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검진센터에서의 선별 유방촬영술: 6년간의 의학적 감사

        한부경,최연현,Han, Bu-Gyeong,Choe, Yeon-Hyeon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9 No.2

        목적:검진센터에서 시행된 유방촬영술의 결과를 임상적 추적검사와 중앙암등록사업소의 자료를 토대로 의학적 감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6년간 본원 검진센터에서 시행된 32,289건(실인원 25,541명)의 유방촬영술을 대상으로 하였다.유방촬영술 결과를 미국방사선의학회 유방영상판독 및 데이터체계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ACR BI-RADS)의 추적 및 결과분석편에 따라 의학적 감사를 시행하였다.판독은 ACR-BIRADS에 따라 category를 정하였으며,category 0,4,5에 해당되는 경우를 추적검사하였다.위음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원 의무기록실과 중앙암등록 사업소에서 유방암으로 등록된 환자 중,암 진단 전 1년 이내 본원 검진센터 유방촬영술이 정상 또는 양성으로 평가된 적이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결과:대상군의 평균연령은 48.6세로 서구의 보고에 비해 10년 가량 낮았다.32,289건의 유방 촬영술 중 2,016건이 비정상 판정으로 재검을 권유 받았으며 (재검율:6.2%),재검 후 cate- gory 4,5로 조직검사나 수술을 권유 받은 256명중 51명이 암으로 진단되었다.유방암 발견율은 2.0/1,000명 (51/25,541),양성예측도1 (PPV1:선별 유방촬영 상 이상 소견을 보고한 예 중 실제로 암이었던 예의 비율)은 2.5%,양성예측도2(PPV2:조직검사를 권유한 예 중 실제로 암으로 진단된 예의 비율)는 20%였다.유방촬영술 소견 중 미세 석회화로만 보인 경우가 23예 (45%)로 가장 흔하였다.최소 유방암은 관상피내암 25예(49.0%)를 포함하여 37예(72.5%)였다.림프절 양성율은 6예(27%)였다.본원 의무기록실 기록을 토대로 한 유방촬영술의 민감도는 85.0%이며,중앙암등록사업소 기록을 추가로 조사한 경우의 민감도는 78.5%이고,특이도는 99%이다. 결론:검진센터에서 시행된 유방촬영술의 암 발견율은 2.0/1,000명이며,이중 최소 유방암율은 72.5%로 매우 높았으나,측정 가능한 민감도는 78.5%로 다소 낮았다.향후 선별 유방촬영술에 대한 적극적인 의학적 감사를 통해 가음성과 가양성례를 확인 분석하여 유방촬영술의 실적(performance)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Purpose: To report the findings of a six-year medial oudit performed at our mammographic screening centre, comparing those findings with the follow-up data stored at our hospital and at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findings of 32,289 mammographic examinations of 25,541 women performed at our screening center between 1994 and 1999. For follow-up and outcome monitoring, the guideline of the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ACR BI-RADS) was used. All mammograms were categorized by means of BI-RADS, and cases in categories 0, 4, and 5 were followed up through a review of our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o determine whether any cases were false negative, we compared breast cancer patients registered in our medical record department and in the Korean Central Cancer Registry during the study period, with women whose mammograms were interpreted as normal or benign at our screening center within a year prior to cancer diagnosis. Results: The mean age of women enrolled in this study was 48.6 years, ten years less than reported in the West. The recall rate was 6.2%. Among 256 women whose final assessment category was 4 or 5, breast cancer was diagnosed in 51. The cancer detection rate was 2.0/1,000 women; positive predictive value 1 (PPV1: PPV, based on abnormal findings at screening examination) was 2.5% of cases and PPV2 (PPV when biopsy or surgical consultation was recommended) was 20%. The most common mammographic finding was microcalcifications only (45%). The rate of minimal breast cancer, including invasive cancer less than 1 cm in diameter and ductal carcinoma in situ, was 72.5%. Node positivity was 27%. Sensitivity was 85.0% based on the tumor registry of our institution's medical record department, and 78.5% based on the tumor registry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Specificity was 99.0%. Conclusion: In our study, the cancer detection rate at screening mammography was 2.0/1,000 women. The rate of minimal breast cancer (72.5%) was very high but measurable sensitivity was 78.5%, somewhat lower than the ACR guideline of 85%.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creening mammography,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mammography and constant, follow-up and outcome monitoring are important

      • KCI등재

        유방촬영술의 임상영상평가: 전국조사

        문우경,차주희,한부경,최연현,김은경,최혜영,정수영,연경모,Mun, U-Gyeong,Cha, Ju-Hui,Han, Bu-Gyeong,Choe, Yeon-Hyeon,Kim, Eun-Gyeong,Choe, Hye-Yeong,Jeong, Su-Yeong,Yeon, Gyeong-Mo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9 No.6

        목적:우리나라 유방촬영술 임상화질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전국 257개 병의원에서 수집된 598예의 유방촬영사진에 대해 자세잡기,압박,대조도,노출수준,선명도,잡음,인공물,표지 등 8개 항목을 점수법 (1점,심각한 결함;2점,중요한 결함;3점,사소한 결함;4점,양호;5점,최상)으로 분석하였다.불합격은 임상영상평가 8항목중 4항목이상에서 3점이하인 경우나 인공물이나 표지를 제외한 항목에서 1-2점이 있는 경우로 했다.그 성적을 병원 종류 및 평가 항목별로 분석하였다. 결과:유방촬영 사진 598예 중 36.3%(217예)가 불합격으로 판정되었으며 병원종류별 불합격률은 대학병원 8.9%(11/123)(p<.01,Chi-square test),방사선과의원 38.2%(39/102),종합병원 42.6%(92/216),비방사선과의원 47.7%(42/88),법인의료단체(건강관리협회와 보건소)47.8%(33/69)였다.항목별 불합격률은 총 598예중 자세잡기 23.7%(142예)(p<.01,Chi-square test),표지 5.7%(34예),노출 5.4%(32예),대조도 4.2%(25예),선명도 2.7%(16예),압박 2.5%(15예),인공물 2.5%(15예),잡음 0.3%(2예)순이었다. 결론:전체 유방촬영 사진의 36.3%가 진단적 가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병원보다는비방사선과의원이나 법인의료단체의 불합격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overall quality of mammographic image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98 mammographic images collected from 257 hospitals nationwide were reviewed in terms of eight image quality categories, namely positioning, compression, contrast, exposure, sharpness, noise, artifacts, and examination identification, and rated on a five-point scale: (1=severe deficiency, 2=major deficiency, 3=minor deficiency, 4=good, 5=best). Failure was defined as the occurrence of more than four major deficiencies or one severe deficiency (score of 1 or 2). The results were compared among hospitals of varying kinds, and common problems in clinical image quality were identified. Results: Two hundred and seventeen mammographic images (36.3%) failed the evaluation. Poor images were found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at The Society for Medical Examination (33/69, 47.8%), non-radiology clinics (42/88, 47.7%), general hospitals (92/216, 42.6%), radiology clinics (39/102, 38.2%), and university hospitals (11/123, 8.9%) (p<0.01, Chi-square test). Among the 598 images, serious problems which occurred were related to positioning in 23.7% of instances (n=142) (p<0.01, Chi-square test), examination identification in 5.7% (n=34), exposure in 5.4% (n=32), contrast in 4.2% (n=25), sharpness in 2.7% (n=16), compression in 2.5% (n=15), artifacts in 2.5% (n=15), and noise in 0.3% (n=2).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in Korea, 36.3% of the mammograms examined in this sampling had important image-related defects that might have led to serious errors in patient management. The failur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n-radiology clinics and at The Society for Medical Examination than at university hospitals

      • KCI등재후보

        실리콘을 주사하여 유방확대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실리콘종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한기태,김진환,한부경,최연현,Han, Ki-Tae,Kim, Jin-Hwan,Han, Boo-Kyong,Choe, Yeon-Hyeon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1

        목적: 유방확대술을 목적으로 유방내로 실리콘을 직접 주입한 후 발생한 실리콘종의 자기공명 영상소견과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방확대술을 목적으로 실리콘을 유방내로 직접 주입한 환자들 중 촉지되는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9명(18유방)을 대상으로 하여 시상,축상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다. 실리콘 종의 크기, 모양, 경계, 신호강도, 조영증강여부, 분포, 주위유방실질의 변형여부 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실험적으로 돼지고기에 실리콘, 파라핀, 물을 넣고 자기공명영상을 얻어 각각의 신호강도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자기공명영상에서 실리콘종은 경계가 잘 그려지는 결절로 T1강조영상에서 저신호강도, T2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로 보였으며, 조영증강 후에는 뚜렷한 조영증강을 보이지 않았다. 유방암을 가지고 있던 1명의 환자에서 종양은 비균질한 신호강도를 보이며, 조영증강이 되는 소견을 보여 자기공명영상으로 실리콘종과 뚜렷하게 구분 되었다. 돼지고기에 실리콘, 파라핀, 물을 넣고 얻은 자기공명영상에서 파라핀은 모든 펄스대열에서 매우낮은 신호강도를 보였고, 실리콘은 T1 및 지방억제 T1강조영상에서 저신호강도, T2 물억제 T2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였다. 결론: 유방내 실리콘을 직접 주사하여 확대술을 받은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은 실리콘종과 지방조직, 유선조직 그리고 다른 병변과의 구분을 잘 하므로, 이러한 환자에서 유방내 병변을 진단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ssess the MR findings of siliconomas (silicone granulomas)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silicone injection mamm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Women with interstitial silicone injection mammoplasty were referred for this study on the basis of clinical findings of palpable mass. Nine patients with 18 augmentated breasts underwent axial and sagittal MR imaging, and the results were analysed in terms of their size, shape, margin, signal intensity, enhancement pattern, distribution and adjacent parenchymal distortion. We undertook in-vitro MR imaging of silicone, paraffin, fat, and water, and then compared their signal intensities at each sequence. Results: Siliconomas were seen as well-defined low-signal-intensity nodules at T1WI and high-signal-intensity nodules at T2WI. There was no demonstrable contrast enhancement. Where there was breast cancer in which heterogeneous signal intensity was observed at T1 -and T2WI, together with heterogeneous enhancement, siliconomas were well differentiated from the tumor mass. At in-vitro MR imaging of silicone, paraffin, fat and water, paraffin showed a very low signal intensitiy at all pulse sequences but silicone showed low signal intensity at T1-fat-suppressed T1WI and high signal intensity at T2-and water-suppressed T2WI. Conclusion: MRI allows clear differentiation of siliconoma from fat and fibroglandular tissue, and can therefore, reveal anatomical details and detect lesions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silicone injection mammoplasty.

      • KCI등재후보

        폐경 호르몬요법에서 경구용 Levonorgestrel 투여 1년 후 유방 치밀도에 대한 효과

        위찬우 ( Chan Woo Wee ),강민정 ( Min Jung Kang ),서경용 ( Kyoung Yong Seo ),최연현 ( Yeon Hyeon Choe ),민용기 ( Yong Ki Min ),이동윤 ( Dong Yun Lee ),최두석 ( Doo Seok Choi ),윤병구 ( Byung Koo Yoon ) 대한폐경학회 2011 대한폐경학회지 Vol.17 No.1

        연구목적: 한국 폐경여성에서 levonorgestrel (LNG)를 이용한 호르몬 치료의 유방 치밀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후향적 연구로서, 이전에 호르몬치료 기왕력이 없는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3명에게 estadiol valerate (E)+LNG를 이용해 주기적으로 치료하였고, 25명의 비치료군을 대조군, 10명의 conjugated equine estrogen (CEE)+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 치료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두었다. 이후 기저치와 1년 후 유방촬영을 시행하여 치밀도를 비교하였다. 치료 전후의 X선 유방촬영술상 유방 치밀도의 변화는 J-imag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자료는 chi-square 분석 및 Fisher`s exact 분석법, 그리고 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세 군 간의 기저 임상적 특성에 차이는 없었다. 1년의 호르몬요법 후,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기준에 따른 변화를 보았을 때 CEE+MPA 사용군 (77.8% [7/9])이, E + LNG 사용군 (12.5% [2/16])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P=0.001), E+LNG 사용군과 비치료군 (5.3% [1/19])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446). 치밀도가 3단계인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E+LNG 사용군은 비치료군과 유방 치밀도 변화에 차이가 없었다. J-image 프로그램을 이용한 분석 결과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회귀 분석 결과, 기저 치밀도와 호르몬요법후 치밀 면적의 변화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한국 폐경 여성에서 LNG를 이용한 호르몬요법은 유방 치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향후 유방암 위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s: We evaluated changes in mammographic density (MMGD) after hormone therapy (HT) using levonorgestrel (LNG)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58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with no history of prior HT were included. Twenty-three women were given a cyclic regimen of estradiol valerate (E) 2 mg/day+LNG 0.075 mg/day and 25 untreated women served as a negative control and 10 women treated with continuous combined regimen of conjugated equine estrogen (CEE) 0.625 mg/day+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 2.5 mg/day as a positive control. Mammography was obtained at baseline and 1 year later, and MMGD was assessed.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proportion of the dense area after HT was assessed using the J-image program. Data were analyzed with analysis of variance and chi-square or Fisher`s exact tes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among three groups. After 1 year of HT, increase of BI-RADS grade in CEE+MPA group (7/9, 77.8%) was higher than in E+LNG group (2/16, 12.5%; P=0.001).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untreated group (1/19, 5.3%) and E+LNG group (2/16, 12.5%; P=0.446). In subgroup analysis of women with BI-RADS grade 3 at baseline, no significant difference.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dense areas assessed by the J-image program showed similar results.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baseline dense area and changes after HT in E+LNG group. Conclusion: HT using LNG did not influence MMGD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Further study on breast cancer risk may be needed. (J Korean Soc Menopause 2011;17:27-33)

      • KCI등재

        증례 : 순환기 ; 폐렴간균에 의한 감염성 대동맥류와 동반된 내인성 안내염 1예

        오세훈 ( Se Hoon Oh ),이미래 ( Mi Rae Lee ),백경란 ( Kyong Ran Peck ),강세웅 ( Se Woong Kang ),최연현 ( Yeon Hyeon Choe ),김영욱 ( Young Wook Kim ),김덕경 ( Duk Kyung Kim )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8 No.3

        감염성 대동맥류는 세균성 감염에 의한 동맥벽의 미란과 파괴로 생긴 동맥류를 말한다. 그 원인 병원체로는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진균, 항산균 등이 있다. 폐렴막대균은 비뇨생식기계 감염, 지역사회 폐렴, 간농양, 내인성 안내염 등을 흔하게 발병시키나 감염성 동맥류의 원인으로는 드물다. 최근 들어, 특히 동부 아시아 지역에서 폐렴막대균으로 인한 간농양의 발생과 이에 동반된 내인성 안내염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아직까지 폐렴막대균 감염성 동맥류 A mycotic aneurysm is a localized, irreversible arterial dilatation resulting from destruction of the vessel wall by infection. Pathogens causing mycotic aneurysms include Gram-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mycobacteria, and fungi. Klebsiella pneumoniae

      • KCI등재

        한국 폐경 여성에서 경구 에스트로겐 종류에 따른 유방 치밀도에 대한 Medroxyprogesterone Acetate의 효과

        이동윤 ( Dong Yun Lee ),최현진 ( Hyun Jin Choi ),최두석 ( Doo Seok Choi ),민용기 ( Yong Ki Min ),최연현 ( Yeon Hyeon Choe ),윤병구 ( Byung Koo Yoon )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2

        연구목적: 한국 폐경 여성에서 경구 에스트로겐 종류에 따른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의 유방 치밀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Conjugated equine estrogen (CEE)+MPA 치료 (n=10) 및 estropipate+MPA 치료 (n=16)를 1년간 시행하여, 치료 전후의 X-선 유방촬영술상 유방 치밀도의 변화를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판독 및 J-imag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치료 대조군 (n=27)과 함께 비교하였다. 결 과: 각 군간 기초 임상 특성의 차이는 없었다. 1년의 호르몬 치료 후, 대조군 (0%)에 비해 CEE+MPA (7/10, 70%; P<0.001) 및 estropipate+MPA (3/16, 18.8%; P=0.002) 치료군에서 유의한 유방 치밀도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CEE를 병합한 경우가 estropipate 병합군에 비해 높은 유방 치밀도 증가를 보였다 (P=0.033). NIH J image로 계산한 치밀 면적의 비율 변화는 대조군에서 0.66%, CEE+MPA 군에서 7.67%, estropipate+MPA군에서 1.48%로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 한국 여성에서 estropipate+MPA 치료는 CEE+MPA에 비해 유방 치밀도에 대한 자극 효과가 적으며, 유방 치밀도의 변화는 경구 에스트로겐의 성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향후 유방암 위험에 대한 추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Objectives: We determined if the impact of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 co-administered with conjugated equine estrogen (CEE) or estropipate differed on mammographic density (MMGD)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53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without prior hormone therapy (HT) use were included. Smokers, habitual drinkers, women with a body mass index ≥27 kg/㎡, and women with a history of mammoplasty or breast cancer were excluded. HT using MPA (n=26) consisted of the following two groups: CEE (n=10) and estropipate (n=16). Twenty-seven untreated women served as the control group. Mammography was obtained at baseline and 1 year later, and MMGD was assessed based on the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by one radiologist who was blinded to treatment.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proportion of the dense area after HT was assessed using the J-image program. Data were analyzed with analysis of variance and chi-square or Fisher`s exact tes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MMGD among the three groups. After 1 year of HT, CEE (7/10 [70%]; P<0.001) and estropipate (3/16 [18.8%]; P=0.002) regimens significantly elevated the BI-RADS grade compared with controls (0%), and CEE induced a greater increase in MMGD than estropipate (P=0.033).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dense areas assessed using the J-image program increased more with the CEE regimen (7.67%) than the estropipate regimen (1.48%),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Estropipate+MPA had a less stimulating effect on MMGD than CEE+MPA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change in MMGD induced with MPA might depend on the oral estrogen preparation. A further study on breast cancer risk based on combination HT is warran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