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에 관한 연구

        강은실(Kang Eun-Sil),김숙자(Kim Sook-Ja),강성년(Kang Sung-Nyun),최성은(Choi Sung-Eun)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2008 전인간호과학학술지 Vol.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piritual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the curriculum of Spiritual Nursing Care in nursing collag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nsist of 58 nursing students in K University of Pusan city in Korea. All of them were educated about Spiritual Nursing Care for 100 minutes in a week, during totally 8 weeks in one semester.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7days from July 11 to July 18,2004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method. The measurement of the spiritual well-being was performed with 6 points-index which is composed of 21 items and is modified by Sang-Soon Choi(1990)from Palau tzian & Ellison(1983) s. Its high score means that the degree of spiritual well-being of the subject is high.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10.1 progra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real quantity and the percentage, and the spiritual well-being scores were identified through calculating the mean value of individual domain.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ith the spiritual well-being was analyzed by t-test and ANOVA, Scheffe 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The spiritual well-being of the subjects The average value for the spiritual well-being of the subjects was 97.78(SD=±10.53) among the possible ranges of 21-126. The mean value of all items was 4.66(SD=±0.502) and high relatively. 2. The spiritual well-be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analysis of the spiritual well-be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n faith(F=4.327, P= .004),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God s initiation in their daily life(F=3.933, P= .013),the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Nursing as their major(F=6.608, P= .000), their assurance of salvation(t=4.557,P= .037). among the personal religious actions, praising(F=3.32,p= .017), The group of nursing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in their faith life, always God has the initiative in their daily lives personally, they were satisfied about Nursing as their major very much, and they have their assurance of salvation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the spiritual well-being than any other group. In conclusion,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the spiritual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was high relative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related to the spiritual well-being of them were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ir faith lives,their recognition about God s initiation in their daily life, their satisfaction about Nursing as their major, among the personal religious actions, regular praising and their assurance of salvation. Therefore this study s results can be used for developing a spiritual nursing education and program to strengthen nursing student s spirituality to practice in spiritual nursing care.

      • KCI등재후보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에 미치는 효과

        최성은,강은실,Choi, Sung-Eun,Kang, Eun-Sil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2 No.4

        목적: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 사후 원시실험설계 연구로서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무지개 프로그램")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4월 6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경북포항시 소재 선린병원의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에 입원한 만18세 이상의 성인 환자로서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연구참여에 서면 동의한 27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 후 2주간, 총 10회(회당 120분)로 구성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제공 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효과 검정을 위해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로는 성인용으로 수정보완된 Self Esteem Questionnaire (SEQ), 영적안녕 측정도구로는 Spiritual Well-being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1. 가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환자(이하 실험군)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1.554, P<0.000) 2. 가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영적안녕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6.387, P<0.000). 결론: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므로, 호스피스완화의료 병동에 입원한 말기환자를 위해 임상 실무에서 적용 가능하며, 호스피스 전문직의 다학제적 팀 접근 모델로 연구, 교육 측면에서도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testify the effects on self 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of 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Rainbow program") for inpatients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This was designed as a preliminary experimental study with one-group pre-post test. Methods: A total of 27 patients who were over 18 years old, and admitted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of S hospital in P city, submitted informed consent for this study, participated in 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total 10 sessions and 1,200 minutes for 2 weeks) from April 6, 2004 to April 20, 2005. To test the effects of this intervention, Self Esteem Questionnaire (SEQ) and Spiritual Well-being Questionnair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WIN 12.0 program. Results: (1) Hypothesis No.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Rainbow program will have a higher degree of self esteem than before" was supported (t=11.554, P<0.001). (2) Hypothesis No. 2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Rainbow program will have a higher degree of spiritual well-being than before" was also supported (t=6.387, P<0.001). Conclusion: This 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of patients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Therefore, it can actively be used and also applied to hospice palliative care practice, research, and education as a useful model of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by hospice professionals.

      •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입원한 호스피스환자의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최성은,강은실,최화숙,Choi, Sung-Eun,Kang, Eun-Sil,Choe, Wha-Sook 한국호스피스협회 2008 호스피스 학술지 Vol.8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ain and anxiety for in-patient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This study's design was one-group pre-post test quasi-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The subjects of study were 27 patients who were over 18 years old and admitted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of S hospital in P city with agreement in hospice palliative care in their terminal disease.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s participated in 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took 120 minutes per session, a total of 1,200 minutes altogether for 10 session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April 6, 2004 to April 20, 200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WIN 12.0 program. A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named ‘Rainbow Program’) was used as a experimental tool in this study. This was developed by the authors. It was provided by interdisciplinary hospice team (nurses, medical doctors, social worker, pastors, art therapists, and volunteers). In addition, 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BPI-K) by Young-Ho Yun(1998) was used to test degree of pain in physical aspect. And State-Anxiety Inventory was developed by Spielberger(1975) and translated by Kim, Jung-Tack & Shin, Dong-Gyun(1978) was used to test the degree of state-anxiety in emotional aspect. Results: (1) Hypothesis No.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will have a lower degree of pain than before" was supported (t=-10.585, P= .000). (2) Hypothesis No. 2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will have a lower degree of state-anxiety than before" was supported (t=-8.234, P= .000). Conclusion: Our results testified that this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decrease pain and state-anxiety of the in-patients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Therefore it can be used and applied actively in practice as a useful model of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by hospice professionals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목적: 말기환자와 그 가족들은 신체적인 고통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영적 측면에서 전인적인 고통을 겪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통을 완화시켜주기 위해서는 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등의 다학제(multi- discipline) 전문가들과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호스피스 팀에 의해 제공되는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설계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과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수집은 P시 소재 S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18세 이상의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2004년 4월 6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제공된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전인적, 다학제적, 개별 및 집단적인 중재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호협동적인 다학제 전문가팀(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무용치료사, 미술치료사, 자원봉사자)이 호스피스 대상자 병실이나 병동에서 매회 120분씩, 총 10회(총1,200분)에 걸쳐 실시한 프로그램이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통증 척도는 윤영호(1998) 등이 한국형 간이통증 조사지(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BPI-K)로 개발한 도구 중 일부를 윤매옥(2000)이 사용한 도구, 상태불안 척도로는 Spielberger (1975)의 상태불안 측정도구(State-Anxiety Inventory)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최대값, 최소값,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입원 호스피스 환자(이하 실험군)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통증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통증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10.585, P= .000). (2) 가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8.234, P= .000).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호스피스 대상자의 통증 및 상태불안을 완화시키고 향상시켜 신체 및 정서적 차원에서 그 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호스피스 임상 실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그로 인해 호스피스 대상자의 통증을 조절하고 불안을 감소시켜 삶의 질을 총체적으로 높일 수 있는 데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비스와바 쉼보르스카의 시에 나타난 인간의 실존적 자각 연구

        최성은(Choi Sung E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3 No.1

        비스와바 쉼보르스카(Wisława Szymborska; 1923 - )는 폴란드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199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쉼보르스카의 시는 낭만적인 감상이나 언어의 유희를 배 제하고, 역사와 문학의 상관 관계, 인간의 실존 문제 등을 다루고 있다. 철학적이고 난해한 주제를 시로 형상화시키는 과정에서 시인은 비장하고, 장엄한 파토스를 사용하기보다는 풍 부한 상징과 은유, 풍자와 파라독스 등을 동원하여 독자의 감성을 두드린다. 쉼보르스카 시의 가장 큰 특징은 우리 주변의 사소하고 일상적인 것에 남다른 관심을 가 지고, 오랜 관찰과 철학적 사유를 건져 비범한 삶의 지혜를 포착하고 있다는 점이다. 시인 은 대상의 핵심으로 성급하게 뛰어들지 않고, 언제나 한 걸음 물러서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 하며 그 진면목을 파악하려 애쓴다. 쉼보르스카는 또한 다작(多作)을 꺼리는 작가로도 유명하다. 2차 대전 직후인 1945년 데 뷔한 이래 노벨 문학상 기념 시선집을 제외하고는 불과 10권의 시집만을 출판하였다. 오랜 선별 작업을 거쳐 시집에 수록․공개된 시들은 한 편, 한 편이 대표작이라고 할만큼 그 문 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The award of the 1996 Nobel Prize for Literature to Wisława Szymborska gives deserved prominence to a figure whose reputation has been relatively slow to grow beyond her native Poland. During the years of Soviet oppression, spoke so eloquently for the true feelings of the Polish people, she nonetheless has her own distinctive voice and authority. Born in 1923, Wisława Szymborska made her debut with a Socialist Realist collection titled 『That's What We Live For』 in 1952. (The manuscript was initially considered not ideologically correct enough, ad its publication dragged on for years.) Her second collection, 『Questions Put to Myself』came out in 1954. It is in the semantic hiatus between these two titles that we can catch the first glimpse of the gebuine Szymborska, who reached her maturity with her third collection, in 1957, 『Calling Out to Yeti』. The youthful self-confidence of the first book's title gives way to self-doubt; perhaps most significant, the plural "we" is replaced with the singular "myself". The most extraordinary thing about her achievement is that, in some mysterious and enviable way, the uncompromising profundity of her poems never prevents them form being accessible. Always concerned with the unglamorized actualities of he human condition, often sardonic and very funny, endowed with the most fertile and surprising imagination, Szymborska can now be seen as one of the supremely trustworthy witnesses of our time. Wisława Szymborska, quite simply, does not write irrelevant poems. She is a poet for whom each and every poem matters. Wit, wisdom, and warmth are equally important ingredients in he mixture of qualities that makes her so unusual and every poem of hers so unforgettable. We love her poetry because we instinctively feel that its author genuinely (though by no means uncritically) love us, takes interest in us, will be always there to here what we, human beings, have to say.

      • KCI등재
      • KCI등재

        비스와바 쉼보르스카(Wisawa Szymborska)의 시에 나타난 회화적(繪畵的) 모티브 연구

        최성은 ( Sung Eun Choi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0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22 No.-

        In the poems of Wisawa Szymborska, a world-renowned Polish poet and Nobel prize laureate, many figurative motifs can be found. She quotes directly from different types of fine arts of the orient and the occident, ranging from medieval miniatures, Renaissance paintings and Flemish paintings to the Japanese engravings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western impressionism. She also borrows subjects, images, feeling, and techniques of expression from the fine arts. In Szymborska`s poems, the interaction between literature and fine arts occurs in three aspects. Firstly, much of her work is inspired by visual art. Secondly, the visual images created by shapes and colors work as a medium to help her to recall lost memories of the past. Thirdly, artworks appear in her poems as a paradox which goes against the stream of time. The figurative motifs in the poems of Szymborska are not only closely related to the basic structure of the poems, but also interact with the subjects of the poems. The ultimate aim of this study is to attempt an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literature and fine arts that goes beyond the scope of comparative literature.

      • KCI등재

        올가 토카르추크의 『방랑자들(Bieguni)』에 나타난 인간의 육체에 대한 탐험

        최성은(Sung Eun Choi)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21 동유럽발칸연구 Vol.45 No.3

        2018년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올가 토카르추크(Olga Tokarczuk: 1962~ )의 『방랑자들 (Bieguni)』(2007)은 작가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으로 2018년도에 멘부커 인터내셔널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작가는 17세기부터 21세기까지 다양한 시공간을 배경으로 각자 나름의 이유로 여행길에 오른 다채로운 인간군상을 보여주면서, 우리를 쉼 없이 움직이게 만드는 ‘여행’ 또는 ‘이동’이야말로 인간을 자유롭게 해줄 수 있음을 역설한다. 여행과 이동의 의미를 21세기적 맥락에서 탐구하고자 했던 『방랑자들』에서 토카르추크는 ‘신체로서의 인간’에 주목하면서 ‘인체에 대한 탐험’ 또한 일종의 여행으로 간주한다. 목적과 이유는 저마다 다르지만, 경계를 넘나드는 이동을 실현하는 주체가 바로 인간의 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방랑자들』에는 ‘몸’에 관한 에피소드, 그중에서도 특히 파편화된 인체 부위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등장한다. 인간의 내장기관을 전시한 박물관에 대한 관람기록과 인체를 방부 처리해서 영구 보존하기 위해 고심하는 해부학자들의 사연 또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토카르추크는 정신과 몸을 대립시키지 않는다. 작가의 이러한 시각은 정신이나 의식보다 몸의 감각을 사유와 지각의 중심에 놓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신체의 고유한 주체성과 능동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철학과 밀접한 연관성이 발견된다. 토카츠추크는『방랑자들』을 통해 ‘필멸’의 존재인 인간의 육체를 ‘불멸’이라는 주제와 연관 지어 성찰하면서 인간의 몸에 깃든 에너지와 무한한 가능성에 주목한다. A winner of the 2018 Nobel Prize in Literature, Olga Tokarczuk(1962~ ) won the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for her novel Flights(Polish title: Bieguni) in 2018. It is a hybrid novel consisting of 116 texts on the common keyword of ‘travel’ or ‘vagabond’. Tokarczuk emphasizes that travel can truly free humans by keeping us moving continuously through the appearance of various characters who travel through different times and places in endless succession, between the seventeenth and twenty-first centuries. In Flights, which explores the meaning of journey and movement in the context of the twenty-first century, Olga Tokarczuk views ‘an exploration of the human body’ as a kind of journey in which one focuses on ‘the human being as a physical body.’ This is because the principal agent which realizes movement across boundaries is the live human body - though the purposes and reasons for such movement may be diverse. Thus, Flights contains numerous stories about the ‘body,’ and more particularly certain physical parts of the human body. Records of visits to museums which exhibit human internal organs, as well as stories about anatomists who conduct research on the eternal preservation of the human body though plastination, occupy a large part the book. Tokarczuk does not focus on conflict between mind and body. In the sense that she places physical sensation, rather than mind or consciousness, at the center of thought and awareness, and emphasizes the independence of the body, her approach seems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hilosophy of Maurice Merleau-Ponty. In essence, Tokarczuk emphasized on the energy and limitless possibilities of the human body by associating the mortal human body with the theme of ‘immortality.’

      • KCI등재

        예지 안제예프스키의 『천국의 문』연구 (1)

        최성은(Choi, Sung Eu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3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1

        예지 안제예프스키(Jerzy Andrzejewski: 1909-1983)는 전후 폴란드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이다. 1960년에 발표된 소설 『천국의 문』은 한 때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던 작가가 급변 하는 현대사의 질곡 속에서 좌절과 혼란을 거듭하다가 결국 체제 비판적인 방향으로 그 행보를 확고하 게 전환한 후에 집필했던 대표적인 작품이다. 비록 사회주의 정부의 엄격한 검열로 인해 과격한 현실비 판이나 강력한 저항의식이 드러나 있지는 않지만, 그 내부에는 인간의 도덕성을 마비시키는 이데올로기 에 대한 단호한 비판 의지를 발견할 수 있다. 세계 제 2차 대전, 나치에 의한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유태인 대학살, 바르샤바 무장봉기, 사회주의 체 제로의 전환 등 역사적 격동기를 생생하게 체험했던 안제예프스키에게 있어 화려하게 포장된 이데올로 기는 그 이면에 감춰진 인간의 추악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이자 지배자의 권력을 유지시키는 도구에 불과할 따름이다. 지극히 개인적이고 세속적인 욕망으로 절망하고 괴로워하는 ‘자아의 갈등’은 공동체가 추구하는 이상과 개인이 직면한 현실 사이에 가로놓인 괴리감으로 인해 ‘세계와의 갈등’을 양 산하게 된다. 결국 ‘개체’로써의 자아의 고유한 인성은 ‘체제’라는 거대한 질서 앞에서 무참하게 희생되고 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인 것이다. 따라서 작가가 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문제는 이데올로기 자 체가 아니라 세속적인 욕망을 끊임없이 야기시키는 개인의 잠재적인 본성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안제예프스키는 『천국의 문』에서 이데올로기의 노예로 전락하면서도 스스로 끊임없이 이데올로기를 필요로 하는 인간의 나약한 본성을 꿰뚫고 있다. 21세기를 살고 있는 오늘의 독자들이 1960년에 쓰여진 이 작품을 매개체로 하여, 중세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소년 십자군’의 모습에 자신이 속한 사회와 공간을 비추어 볼 수 있는 것은 바로 인류의 역사 속에서 반복되고 있는 고질적인 권력구조의 모순과 병폐적인 이데올로기의 맹목성 때문인 것이다. Jerzy Andrzejewski (1909-1983) is a typical novelist of the postwar Polish Literature. The『Gate of Heaven』was released in 1960 after writer, once supported the socialism ideology ardently, has converted his ideology to system Critique after getting severely skeptical about the restrain and contradiction of socialism. The radical critique of reality and stubborn resistance were not written on the book due to the strict censor of the socialism government. Although a will to criticize decisively about ideology paralyzing the human morality could be found in it. Andrzejewski is famous for reflecting his experiences in life such as the World War II and German's forcible occupation, the Jews massacre in Auschwitz proceeded by Nazis, transition to socialism directly after the war and so on to his literature work. For him, gorgeously wrapped ideology was just means to satisfy humans' abominable desires hidden on the other sides and also just an implement to maintain dominator's authority as well. 'Conflict of ego' despaired and suffered by personal and earthbound desires collide against an ideal pursued by the community and produces 'Conflict against the world'. Eventually, it is the reality that a peculiar humanism of an ego as an 'individual' is sacrificed ruthlessly for the huge order named 'Structure' Therefore, the ultimate issue that author concerns is not about the ideology itself but the original nature of individual's latent bringing earthbound desires constantly. In the 『Gate of Heaven』, Andrzejewski criticized on the feeble nature of human beings in which requires ideology ceaselessly for him even though he become as a slave of ideology. The reason that Korean readers living in 21st century can not help reminding the reality they belong to while reading the 『Gate of Heaven』, takes the middle age as a background, is due to the contradiction of chronic social structure and blindness of vicious ideology which repeats through the human history.

      • 폴란드 상장례에 나타난 기독교와 민간 신앙의 영향 고찰

        최성은(Choi, Sung-E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

        원시 시대부터 인류는 죽음에 상당한 의미를 부여했으며, 누군가 죽으면 반드시 공동체 구성원들이 함께 모여 죽은 자를 저 세상으로 보내는 경건하고 정성스런 의식을 치렀다. 상장례 풍속은 사자(死者)에 대한 공경과 두려움이 어우러져 시공을 초월하여 각 민족의 대표적인 전통 문화로 자리 매김하였고, 끈질긴 전숭력을 특정으로 하는 생활 관습이 되었다. 고대 슬라브인들은 영원 회귀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죽음’을 종말이 아니라 영속적이고 원초적인 세상으로 다시 돌아가는‘전환’의 단계로 인식 하였으며,'죽음’을 통해 시간의 순환적인 갱신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따라서 적절하고 합당한 장례 의식을 거행하게 되면, 재생의 과정을 거쳐 영속적인 세계로의 이입이 가능하다고 굳게 믿었다. 이 시기에는 육체에서 분리된 영혼을 신봉하였기에 육신의 부활이나 시신의 중요성은 그다지 강조되지 않았다 . 따라서 장묘 방법에 있어서도 매장과 화장이 병행되었다. 966년 기독교의 수용과 함께 국가를 수립한 폴란드는 가툴릭의 예식과 관습을 근간으로 삼아 고유의 상장례 전통을 만들어가게 되었다. 예수의 부활과 최후의 심판을 강조하는 기독교의 교리에 따라 육신을 신성시하게 되면서 폴란드에서 화장은 점차 자취를 감추었고, 매장이 보편적인 장묘 방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오늘날 폴란드의 상장례 의식은 임종을 준비하는 절차에서부터 시신 수습과 입관 예절, 장례식과 매장에 이르기까지 가톨릭의 의식에 따라 치러지고 있지만, 그 속에는 고대 슬라브의 원시 종교에서 비롯된 민속적인 요소와 민간 신앙에 따른 장묘 관습이 절묘하게 융화되어 있다. 망자에 대한 경의와 두려움에서 비롯된 다양한 주술적인 의례들과 정화 예식들, 죽음과 영혼을 소재로 한 갖가지 민담이나 설화들, 장례 풍속과 관련한 여러 가지 금기와 미신들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From ancient times, members of a community have got together to hold solemn funeral ceremonies for the passing of their loved ones. Funeral customs, which represent respect for the dead and the fear of death, have become an important tradition in every region and age. Indeed, funerals have the longest history among all human customs. Ancient Slavic people regarded 'death' not as an 'end' but as a 'transition' to the eternal world. Therefore, they believed that an appropriate funeral would prompt the dead person's smooth transition to the eternal world. Because they only believed in the soul that is separated from the body, they did not put emphasis on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body. That is why they allowed both cremation and burial. Since the old Polish dynasty accepted Christianity and laid the foundations of Polish statehood in 966, Catholic funeral and mourning rituals had become the basis of Polish funeral traditions. As a result, burial became the main method of disposing of bodies in Polish society as the Christian doctrine, which puts much emphasis on the Resurrection and Judgment Day, sanctified dead bodies and rejected cremation. While today's Polish funeral rites, from the preparation of death to placing a dead body in a coffin and to burial, are based on Catholic doctrines, many ancient Slavic elements and customs are included in funeral rituals in Poland. Typical examples are various incantations and purification rites, folktales and stories about death and spirits, taboos and superstitions about funeral custom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