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SO 7240-7 면섬유 훈소화재에 따른 연기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최수길(Su-Gil Choi),최유정(Yoo-Jeong Choi),김시국(Si-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4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8 No.1

        본 논문은 공동주택에 주된 가연물인 면섬유에 대한 훈소화재 시 발생되는 연기/에어로졸 및 연소생성물을 분석하고자 ISO 7240-7 면섬유 훈소화재를 진행한 연구이다. 섬유화재 실험결과 2종 연기감지기 화재감지 작동농도인 15 %/m농도기준 ODM과 ASD를 비교한 결과 ASD의 화재감지 시간이 약 2 min에서 4 min 정도의 지연시간이 발생되었다. 또한 면섬유 훈소화재의 경우 ASD1,2 화재감지 작동농도에서 CO농도가 37 ppm, 62 ppm이 나타나면서 고농도의 연소가스가 생성되었고, 유염화재보다 훈소화재의 경우 불완전연소에 의한 연기/에어로졸 및 가스가 대량 발생함에도불구하고 연기 자체의 부력힘이 부족하여 연기감지기 챔버 내부로 연기가 유입되지 않고, 천장에 분포되지 않아 화재감지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다양한 연기/에어로졸에 따른 연기감지기작동시험 테스트를 진행하여야 국제적 수준의 소방 기술에 부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 smoldering cotton fire tes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ISO 7240-7 to analyze the smoke/aerosolsand combustion products that occur during a cotton fire that are crucial flammable components of multi-unit dwellings. Theresults of the smoldering cotton fire experiment comparing ODM and ASD based on the concentration standard of 15 %/m,which are the operating concentrations of the fire detection of type-2 smoke detectors, indicated a delay of approximately 2∼4min in the ASD fire detection ti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moldering fire, the CO concentrations appeared to be37 ppm and 62 ppm at the ASD1,2 fire detector operating concentrations, resulting in high concentrations of combustion gas. Furthermore, in the case of a smoldering fire rather than a flame fire, despite a large amount of smoke/aerosol and gas owingto incomplete combustion because of the lack of buoyancy, it did not flow into the smoke detector chamber and was notdistributed on the ceiling; this required a long time to detect the fire. Accordingly, smoke detector operation tests for varioussmoke/aerosols must be conducted in Korea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f firefighting technology.

      • KCI등재

        UL 268 목재 유염화재 및 훈소화재시험 시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을 통한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실험

        최수길(Su-Gil Choi),최유정(Yoo-Jeong Choi),남영재(Yeong-Jae Nam),김시국(Si-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1

        본 논문은 UL 268 목재 유염화재 및 훈소화재시험 시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을 통한 화재감지 경향성을 분석한 실험적 연구이다. 화재감지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미세먼지센서(PMS), 연소가스분석기(CGA), 가스분석기(GA)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기감지기에서 측정되는 연기 감광율 5 %/m(부작동), 10 %/m, 15 %/m에서 연소생성물을 매칭하여 분석한 결과 목재 유염화재의 경우 PMS PM 10, CGA CO, SO2, GA HCHO, TVOC가 연기발생에 따른측정값의 지속적인 상승에 의해 경향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훈소화재의 경우 PM 10, CO, HCHO가 적응성이 나타나최종적으로 유염 및 무염화재를 동반한 목재화재의 경우 PM 10, CO, HCHO가 모두 적응성을 보이면서 화재감지 인자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analyzes the tendency of fire detection through combustion products generated during UL 268 woodflame fires and smoldering tests. Fire detection tendency was measured using a particle matter sencor (PMS), combustiongas analyzer (CGA), and gas analyzer (GA). The combustion products were matched and analyzed at 5 %/m(non-operation), 10 %/m, and 15 %/m of the smoke sensitivity measured by the smoke detector. In the case of woodflaming fire, PMS PM 10, CGA CO, SO2, GA HCHO, and TVOC, the trend was observed because of the continuousincrease in the measured value according to the smoke generation. In the case of smoldering, PM 10, CO, and HCHO wereadaptable to the tendency to be observed. Finally, in the case of wood fire accompanied by flame fire and smoldering toPM 10, CO and HCHO were considered to be the optimal fire detection factors.

      • 습도 발생량에 따른 연기감지기 작동⋅부작동 시험에 관한 연구

        최수길(Su Gil Choi),최유정(Yoo Jeong Choi),김시국(Si 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습도의 경우 여름철 국내 장마 기간에 높은 농도로 상승되며 일상생활에서도 높게 상승하곤 한다. 이러한 습도는 공용부에 축적되어 연기감지기의 비화재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습도에 의한 비화재보 원인개선을 위해 다각적인 기초연구가 진행되어야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습도에 의한 비화재보 관련 연구는 부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을 토대로 연기감지기 작동 시험을 진행하였고, 추가적으로 감지기 시험챔버 내부에 가습기를 설치하여 습도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시험챔버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여 습도농도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작동시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로서 연기감지기 시험 챔버 습도실험 결과 상대습도 80%이상 시 연기감광율이 상대습도 50%일 경우보다 5 %/m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시험 챔버 내부 평시습도 50%에서 연기감지기 작동농도 15 %/m의 연기농도가 측정되는 동양호지(No. 2)의 정량적인 질량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동양호지 질량을 사용하여 습도 80%일 때 연기감지기 작동농도(15 %/m) 시험 측정결과 약 20 %/m 이상의 연기농도가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습도발생량에 따라 물 미립자에 의해 연기산란율이 발생되어 연기농도가 대폭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연기감지기의 형식승인 기준은 동양호지를 사용하여 작동시험 농도에 정해진 시간 내 작동하고 부 작동시험 농도에 작동하지 않는다면 연기감지기의 형식승인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습도에 의한 비화재보를 방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다각적인 시험기준이 필요하고 습도에 의한 작동시험과 부작동 시험이 추가되어 추후 개발되는 연기감지기의 비화재보 방지 성능을 높여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냉동창고 환경에서의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 결로에 대한 실험적 연구

        최수길(Su-Gil Choi),김민욱(Min-Wook Kim),이건호(Gun-Ho Lee) 한국화재소방학회 2023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6

        본 논문은 국내 냉동창고 실태조사를 통한 화재감지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문제점에 대한 재현실험을 진행한 연구이다. 냉동창고와 같은 극저온 및 저온이 유지되는 장소에서는 스포트형 열감지기 및 스포트형 연기감지기의 적응성이 저하된다. 냉동창고에서는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를 채택하여 사용하는데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에서 감지부 역할을 하는 파이프에 결로 및 결빙현상이 발생되어 파이프 흡입구멍을 막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재현실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실험시간 132 h 경과 후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성에가 고착되었고, 실험시간 전체 경과 후 Zone 1의 구역에서 가장 많은 결로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간적 특성에 따라 압력조절기 또는 제상기능이 포함된 열선 등에서 결로 현상 및 결빙이 발생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a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of domestic frozen warehouses and conducted a reappearance experiment to address these issues. The adaptability of spot-type thermal and smoke detectors is reduced in locations where extremely low or low temperatures are maintained. Air sampling smoke detectors are used in frozen warehouses; however, condensation and freezing occur on the pipe, which serves as the detection part of the air sampling smoke detector, blocking the suction hole of the pipe. Based on the results of a re-enactment experiment, frost visible to the naked eye was observed after 132 h of the experiment. After the entire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solidification occurred in zone 1. Depending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condensation and freezing can occur in pressure controllers or heating wires with defrosting functions.

      • KCI등재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

        최수길(Su-Gil Choi),진세영(Jin-Se Young),박상민(Sang-Min Park),남영재(Yeong-Jae Nam),김시국(Si-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4 No.1

        본 논문은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이다. 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작동실험과 UL 268에서 규정하고 있는 종이화재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작동실험 및 UL 268 종이화재실험에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교차 대입한 결과 공기질 측정기(IAQ) S1의 경우 PM 10(평균값제외), HCHO(평균값 및 최대값 제외), IAQ S2의 경우 PM 1.0, PM 2.5, PM 10, 연소가스분석기(CGA)의 경우 CO(평균값 및 최대값 제외)가 모든 실험 조건에서 연기발생에 따른 측정값의 변화를 통해 경향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실험 조건에서 측정되는 인자들 중 적응성이 가장 우수한 PM 10 및 CO는 화재감지 인자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is a basic research on potential application of fire detection by measuring fire detection tendency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In this study, operation experiment using smoke detector sensitivity tester and paper fire experiment specified in UL 268 standard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ire detection tendency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Based on the cross-substitution of values measured in the paper fire experiment, PM10 (excluding average) and HCHO (excluding average and maximum) for the indoor air quality meter (IAQ); PM1.0, PM2.5, and PM10 for IAQ S2; and CO (excluding the average and maximum) for combustion gas analyzers showed consistent tendency despite changes in the measured values for smoke generation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In particular, PM10 and CO are considered the most applicable fire detection factors among the factors measured in the experiment.

      • KCI등재

        부동산 거래사고 예방을 위한 에스크로우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중개업자⋅거래당사자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최수길(Choi, Su-Gil),최형석(Choi, Hyung-Seok) 대한부동산학회 2012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0 No.1

        The causes for real estate transaction accidents include the disapproval of public confidence in registration due to the principle of perfunctory screening, the existence of right relations unregistrable at the public ledger, the dualization of the incomplete cadastral system and the official notice system, a risk of immediate payment for real estate transaction, the perfunctory writing of the identification statement on the object of brokerage, transaction fraud, complicated restriction on real estate and the like. And real estate transaction accidents can be divided into those in legal, economic, technical and distribution terms. The real estate transaction accident prevention system can be divided into the can be divided into the prior prevention system and the post hoc prevention system. in conformity to Sec. 30(guarantee of liability for damages) of 「 Act on the Works of the Licensed Real Estate Agent and the Notification of Real Estate Transactions」 Article 30, corporate agents should deposit more than 200 million won in the guarantee insurance, the benevolent fund and the benefit body.\ in order to compensate for damages due to real estate transaction accidents. And those except the firm should deposit more than 100 million won. To prevent real estate transaction accidents in advance rather than the method of relief after their occurrence, the escrow system generally used in the US was introduced to Korea a few years ago and has not still taken root in our society. And seeing real estate contains a potential risk in its transaction, it is more necessary to revitalize the prior prevention system. An attempt was made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to revitalize the escrow system.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gal transaction accident, of the types of accidents, occurred mos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ason for the escrow system to have failed to take root was the lack of measures for both broker and trader to legally institutionalize the reduction of the transfer tax and the like. And the tax benefit is needed. It was found that the time of transaction, the cases of transaction, accident experience and the like had an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escrow service. And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scheme for revitalization of the escrow system. First, it is necessary to publicize the escrow system actively. Second, it is necessary to use the escrow system in case of the comparatively long period of real estate transac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cheme to revitalize the escrow system by legally institutionalizing the application of an additional discount to its multiple users, the reduction of the transfer tax and the like.

      • 습도실험 및 UL 268 화재시험 시 발생되는 습도변화에 따른 연기감지기 감도특성에 관한 연구

        최수길(Su Gil Choi),최유정(Yoo Jeong Choi),남영재(Yeong Jae Nam),최문석(Moon Seok Choi),김시국(Si 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비화재보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요인은 습도 및 수증기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요인은 여름철 국내 장마 기간에 높은 습도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기감지기에 비화재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또한 커피포트에 의한 수증기, 샤워 후 발생되는 스팀 현상에 의해서도 비화재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비화재보 원인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기초연구가 진행되어야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습도에 의한 비화재보의 실증실험과 연기농도 특성분석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SO 9705 표준룸을 이용한 습도실험과 UL 268 화재시험을 통해 발생되는 습도변화에 연기감지기의 농도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습도실험은 ISO 9705 표준룸 규격에 다양한 습도발생장치(가습기, 커피포트 등)로 습도를 발생시켜 습도농도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연기농도특성을 분석하였고, 또한 UL 268 화재시험을 통해 다양한 화원에서 화재발생 시 나타나는 습도농도를 분석하여 습도와 연기농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서, 습도실험 결과 사람눈에 보이지 않는 습도 조건일 경우 상대습도 80% 이상 시 연기감지 농도특성이 상대습도 50%일 경우보다 2~3%/m 높게 나타났으며, 사람눈에 보이는 스팀현상이 발생됐을 경우 아날로그 연기감지기 연기농도의 최대농도인 20 %/m 까지 상승하여 연기감지기가 작동되었다. UL 268 화재시험에서는 가연물에 따라 백색연기 및 흑색연기로 분류되는데 이러한 연기들이 화원에 의해 발생될 경우 습도가 하락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최종 비화재보를 방지할 수 있는 기초데이를 제공하고 추가적으로 UL 268 Cooking Nuisance Test를 진행하여 음식물 조리로 인한 연기 및 습도 특성을 분석하여 비화재보를 개선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도출하고자 한다.

      • XR 기술을 활용한 소방안전관리자의 교육⋅훈련 필요성에 관한 연구

        최문석(Moon Seok Choi),최유정(Yoo Jeong Choi),최수길(Su Gil Choi),김태희(Tae Hee Kim),김시국(Si 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TTA 정보통신용어사전에 따르면 XR이란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혼합현실(MR)을 아울러 사용자에게 경험과 몰입감을 제공하는 초 실감형 기술”이라 정의되어 있다. 즉, XR 기술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을 인간의 오감을 활용해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간접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VR과 현실의 이미지에 가상의 부가 정보를 실시간으로 덧붙여 보여주는 AR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현실 공간에 배치된 가상의 물체를 활용해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COVID-19 이후 비대면 기술이 관심을 받으면서 XR에 관한 관심도 높아졌으며 전 세계적으로 게임, 제조, 의료, 문화,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교육 및 훈련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소방 현장 지휘관을 위한 훈련 시스템이나 화재현장 대응 대원을 위한 훈련 시스템 등 소방분야에서도 XR을 활용하여 훈련 및 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소방안전관리자를 위한 교육⋅훈련 시스템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XR 기술을 활용한 교육⋅훈련 시스템을 조사하여 소방안전관리자용 XR 훈련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로 현재 XR 기술을 활용한 교육⋅훈련 시스템은 훈련을 위한 장비가 고가이거나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높은 수준의 숙련도가 필요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화학사고 대응훈련과 같이 실제 경험하기 어려운 상황에 대응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XR 교육⋅훈련은 훈련에 드는 비용과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훈련상황에서 벌어지는 안전사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제 경험하기 어려운 상황에 대한 대응훈련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스프레이형 폴리우레탄폼 시공중 발생하는 발포제의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최유정(Yoo-Jeong Choi),최수길(Su-Gil Choi),김시국(Si-Kuk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3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6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isk of fire explosion caused by the presence of combustible gas in the propellant of spray-type polyurethane foam and the ammonia gas generated during the curing of polyurethane foam. Analysis of domestic fire cases confirmed that when construction work using polyurethane foam spray and fire handling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fire accidents repeatedly occurred because the welding sparks acted as an ignition source on the surface of the polyurethane foam. Experiment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fire explosion owing to the presence of flammable substances in the polyurethane foam and the combustible gas in the propellant. The production of ammonia gas increased during the polyurethane-foam-curing stage, and B3 was more dangerous than B1. 본 논문은 스프레이형 폴리우레탄폼의 추진제에 들어있는 가연성 가스와 폴리우레탄폼 경화 시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로 인한 화재폭발의 위험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국내 화재사례를 분석한 결과 폴리우레탄폼 스프레이폼을 이용한 시공작업과 화기 취급을 동시에 진행하여 가연성가스가 실내에 체류되며 용접불티 등이 폴리우레탄폼 표면에 점화원으로 작용해 화재사고가 반복적으로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난연 등급별 스프레이형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하여 폴리우레탄폼 점화실험장치를 이용한 착화실험과 스프레이형 폴리우레탄폼의 실화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폴리우레탄폼 내부에 함유된 인화성 물질의 양과 추진체에 들어 있는 가연성 가스에 의해 화재폭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이후 폴리우레탄폼 경화 단계에서 암모니아 가스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B1보다 B3가 위험성이 더욱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