structure and meaning in which prosody was directly related to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the target sentence in experiment 2. Experiment 2 also revealed that children performed better in prosody-morphology conditions than in morphology-only conditions, suggesting that prosody uniquely contributes to child parsing above and beyond morphological information. Discussion & Conclusion: We discussed both the specific conditions that seem to affect the child’s use of prosody in child parsing and why such variations in using prosody might emerge as children develop a language.

      • KCI등재

        한글 글자 유형이 시각 폭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영은(Youngon Choi),김태훈(Tae Hoon Kim) 한국인지과학회 2016 인지과학 Vol.27 No.2

        읽기의 초기 단계에서 처리되는 글자의 정보량을 지칭하는 시각 폭은 개별 글자의 획수가 증가하거나 폰트의 종류, 고정된 지면에서 차지하는 잉크의 면적, 글자 간의 간격과 같은 복잡성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들이 조합되는 독특한 알파벳-음절 표기법을 사용하는 글자 체계를 가지고 있어 영어나 중국어를 중심으로 한 결과들에 비해, 자모구성의 글자 유형에 따라서도 복잡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특수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글자 쌍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글자의 유형에 따라 한글 읽기 시각 폭의 크기가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여러 글자 유형의 시각 폭 중 읽기 능력의 개인차를 예측하는 글자 유형을 확인해보고자 시각 폭과 읽기 폭, 읽기 유창성, 읽기 이해와의 상관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글자 유형이 복잡해질수록 글자 재인 정확률이 감소하고 시각 폭이 줄어드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자음+모음+자음의 형태가 자음+모음 형태보다 글자 재인율이 높고 시각 폭도 큰 것으로 나타나 자모조합의 복잡성에 따른 영향이 선형적이지 않고 다른 요인이 개입할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자음만 제시한 조건과 CV조건의 글자 재인율은 읽기 이해와 정적 상관을 보여 향후 읽기 능력과 관련한 시각 폭 측정 시 사용할 수 있는 글자 유형으로 나타났다. The visual span refers to the number of letters that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without moving one’s eyes. The size of the visual span is affected by sensory factors such as perimetric complexity, crowding, and mislocation of letters. Korean Hangul utilizes rather unique alphabetic-syllabary writing system, quite different from English and Chinese writing systems. Due to this combinatorial nature of the script, the visual span for Hangul characters can also be affected by the letter type (e.g., CV vs CVCC).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yllable complexity on the visual span for Hangul by comparing letter recognition accuracy across four letter type conditions (C only, CV, CVC, and CVCC). We also aimed to determine the meaningful letter type(s) that is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reading abilities in Korean. Using a trigram presentation method, we found that overall recognition accuracy declined as syllable complexity increased. However, the visual span for CVC type was greater than that for CV type, suggesting that the effect is not necessarily linear, and that there might be other factors affecting the visual span for these types of letters. C and CV type showed fair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ading comprehension, suggesting that these might be the meaningful units for measuring visual span in relating to reading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