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혈모세포 이식환자의 입원 후 수면의 질과 수면양상의 변화

        최소은,박혜령,박호란,Choi, So-Eun,Park, Hae-Ryung,Park, Ho-Ra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조혈모세포이식환자의 입원 후 수면양상의 변화 및 수면장애를 파악함으로써,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수면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방법: 서울 C대학병원에 2002년 8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조혈모세포이식를 위해 입원한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PSQI와 수면양상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원전과 입원 후의 PSQI 차이는 paired t-test로, 입원시와 퇴원시의 수면양상의 변화는 카이검정과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입원 후 한 달 동안 PSQI점수는 11.8점으로 입원 전 한달 동안의 5.3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11.41, P=0.0000). 7개의 항목 즉 수면의 질, 수면지연, 수면기간, 수면의 효율성, 수면장애, 수면제 복용, 일상생활의 장애 모두에서 입원 후 한달 동안의 PSQI점수는 입원 전 한달 동안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입원시와 퇴원시의 수면양상을 살펴보면 취침시각,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 기상시각, 총 수면시간, 낮잠 시간, 밤에 자다 깨는 횟수, 수면제 사용 횟수, 잠이 안 오면 하는 일, 수면을 취할 수 없는 이유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조혈모세포이식환자는 입원 후 PSQI에 의한 수면의 질 점수가 입원 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입원기간동안 수면에 어려움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수면양상도 입원시에 비해 퇴원시 취침 시간,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 기상시각, 총 수면시간, 낮잠시간, 밤에 자다 깨는 횟수, 수면제사용횟수, 잠이 안 오면 하는 일, 수면을 취할 수 없는 이유의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재형 47명(17.0%), 가정형 34명(12.3%)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입원환자 가족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 및 요구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이고 다양한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호스피스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행해야 할 것이다.'(10면)이나, 비참석가족들은 '외로움(7명)', '경제적 문제/역할수행상의 어려움'(7명)의 빈도였다. 대처방법에서는, '영적 승화'(13명), '일상생활에의 몰두'(10명), '애도과정에의 몰입(계속 슬퍼함)'(3명)으로 응답하였다. 병원으로부터 사별가족모임의 초대장을 받았을 때의 느낌에 대해서는 '반가움과 고마움'(21명), '슬픔'(4명), '괴로움'(4명), 무응답(11명)이었다. 비 참석 가족들은 '반가움과 고마움'(4명)이었다. 사별가족 모임 참석에 대한 망설임의 유무와 이유에 대해서는, '망설이지 않았다'(34명)가 '망설였다'(6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별가족모임에 참석한 후의 소감, 개선사항, 아쉬운 점에 대한 질문에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사별가족에 대한 배려와 관심에 대해 감사한다.'라는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고, '고인에 대한 회상을 할 수 있는 자리여서 좋았다.' '사별가족모임이 일년에 한 번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있었으면 한다.', '한편은 슬프고 한편은 기쁘다.' 등의 의견이 있었다. 사별 후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해 참석가족은, '우울감'(10명), '외로움'(7명)의 빈도가 높았고, '그리움'(1명), '경제적/역할상 어려움'(4명), 무응답(6명)으로, '우울감'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developing the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who have symptoms of insomnia after undergoing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This was achieved through investigating sleep quality and sleep patterns according to admission time, and discharge time. Methods: Data was put together by studying 52 HSCT patients who have been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HSCT from August 2002 to August 2003, in a university hospital. Research instruments used were, PSQI for sleep quality and a specified questionnaire for sleep patterns. Results: The PSQI regarding the past mono which was measured at the last day of hospitalization, was 11.8. Th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5.3, which was a measurement for the past month before the hospitalization (t=11.41, P=0.000). Looking at it with 7 categories-quality of sleep, consistency of sleep, sleep period, effectiveness of sleep, sleeping disorder, usage of sleeping pills, impediment of daily life- the PSQI for a month after admission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rate measured for a month before admission. Comparing the subjects sleep pattern before and after admission,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ime attending sleep, time it takes to sleep, wake-up time, total time of sleep, day time sleep, number of times waking up during sleep, number of usage of sleeping pills, actions that are taken during sleep disorder, reasons for insomnia. Conclusion: The PSQI score of patients who undergo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hospitalization. Compared to the change of sleep patterns when hospitalized,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addressing sleep are needed.

      • KCI등재

        Effect of Structured Debriefing on the Learning Outcomes of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최소은,김현주,Choi, So-Eun,Kim, Hyun-Ju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2 No.9

        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structured debriefing method affects the learning flow,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using the Lasater Clinical Judgment Rubric (LCJR). Nursing students in the 4th grade of P Universit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ach trying out a different structured debriefing method: the experimental group - structured video debriefing using the LCJR question, the comparative group - structured oral debriefing, and the control group - structured group discussion debrief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learning flow (p=.640),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420)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p=.360). Planning and intervention among the areas of clinical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p=.005). Structured debriefing when used with LCJR improves the learning flow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students, while structured video debriefing improves clinical performance. 시뮬레이션 교육 시 구조화된 디브리핑 유형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비판적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P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학생으로, 실험군 22명, 비교군 24명, 대조군 20명으로 총 66명이었다. 실험군에게는 LCJR 질문을 이용한 구조화된 비디오 디브리핑, 비교군은 구조화된 구두 디브리핑, 대조군은 구조화된 그룹 토론 디브리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몰입과 비판적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은 세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전-사후 차이 검정시 모두 향상되었다. 또한 임상수행능력의 세부영역 중 계획과 중재는 실험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LCJR의 임상판단 루브릭을 활용한 디브리핑은 시뮬레이션교육에 효과적이며 특히 비디오를 활용한 구조화된 디브리핑 유형은 임상수행능력을 높이는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가 및 동종 조혈모세포이식환자의 이식단계에 따른 불안과 우울

        최소은,이소영,박혜령,박호란,Choi, So-Eun,Lee, So-Young,Park, Hae-Ryung,Park, Ho-Ra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자가 및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종류에 따라, 이식단계별 불안과 우울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이식종류와 이식단계에 따라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정서적 지지에 적합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서울 소재 C대학병원에 2002년 8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해 입원한 환자 52명을 대상으로(자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 19명,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환자 33명)조혈모세포 이식단계별 즉 입원 시, 이식 전날, 퇴원 시 총 3회 대상자를 방문하여 상태불안과 우울 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가 조혈모세포이식과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이식단계별 불안과 우울은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검정하였으며, Bonferroni 다중비교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식단계별 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불안은 입원 시 42.3점, 이식전날 45.0점, 퇴원 시 40.8점이었으며,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불안은 입원 시 48.4점, 이식전날 48.7점, 퇴원 시 47.1점으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4.15, P=0.047). 자가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이식 전날 우울이 39.0점으로 입원 시 33.0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F=21.45, P=0.0004).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우울도 이식전날 40.3점으로 입원 시 34.9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F=20.99, P=0.0002). 자가 조혈모이식단계별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우울이었으며, 특히 입원 시에는 입원 전 직업유무가 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입원 시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우울, 성별이었으며, 퇴원 시에는 재발경험과 성별이었다. 자가 조혈모세포이식과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모두에서 이식단계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불안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이식전반에 걸쳐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불안과 우울이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보다 높았으며, 이식단계별로는 이식전날 우울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해 입원한 환자에게는 이식전날 우울에 대한 정서적 지지가 필요하며 특히 동종조혈모세포 이식환자는 입원 시, 이식 전날, 퇴원 시 등 이식 단계별로 불안과 우울을 경감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과 그 적용이 요구된다. Purpos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stages of autologous and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It would be provide the basis for effective psycho-emotional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We report on 52 patients, including 19 with autologous HSCT, and 33 with allogeneic HSCT from August 2002 to August 2003, at a university hospital.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Jung's Depression Inventory were used to measure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respectively, at admission time, the day before HSCT, and discharge time. Data was analyzed using SAS program that included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all stages of HSCT, the level of anxiety of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HS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utologous HSCT (P=0.047). The depression at the day before HS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t admission. The major variable affecting anxiety in autologous HSCT was depression. Specially depression and gender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anxiety in allogeneic HSCT at admission time (61%). Experience of relapse and gender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anxiety in allogeneic HSCT at discharge time (36%). Conclusion: We recommend that the anxiety and depression be researched during the stages of allogeneic HSCT, specifically in the day before HS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psycho-emotional nursing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stages of HSCT.

      •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자의 불안

        최소은(Choi So-eun),박호란(Park Ho-ran),반자영(Ban Ja-Young) 대한종양간호학회 2006 Asian Oncology Nursing Vol.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anxiety of patients who had received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HSCT). Method: A total of 81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HSCT at a university hospital were recruited from July of 2001 to June of 2002. They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about anxiety, selfesteem, family support, doctor's support and nurse's support. Result: The mean score of anxiety, self-esteem, family support, doctor's support and nurse's support was 41.9, 3.0, 4.6, 7.6 and 7.3, respectively.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nxiety and self-esteem. Self-estee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support, doctor's support and nurse's support. The major variable that influenced anxiety was the self-esteem, explaining 25.4% of the anxiety.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for HSCT patients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enhancement of self esteem. Also, family support, doctor's support<br/> and nurse's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as a main support system in the nursing strateg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undergone HSCT.

      • KCI등재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양측성 상지훈련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소은(Choi, So-Eun),김덕주(Kim, Deok-Ju)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양측성 상지훈련의 최신 경향을 알아보기 위한 체계적 고찰문헌 연구로, 양측성 상지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근거를 제시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출판된 문헌을 대상으로 국내 문헌은 Riss, Kiss에서 검색 하였고, 국외 문헌은 Pubmed, Science Direct, Google scholar를 통해 검색하였다. 총 506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포함기준과 배제 기준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최종 11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근거수준 Ⅰ이 10편(91%), Ⅱ가 1편(9%)으로 분석 되었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선정된 문헌에서 사용된 양측성 상지훈련은 과제 지향적 양측성 상지훈련, 기능적 양측성 상지훈련, 작업 기반의 양측성 상지훈련의 총 3가지 분류로 나눌 수 있었으며 그 중 과제 지향적 양측성 상지훈련을 사용한 문헌이 5편(45.5%)으로 가장 많았다. 사용된 평가도구는 총 29개 이며, 상지기능 평가(47.2%)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대한 평가(16.7%)가 많이 사용되었다. 중재 기간은 2~4주와 5~7주(36.3%)가 가장 많았고, 회기는 10~15회기(36.3%), 시간은 30~32분(54.5%)이 가장 많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상지기능의 제한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양측성 상지훈련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to identify the latest trends in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for patients with stroke and intended to provide a basis for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program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the domestic literature for articles published between from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9 in Riss and Kiss; foreign articles were searched using Pubmed, Science Direct, and Google Scholar. A total of 506 studies were searched, and 11 studie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10 (91%) of evidence level I and 1 (9%) of evidence level II were analyzed. Results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described in the selected articles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ask-oriented, functional, and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Task-orient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as reported in 5 articles, was the most common (45.5%). A total of 29 evaluation tools were used, and many evaluations of upper extremity function (47.2%)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16.7%) were used. The most studied intervention periods were 2-4 weeks and 5-7 weeks (36.3%), with a duration of 10-15 sessions (36.3%) and time of 30-32 minutes (54.5%). Conclusion :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bilateral training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patients with stroke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daily life due to limitation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 KCI등재

        중소병원 간호사의 피로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최소은(Choi, So-Eun),김상돌(Kim, Sang-Do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9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피로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 다. 대상자는 K시와 B시에 위치한 2 곳의 중소병원 간호사 162명 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2월 1일부터 28일 까지 이었다. 자료분석은 카이제곱검정, t-test, ANOVA, Scheffé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사용하였다. 높 은 수준의 피로는 직무만족 및 동료 하부요인과 각각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0.29, p=.0214; r=-0.29, p=.0239), 이직 의도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3, p=.0089). 또한 직무만족은 승진 및 전반적인 직무만족 하부요인이 이 직의도와 각각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17, p=.0268; r=-0.19, p=.0144). 그러므로 간호관리자는 피로 유발요 인 및 이직의도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하여, 직장내 동료와의 관계, 승진 및 전반적인 직무만족 하부요인 등을 충 분히 숙고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효과적인 조직관리시스템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relationships of fatigue to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The subjects were 162 clinical nurses at 2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K and B c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st throughout 28th, 201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through x2-test, t-test, ANOVA, Scheffé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igh fatigue level and job satisfaction and colleagues of its subgroups (r=-0.29, p=.0214; r=-0.29, p=.0239), positive correlation it and turnover intention(r=0.33, p=.0089). Also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omotion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subgroup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r=-0.17, p=.0268; r=-0.19, p=.0144). Therefore nurse managers are in need of applying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which is considered the relationship with my colleagues at work, promotion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etc. to prevent and decrease fatigue induced factors and turnover intentions.

      • KCI등재

        간호관리학 교과에서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학습활동의 효과

        최소은(Choi So Eun),김은아(Kim, Eun A) 한국간호과학회 2016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6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a learning portfolio by identifying the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taking a learning portfolio-utilized nursing management clas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83 senior students taking the nursing management course in one of the Departments of Nursing at 2 Universities. Experimental group (n=42) received a learning portfolio-utilized nursing management class 15 times over 15 weeks (3 hours weekl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pproaches to learning and learning flow of the participants were examined with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2 and December 16, 2014, and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ANCOVA with SPSS/PC version 21.0.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deep approaches to learning and learning flow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s for surface approaches to learning. Conclusion: Learning activities using the learning portfolios could be effective in cultivating the learning competency for growth of knowledge, technology and professionalism by increasing personal concentration and organization ability of the nursing students so that they can react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임상실습 만족도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류은진,최소은,Ryu, Eun Jin,Choi, So Eun 한국가정간호학회 2022 가정간호학회지 Vol.29 No.1

        Purpose: Establishing a professional identity is important for nurses in providing quality nursing care and adapting to changing roles in various clinical setting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their professional identity. Methods: A total of 180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from a university in G city in July, 2021. Results: The professional identity score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and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nurses' academic grade, department satisfactio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Professional ident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r=.69, p<.001), major satisfaction (r=.72, p<.001),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r=.71, p<.001). The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identity wer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ß=.42, p<.001) and academic self-efficacy (ß=.38, p<.001). Conclusion: Our finding suggest that nursing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y by improving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rsing education programs that increase their pride as nurses and establish their professionalism in nursing.

      • 암 환자 병명통고

        박진노,최소은,최경미,홍영선,이경식,양수,Park, Jean-No,Choi, So-Eun,Choi, Kyung-Mee,Hong, Young-Seon,Lee, Kyung-Shik,Yang, So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환자, 가족, 의료진(의사, 간호사), 의과대학생, 간호대학생들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병명통고에 대한 태도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2002년 10월부터 3 개월 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성모병원에서 전이성 암 환자, 조사대상 암 환자의 주 보호자, 암 환자의 간호 및 치료에 관련된 의료진(의사 및 간호사), 임상 실습 중인 의과 대학생,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군 50명씩 등록하여 암 환자의 병명통고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자료 평가 항목은 병명통고에 대한 찬성여부, 시기여부, 통고방법, 통고를 받기를 원하는 이유, 적합한 병명통고자가 누구인지였다. 환자 50명, 주 보호자 50명, 의료진 51명, 의과대학생 41명과 간호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이성 암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기로 하였으나, 전이성 암환자 34명만이 등록되었으며, 이외에 림프종 환자 16명을 포함하여 총 50명의 환자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결과: 모든 설문 응답자들 가운데 89.3%가 병명통고에 찬성하였다(환자 98.0%, 주 보호자 88.0%, 의료진 90.2%, 의과대학생 73.2%, 간호대학생 94.0%). 림프종 환자를 제외한 진행성 암환자 34명을 대상으로 97.1%가 동의하였다. 병명통고 시기는 79.8%에서 진단 즉시 해주는 것을 선호하였다(환자 94.0%, 주 보호자 80.0%, 의료진 68.6%, 의과대학생 68.3%, 간호대학생 86.0%). 병명통고 방법은 64.4%에서 모든 내용을 한 번에 정확히 설명해주는 것을 선호하였다(환자 81.6%, 주 보호자 66.0%, 의료진 56%, 의과대학생 48.8%, 간호대학생 70.0%). 병명통고에 동의하는 이유에 대해서 모든 군에서 치료 참여가 가능한 것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 병명통고를 누가하느냐는 문제에 대해서는 86.4%에서 의사가 병명통고를 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환자, 주 보호자, 의료진, 의과대학생 및 간호대학생의 병명통고에 대한 찬성률은 증가하였다. 병명통고 찬성 이유로 치료에 참여가 가능하다는 것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통고시기와 방법은 진단 즉시 모든 내용을 한 번에 정확히 알려주기를 원하였다.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ssess changes of the attitudes and opinions about disclosure of cancer diagnosis to patients. Methods: We analyzed the attitudes and opinions of in-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their families, physicians, nurses, medical students, nursing students. Thre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in-patients, families, and surroundings in hospital. Data was collected in the St. Mary hospital for 3 months from October, 2002. We investigated the preference of disclosure, the reason the patients should be informed of disclosure, when, how and who to tell the cancer diagnosis to patients. 242 persons participated in these questionnaires (50 in-patients, 50 their families, 51 physicians and nurses, 41 medical students, 50 nursing students). Only 34 in-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were enrolled, and so 16 in-patients with lymphoma were added. All in-patients were undergoing anticancer chemotherapy. Results: 89.3% of the participants wanted to be told about disclosure of cancer and terminal illness (in-patients 98.0%, their families 88.0%, physicians and nurses 90.2%, medical students 73.2%, nursing students 94.0%, in-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97.1%). 79.8% of the respondents hoped that the moment to tell the truth was immediately when the disease was diagnosed (in-patients 94.0%, their families 80.0%, physicians and nurses 68.6%, medical students 68.3%, nursing students 86.0%). 64.4% of all prefered to be told the truth once for alt including patients' diagnosis, present status and prognosis (in-patients 81.6%, their families 66.0%, physicians and nurses 56.0%, medical students 48.8%, nursing students 70.0%). Most indicated the first reason to be told the truth was the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treatment design. 86.4% responded that physicians were the proper persons to disclose the diagnosis. Conclusion: Not only in-patients, families but also physicians, nurses, medical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all preferred the disclosure of cancer diagnosis. This preference was increas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papers. The first reason to be told the truth was the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treatment design. Most of the participants wanted to be told the truth once for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