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 일부지역 재래시장의 유전자재조합 콩나물의 판매실태 및 상인과 일부 고등학생의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인식도 조사

        최슬기(Seul Ki Choi),임정훈(Jung Hoon Lim),신지성(Jee Seong Shin),정진안(Jin An Jeong),정효지(Hyojee Joung)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0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nitor genetically modified bean sprouts at traditional markets in Seoul and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traditional market merchants and high school students o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We analyzed 30 bean sprouts that were selected at 11 traditional markets in Seoul using the method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lso, we compared perception of GMOs between merchants (n = 30) and students (n = 126). Knowledge test about GMOs was performed by students. The result of PCR, 16.7% of bean sprouts were confirmed as GM bean sprouts (n = 5). Students had significantly more exposure to information about GMOs than merchants (p < 0.05). Major information sources about GMOs were from mass media (television, newspaper and radio). About half of subjects were not aware that they eat GMOs and GMOs are sold to consumers. Only 17.3% of subjects had constant eating intent for GMOs after perceiving foods that he/she usually eats are GMOs. 51.3% of subjects had willingness to purchase GMOs if GMOs have same quality and lower cost than natural foods. 37.2% of subjects thought that GMOs would be harmful to humans. Student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of GMOs` side effects than merchants (p < 0.01). There was no merchant who knew labeling of GMOs. 19.1% of students knew labeling of GMOs. Students` mean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six questions about GMOs was 45.2%. Therefore, providing adequate information about GMOs is needed for consumer`s choice whether to purchase GMOs or not. (Korean J Community Nutr 15(5): 679~686, 2010)

      • 속성기반 암호를 이용한 스마트워크 환경에서의 데이터 접근제어

        최슬기 ( Seul-ki Choi ),곽진 ( Jin Kwa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1

        스마트워크는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업무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는 미래지향적인 업무 환경이다. 이미 국내·외 많은 국가 및 기업들이 스마트워크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 및 근로자 그리고 사회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환경에서 업무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데이터 접근에 대한 보안 위협이 존재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워크 환경의 보안을 위하여 속성기반 암호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황정보를 고려한 데이터 접근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 안드로이드 모바일 플랫폼에서 보안 강화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권한 제어 기법 연구

        최슬기 ( Seul-ki Choi ),곽진 ( Jin Kwa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구글의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오픈 소스의 특성으로 인해 스마트 폰 제조사와 통신 사업자, 일반 사용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2013년 2분기에는 전 세계 스마트 폰 시장에서 점유율 79.3%라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의 높은 점유율만큼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대한 공격들 또한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공격들로부터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보안 기능들이 안드로이드에 탑재되고 개선되고 있지만, 보안 기능이 개선되는 만큼 새로운 보안 취약성들도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권한 기법에 대한 보안 취약성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향상된 보안 대책을 제안한다.

      • KCI등재

        안드로이드 로깅 시스템을 이용한 DDoS 공격 애플리케이션 탐지 기법

        최슬기(Seul-Ki Choi),홍민(Min Hong),곽진(Jin Kwak) 한국정보보호학회 2014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4 No.6

        현재까지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유출시키고, 유출된 개인정보를 악용하기 위한 악성 애플리케이션을 탐지하고, 이러한 악성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공격 대상이 아닌 DDoS와 같은 2차적인 공격을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공격 도구로 사용하기 위한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유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로깅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기 내부에 설치된 DDoS 공격 애플리케이션을 탐지하는 기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Various research was done to protect user"s private data from malicious application which expose user"s private data and abuse exposed data. However, a new type of malicious application were appeared. And these malicious applications use a smart phone as a new tools to perform secondary attack.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the DDoS attack application installed inside the mobile device using the Android logging system.

      • 기후위기의 건강 영향에 대한 인식 제고 방안: 기후건강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최슬기 ( Choi Seul Ki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보건복지포럼 Vol.320 No.-

        이 글에서는 기후건강 리터러시의 개념을 적용하여 기후위기의 건강 영향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기후건강 리터러시 증진을 위해 수행 중인 국외 활동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건강 리터러시 증진 방안을 제시했다.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를 찾고, 이해하고,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에 적용하는 역량인 기후건강 리터러시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신뢰성 있는 기후건강 정보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전 생애주기에 걸쳐 기후변화와 건강에 대해 다양한 대상(아동·청소년, 일반 국민, 보건의료인 등)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자를 양성해야 한다.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기후건강 리터러시 제고를 통해 기후 대응과 적응 활동을 증진할 수 있다. This article applies the concept of climate health literacy to propose strategies for enhancing awareness regarding the health impacts of climate change. Based on the review of ongoing initiatives aimed at advancing climate health literacy worldwide, strategies to improve climate health literacy are suggested. Efforts are needed to provide reliable climate health information with scientific evidence to promote climate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find and understand information about the health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apply it for health protection.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impart climate change and health education across diverse population groups (e.g., children, adolescents, the general public, healthcare professionals, etc.) throughout the lifespan, while concurrently training educators to impart such capacity. By improving climate health literacy among multiple stakeholders, responses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can be enhanced.

      • KCI등재

        연구논문 : 세대간 애정적 결속에 있어서 부계와 모계의 비교 연구

        최슬기 ( Seul Ki Choi ),최새은 ( Sae Run Choi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2 조사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세대간 애정적 결속의 양상과 결정요인을 부계와 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대간의 경제적, 도구적 정서적 지원을 통한 기능적 결속이나 잦은 만남 내지 연락을 통한 교류적 결속 거주지의 근접성을 바탕으로 한 구조적 결속의 양상과 변화에 대한 연구들과 달리 세대간 친밀감을 나타내는 애정적 결속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었다. 본연구에서는 손자녀가 조부모에 대해 느끼는 정서적 친밀감을 종속변수로 하여 애정적 결속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앞서 언급한 기능적, 교류적, 구조적 결속같은 요인들이 어떻게 애정적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1년 7월에 조사된 세대별 문화경험과 문화인식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자녀가 있는 기혼이면서 양가 부모중 적어도 한분씩은 생존해 있는 30~59세 응답자 33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론으로는 ``양가 조부모에게 느끼는 친밀감이 같다``라는 응답을 준거집단으로 삼은 다항로짓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부계와 모계간에 변수별 영향력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보았다. 그 결과 부계에서는 경제적 지원 관계가 애정적 결속을 높이는 주요한 요인으로 드러난 반면, 모계에서는 경제적 지원뿐 아니라 도구적, 정서적 지원도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emotional closeness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in Korean families with a focus on the lineage. The effects of the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normative aspect as well as intergenerational financial,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accounting for the grandparent-grandchildren affective solidarity.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using the data of "Survey on Generational Solidarity and Differences in Cultural Experience and Perception in Korea," and a series of multinomial regression model were conducted. Findings indicate that the salient factor to boost grandchildren`s affective solidarity with paternal grandparents is financial transfers between grandparents and parents. By contrast, all type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s affected grandchildren`s emotional closeness toward maternal grandparents. Geographical proximity was associated with the affective solidarity between grandchildren and maternal grandparents. The effects of normative solidarity were not shown at both lineages.

      • KCI등재

        위만조선(衛滿朝鮮)과 흉노(匈奴)의 `예구(穢?)` 교역(交易)

        최슬기 ( Choi Seul-ki )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2

        『漢書』 韋賢傳에는 漢이 衛滿朝鮮과 전쟁을 벌인 사실에 대해“東으로 朝鮮을 쳐서, 玄?·樂浪(郡)을 세워匈奴의 왼쪽팔을 잘랐다.”고하였다. 이 때문에 일찍부터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상정되어 왔다. 그런데 이와 관련된 직접적인 자료가 제한적이었던 까닭에 그 구체적인 관계에 대한 논의는 진전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구명해 보고자 하였다. 기원전2세기는 衛滿朝鮮과 漢, 그리고 匈奴가 각자 세력을 확장시키며 상호교섭·충돌한 시기였다. 건국 이래 匈奴에 대하여 수세적 입장을 취한 漢은 武帝代에 정책을 전환하여 匈奴와 대규모 전쟁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漢이 衛滿朝鮮을 `匈奴의 왼쪽 팔`로 인식했는데 이는 匈奴를 경제적으로 지원했던 西域諸國을 `匈奴의 오른쪽 팔`이라고 본 것에 대응된다. 이를 통해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西域이 匈奴와 가졌던 경제적 관계에 준하는 영향력을 지닌것으로 漢人에게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衛滿朝鮮과 匈奴의 구체적 관계를 유추할 수 있는 자료로 기원전 2세기경에 저술된 『淮南子』의 `匈奴出穢?`라는 기록이 있다. 이 穢는 前漢代사실을 전하는 『史記』, 『鹽鐵論』, 『漢書』, 『後漢書』 의 기록을 통해 검토한 결과 穢(穢?)朝鮮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穢(穢?)는 朝鮮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漢武帝시기에 衛滿朝鮮을 濊州로 표현한것을 통해 기원전 2세기경 濊가 衛滿朝鮮의 異稱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원전 2세기 무렵 漢人에게 穢(濊)로 인식된 衛滿朝鮮이 匈奴와 가죽(?)을 교역했을 것이며, 이러한사실이 `匈奴出穢?`라는 기록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穢?의 실체는 `發朝鮮의 文皮`(『管子』)와 `文豹`(『三國志』 東夷傳濊條)의 사례를 고려할 때 표범 가죽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穢?는 匈奴에게 있어 교환가치나 희소가치가 높은 貴重品·奢侈品 혹은 威勢品(prestige goods)으로 여겨졌을 것이다. 그러므로 衛滿朝鮮과 匈奴의 가죽교역은 威勢品交易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교역은 衛滿朝鮮과 匈奴의 세력권역이 겹쳤던 遼東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당시 遼東지역은 匈奴로 인한 피해가 극심했다. 또한 衛滿이 朝鮮으로 망명한 뒤 세력을 키우기 시작한 곳도 遼東이었다. 이곳에는 당시 漢의 遼東郡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武帝 이전까지는 실질적인 통제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이에 衛滿朝鮮과 匈奴가 遼東을 경유하여 穢?를 교역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특히 遼東을 세력기반으로 둔 匈奴의 左賢王 세력과 교역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漢書』 韋賢傳의 기록은 衛滿朝鮮과 匈奴가 가죽을 교역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군사·정치적 우호관계를 맺었던 사실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고에서 검토한 것처럼 威勢品交易을 상정한다면 양자의 정치적 관계는 더욱 밀접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관계가 衛滿朝鮮이 `匈奴의 왼쪽 팔`이었다고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According to Weixianchuan(韋賢傳) in Hanshu(漢書), the Han(漢) dynasty “cut the Xiongnu(匈奴)`s left arm by conquering Choson to the east and establishing the Xuantu(玄?), Lelang(樂浪), and other(commanderies).” This statement allowed the scholars to suggest that there was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on(衛滿朝鮮) and the Xiongnu. Still, as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contextual historical records, the discussion could not progress to the point of defining their relationship in literal terms. Thus, this paper will reveal how Weimanchoson and Xiongnu literally developed their relationship. The second century B.C. was a period when Weimanchoson, the Han dynasty, and Xiongnu had expanded their territories and influence, and inevitably collided into each other. Directly after its foundation, the Han dynasty had maintained their defensive position, but changed their policy and started a large scale war against the Xiongnu during the reign of Emperor Wu(武帝). In this process, the dynasty considered Weimanchoson as the Xiongnu`s left arm, and the perspective that the Han dynasty viewed Weimanchoson as `the Xiongnu`s left arm` could be compared with the situation that the states in the west from China(西域) were called as `the Xiongnu`s right arm.` This terms indicates that the Han people real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on and the Xiongnu was as strong as having an economic relationship. To suggest the literal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on and the Xiongnu, the records in Huainanzi(淮南子), compiled in the second century B.C., is worth to pay attention; the statement in this book, “Xiongnuchuhuiqiu(匈奴出穢?; `huiqiu` comes from the Xiongnu)” is especially important. Here, the term “hui(穢; `Ye` in Korean)” could be analyzed with the same term in other historical texts in the Former Han(前漢) period. These “Hui” or “Huihao(穢?; `Yemaek` in Korean)” were closely related to Choson, and even interpreted as the same body politic as Choson in dependence of the texts. Meanwhile, considering the record in the reign of Emperor Wu that Weimanchoson was illustrated as “Huizhou(濊州; Yechu in Korean; Ye(Hui)`s province)”, it is confirmed that Ye(Hui) was another name for Weimanchoson in the second century B.C.. Thus, it is possible that Weimanchoson, known to the Han people as Hui(穢or濊), traded “qiu(?; an animal skin),” a phenomenon that reflected in the statement “Xiongnuchuhuiqiu(Ye`s animal skins comes from the Xiongnu).” Based on this hypothesis, this paper analyzed the statement from Huainanzi in the perspective of intermediate trade. In consideration of the examples such as “Palchoson(發朝鮮)`s Wenpi[文皮; a term comes from Guanzhi(管子)],” or “Wenbao[文豹; a term comes from a note on Hui(Ye), Dongyichuan”, in Sanguozhi(三國志)] “Huiqiu,” or “Hui(Ye)`s animal skin” is possibly a leopard skin. Hence, “Huiqiu” could be considered as a valuable or luxury, or prestige goods to show the political leaders` authority high in scarcity value. In other words, the trade of animal skins between Weimanchoson and the Xiongnu had a characteristic of the trade of these `prestige goods`, rather than an intermediate trade. The main stage for this trade could be the Liaodong region, a place that Weimanchoson and the Xiongnu`s spheres of influence were overlapped. At that time, the region was an area that had a large damage from the Xiongnu`s invasion, and Weiman(衛滿) started to develop his power after he defected to Choson. Although the Liaodong commandery(遼東郡) was established, it did not have enough influence over the region until the reign of Emperor Wu, which allowed Weimanchoson and the Xiongnu to have a trade of “Huiqiu” through the Liaodong Peninsula. In particular, it seems to have been trading with the 左賢王forces of Liaodong who had Liaodong as a base of power. Conclusively, the record in Weixianchuan in Hanshu was an illustration to demonstrate the Weimanchoson and the Xiongnu`s amicable political and militaristic relationship based on the trade of the animal skins. If the hypothesis in this paper that these two powers had a trade of `prestige goods` is not disapproved,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m would be even more closely connected. The statement that Weimanchoson was the Xiongnu`s left arm, arguably, refers to this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간식 섭취 실태

        최슬기(Seul Ki Choi),최현정(Hyeon Jeong Choi),장남수(Nam Soo Chang),조성희(Sung Hee Cho),최영선(Young Sun Choi),박혜경(Hye Kyung Park),정효지(Hyo Jee Joung)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8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nacking behavior in adolescents. We selected one middle school and one high school in 11 school districts in Seoul. The subjects were 1,813 students (904 boys and 909 girls) in 21 schools (11 middle schools and 10 high schools). Subjects reported their snacking behavior: snack frequency, snack type, snack time, with whom to eat snack, place to purchase snack.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gender and schooling. The mean snack frequency was 2.8. Girls ate snacks more frequently than boys (p<0.001). More than half of subjects ate 1 to 3 snacks a day. Only 9.3% of them did not eat any snack. Tangerine was highly ranked in snack type. Each subject groups had different snack time (p<0.01) and type of snack (p<0.001). Most snack was consumed alone (46.6%), however they mainly ate fruits and other foods with family. 46.9% of snacks were purchased outside. A typical snack time was ``before dinner`` for most snacks except fruits. Unhealthy foods like soft drinks, cookies, chips, candies, chocolates, ice creams had relatively high proportion in snack consumption with friends. In conclusion, adolescents had different snacking behaviors by their age and gender. These results indicate necessities of multi-dimensional efforts at home, school, media and government level considering adolescents` age and gender for their healthy snacking behavior.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2):199~206, 2008)

      • KCI등재

        衛滿朝鮮과 匈奴의 ‘穢裘’ 交易

        최슬기(Choi Seul Ki)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2

        According to Weixianchuan(韋賢傳) in Hanshu(漢書), the Han(漢) dynasty “cut the Xiongnu(匈奴)’s left arm by conquering Chosŏn to the east and establishing the Xuantu(玄菟), Lelang(樂浪), and other(commanderies).” This statement allowed the scholars to suggest that there was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ŏn(衛滿朝鮮) and the Xiongnu. Still, as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contextual historical records, the discussion could not progress to the point of defining their relationship in literal terms. Thus, this paper will reveal how Weimanchosŏn and Xiongnu literally developed their relationship. The second century B.C. was a period when Weimanchosŏn, the Han dynasty, and Xiongnu had expanded their territories and influence, and inevitably collided into each other. Directly after its foundation, the Han dynasty had maintained their defensive position, but changed their policy and started a large scale war against the Xiongnu during the reign of Emperor Wu(武帝). In this process, the dynasty considered Weimanchosŏn as the Xiongnu’s left arm, and the perspective that the Han dynasty viewed Weimanchosŏn as ‘the Xiongnu’s left arm’ could be compared with the situation that the states in the west from China(西域) were called as ‘the Xiongnu’s right arm.’ This terms indicates that the Han people real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 was as strong as having an economic relationship. To suggest the literal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 the records in Huainanzi(淮南子), compiled in the second century B.C., is worth to pay attention; the statement in this book, “Xiongnuchuhuiqiu(匈奴出穢裘; ‘huiqiu’ comes from the Xiongnu)” is especially important. Here, the term “hui(穢; ‘Ye’ in Korean)” could be analyzed with the same term in other historical texts in the Former Han(前漢) period. These “Hui” or “Huihao(穢貉; ‘Yemaek’ in Korean)” were closely related to Chosŏn, and even interpreted as the same body politic as Chosŏn in dependence of the texts. Meanwhile, considering the record in the reign of Emperor Wu that Weimanchosŏn was illustrated as “Huizhou(濊州; Yechu in Korean; Ye(Hui)’s province)”, it is confirmed that Ye(Hui) was another name for Weimanchosŏn in the second century B.C.. Thus, it is possible that Weimanchosŏn, known to the Han people as Hui(穢or 濊), traded “qiu(裘; an animal skin),” a phenomenon that reflected in the statement “Xiongnuchuhuiqiu(Ye’s animal skins comes from the Xiongnu).” Based on this hypothesis, this paper analyzed the statement from Huainanzi in the perspective of intermediate trade. In consideration of the examples such as “Palchosŏn(發朝鮮)’s Wenpi[文皮; a term comes from Guanzhi(管子)],” or “Wenbao[文豹; a term comes from a note on Hui(Ye), Dongyichuan”, in Sanguozhi(三國志)] “Huiqiu,” or “Hui(Ye)’s animal skin” is possibly a leopard skin. Hence, “Huiqiu” could be considered as a valuable or luxury, or prestige goods to show the political leaders’ authority high in scarcity value. In other words, the trade of animal skins between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 had a characteristic of the trade of these ‘prestige goods’, rather than an intermediate trade. The main stage for this trade could be the Liaodong region, a place that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s spheres of influence were overlapped. At that time, the region was an area that had a large damage from the Xiongnu’s invasion, and Weiman(衛滿) started to develop his power after he defected to Chosŏn. Although the Liaodong commandery(遼東 郡) was established, it did not have enough influence over the region until the reign of Emperor Wu, which allowed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 to have a trade of “Huiqiu” through the Liaodong Peninsula. In particular, it seems to have been trading with the 左賢王forces of Liaodong who had 『漢書』韋賢傳에는漢이 衛滿朝鮮과전쟁을벌인사실에대해“東으로 朝鮮을쳐서, 玄菟·樂浪(郡)을 세워匈奴의 왼쪽팔을 잘랐다.”고하였다. 이때문에 일찍부터衛滿朝鮮과匈奴의 관계가 상정되어 왔다. 그런데 이와 관련된 직접적인 자료가 제한적이었던 까닭에 그 구체적인 관계에 대한 논의는 진전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구명해 보고자 하였다. 기원전2세기는 衛滿朝鮮과 漢, 그리고 匈奴가 각자세력을확장시키며 상호교섭·충돌한 시기였다. 건국이래匈奴에대하여 수세적 입장을 취한漢은武帝代에정책을전환하여匈奴와 대규모 전쟁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漢이 衛滿朝鮮을 ‘匈奴의 왼쪽 팔’로 인식했는데 이는匈奴를 경제적으로 지원했던 西域諸國을 ‘匈奴의 오른쪽 팔’이라고 본 것에 대응된다. 이를통해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西域이 匈奴와 가졌던 경제적 관계에 준하는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漢人에게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衛滿朝鮮과匈奴의구체적관계를유추할수있는자료로기원전2세기경에저술된 『淮南子』의 ‘匈奴出穢裘’라는 기록이 있다. 이 穢는 前漢代 사실을 전하는 『史記』 , 『鹽鐵論』 , 『漢書』 , 『後漢書』 의 기록을 통해 검토한 결과 穢(穢貉)朝鮮과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穢(穢貉)는朝鮮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漢武帝시기에 衛滿朝鮮을 濊州로 표현한 것을 통해 기원전 2세기경 濊가 衛滿朝鮮의 異稱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원전 2세기 무렵 漢人에게 穢(濊)로 인식된 衛滿朝鮮이 匈奴와 가죽(裘)을 교역했을 것이며, 이러한사실이 ‘匈奴出穢裘’라는 기록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穢裘의 실체는 ‘發朝鮮의 文皮’( 『管子』 )와 ‘文豹’(『三國志』 東夷傳濊條)의사례를 고려 할 때 표범 가죽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穢裘는 匈奴에게 있어 교환가치나 희소가치가높은貴重品·奢侈品혹은 威勢品(prestige goods)으로여겨졌을것이다. 그러므로 衛滿朝鮮과 匈奴의 가죽교역은 威勢品交易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교역은 衛滿朝鮮과 匈奴의 세력권역이 겹쳤던 遼東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당시 遼東지역은 匈奴로 인한 피해가 극심했다. 또한 衛滿이 朝鮮으로 망명한 뒤 세력을 키우기 시작한 곳도 遼東이었다. 이곳에는 당시 漢의 遼東郡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武帝이전까지는 실질적인 통제력을 발휘하지 못 했다. 이에 衛滿朝鮮과 匈奴가 遼東을 경유하여 穢裘를 교역 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특히 遼東을 세력기반으로 둔 匈奴의左賢王세력과 교역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漢書』 韋賢傳의기록은 衛滿朝鮮과匈奴가가죽을교역하면서이를기반으로 군사·정치적 우호관계를 맺었던 사실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고에서 검토한 것처럼 威勢品交易을 상정한다면 양자의 정치적 관계는 더욱 밀접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관계가 衛滿朝鮮이 ‘匈奴의 왼쪽 팔’이었다고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