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Colemanite 광물로부터 붕소화합물의 제조에 관한 연구 : 붕산제조 및 반응기구 (I)

        최병현,임형미,지미정,장재훈,백종후,이미재,Choi, Byung-Hyun,Lim, Hyung-Mi,Jee, Mi-Jung,Jang, Jae-Hun,Paik, Song-Hoo,Lee, Mi-Jai 한국세라믹학회 2004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1 No.10

        Colemanite($Ca_2B_6O_{11}{\cdot}5H_2O$)원광을 황산과 반응시켜 붕산을 추출하는 방법과 그 반응 기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colemanite에 황산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colemanite의 칼슘 성분을 황산칼슘으로 분리하고 붕산을 추출할 때, 첨가하는 황산 첨가량 은 colemanite에 존재하는 Ca 성분을 분리할 때 필요한 화학 양론적인 양보다 많아야 되며, 또한 초기 pH가 5 미만이어야 대부분의 colemanite가 분해되었다. 붕산으로 추출 시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분해온도, 분해시간, 황산 첨가량, 황산암모늄 첨가량, pH. 농축 정도 및 건조온도와 시간이었다. 황산 첨가 시 colemanite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 중 CaO와 MgO는 황산과 반응하여 침전을 형성하고, $SiO_2$는 불용 성분으로 황산칼슘과 함께 분리되고, $Al_2O_3,\;Fe_2O_3,\;TiO_2,\;Na_2O$ 등은 황산과 반응하여 액상 상태로 존재하였다. 이 액상에 암모니아를 첨가하여 존재하는 나머지 불순물을 수산화물 형태로 분리, 석출하였으며, pH 조정과 산성화, 농축, 재결정화 과정을 통하여 붕산을 제조하였다. We present extraction process and reaction mechanism of boric acid from one of calcium borate ores, colemanite by reaction with sulfuric acid. Colemanite has been fully decomposed under pH 5 with sufficiency amount of sulfuric acid, more than the amount stoichiometrically required. Calcium sulfate was separated out, leaving boron in the liquid phase after sulfuric acid addition. The extraction process of boric acid was affected by dissolution temperature and time, amount of sulfuric acid and ammonium sulfate, pH and a degree of concentration before recrystallization. The $SiO_2$ of the impurities which colemanite contains was insoluble so that it was separated out with calcium sulfate from liquid phase. The species of $CaO,\;Al_2O_3,\;Fe_2O_3,\;MgO$ were remained in a liquid phase after reaction with sulfuric acid. These impurities were separated out by addition of ammonia to the liquid phase, funhermore, boric acid was produced by process of pH adjustments and acidification, concentration, and recrystallization.

      • SCOPUSKCI등재

        P<sub>2</sub>O<sub>5</sub>-SnO<sub>2</sub>계 유리에서 P<sub>2</sub>O<sub>5</sub>를 B<sub>2</sub>O<sub>3</sub>로 치환첨가 시 구조와 물성에 미치는 영향

        최병현,지미정,안용태,고영수,이영훈,Choi, Byung-Hyun,Ji, Mi-Jung,An, Yong-Tae,Ko, Young-Soo,Lee, Young-Hun 한국세라믹학회 2008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5 No.8

        $P_2O_5-SnO_2$ system $0.5SnO_2-xP_2O_5-(0.5-x)B_2O_3$(x=0.1, 0.2, 0.3, 0.4, 0.5) glasses have been prepared for Pb-free low temperature glass frit. A investigation about the effect of $B_2O_3$ substitution on properties of $P_2O_5$ glasses, including glass structure properties, thermal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was presented. Substance that is responsible for in moisture absorption existing circumstances supposes by phosphate, and excess moisture tolerance that state funeral's structure is improved breaking does not affect in state funeral bond that only most single bond remains, and can know that does not suffer big impact in boric oxide anomaly present state. This phenomenon estimates that connect with structure change. It is thought according to link this result the phosphoric acid happened structural change. $B_2O_3$ displacement quantity 0.3 mole put out $BO_4$ structures, but above 0.3 mole it changed with the case $BO_3$ structure which it displaces.

      • SCOPUSKCI등재

        고순도.미립 $TiO_2$분말 제조에 관한 연구 -가수분해 반응 조건에 따른 분말특성(II)-

        최병현,허혜경,이미재,김환,김무경,Choi, Byung-Hyun,Huh, Hye-Kyung,Lee, Mi-Jai,Kim, Hwan,Kim, Moo-Kyung 한국세라믹학회 2000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7 No.10

        TiCl$_4$, 물 및 1-propanol의 혼합용액으로부터 미립 TiO$_2$분말 제조시, 1-propanol과 물의 부피비, 반응온도, 반응유지시간 및 TiCl$_4$mole 농도에 따른 분말 특성 및 결정상 생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반응온도가 3$0^{\circ}C$ 이상일 때 Ti 수화물의 초기 침전이 생성되었고 반응온도가 TiCl$_4$mol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크기는 증가하였고 $600^{\circ}C$ 하소시 1-propanol과 물의 부피비가 2보다 크고 반응온도가 7$0^{\circ}C$보다 낮을 때 주결정상은 anatase였다. 입자크기가 미세하고 입자크기 분포가 좁은 범위를 갖는 조건은 1-propanol과 물의 부피비가 2, 반응온도가 7$0^{\circ}C$, TiCl$_4$mole 농도가 0.2 mole/ι일 때였으며, 결정상의 생성은 1-propanol과 물의 부피비가 2, 반응온도가 3$0^{\circ}C$ 이상일 때 anatase에서 rutile로 전이하는 온도가 높아졌다. 이와 같은 반응인자에 따른 효과는 용매의 유전상수, 티타니아의 용해도, 입자의 표면전위 등의 효과와 관계가 있었다.

      • SCOPUSKCI등재

        TiCl<sub>4</sub>를 출발원료로한 구형 Li<sub>4</sub>Ti<sub>5</sub>O<sub>12</sub> 분말합성 및 리튬이차 전지특성

        최병현,지미정,권용진,김은경,남산,Choi, Byung-Hyun,Ji, Mi-Jung,Kwon, Yong-Jin,Kim, Eun-Kyung,Nahm, Sahn 한국재료학회 2010 한국재료학회지 Vol.20 No.12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for our society is providing powerful 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devices.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ies and fuel cells are among the most promising candidates in terms of energy and power density. As the starting material, $TiCl_4{\cdot}YCl_3$ solution and dispersing agent (HCP) were mixed and synthesized using ammonia as the precipitation agent, in order to prepare the nano size Y doped spherical $TiO_2$ precursor. Then, the $Li_4Ti_5O_{12}$ was synthesized using solid state reaction method through the stoichiometric mixture of Y doped spherical $TiO_2$ precursor and LiOH. The Ti mole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the spherical particle size due to the addition of HPC with a similar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a well in which $Li_4Ti_5O_{12}$ spherical particles could be obtained. The optimal synthesis conditions and the molar ratio of the Ti 0.05 mol reaction at $50^{\circ}C$ for 30 minutes and at $850^{\circ}C$ for 6 hours heat treatment time were optimized. $Li_4Ti_5O_{12}$ was prepared by the above conditions as a working electrode after generating the Coin cell; then,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when the voltage range of 1.5V was flat, the initial capacity was 141 mAh/g, and cycle retention rate was 86%; also, redox reactions between 1.5 and 1.7V, which arose from the insertion and deintercalation of 0.005 mole of Y doping is not a case of doping because the C-rate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better.

      • KCI등재

        신라 적석목곽분 기원 연구의 방향

        최병현(Choi Byung Hyun) 중앙문화재연구원 2016 중앙고고연구 Vol.0 No.21

        신라가 낙동강 이동지방을 지배하는 마립간시기, 즉 신라 전기에 수도 경주의 중심고분군에 출현한 적석목곽분은 지상적석식과 상부적석식의 두 유형이 큰 시차 없이 출현하여 각각 신라 중앙의 왕실과 귀족집단의 묘제로 조영되었다. 그러한 적석목곽분의 구조 가운데 묘곽의 형식이나 상부적석식의 묘광 내 목곽과 사방적석 등은 신라 조기 점토충전목곽묘와 석재충전목곽묘의 구조를 이어받은 것으로 보여, 그 기본적인 계승관계가 인정된다. 그러나 지상적석식 초기 대형분의 복잡한 내부구조와 거대 고총으로의 출현, 상부적석식에서 묘광 위의 상부적석과 호석으로 보호된 원형 고대봉토의 출현은 전시기 석재충전목곽묘로부터의 자생적인 진화·발전으로 보기 어렵다. 월성북고분군에서 고총 적석목곽분의 출현은 신라 조기 석재충전목곽묘로부터의 점진적인 변화·발전과정이라기보다는 여전히 신라 전기양식토기가 성립하는 4세기 중엽쯤의 돌연한 현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라는 사로국시기에도 외부 세계와 접해왔고, 고대국가로 성립하면서 중국에 견사하는 등 외부 세계와 접촉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한 신라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마립간시기에 적석목곽분이 출현하여 왕실 무덤부터 고총화한 데에는 외부로부터 받은 자극이나 충격도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상이 신라 적석목곽분의 출현과 관련하여 아직 필자가 갖고 있는 기본적인 생각이지만, 필자의 주장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학계에 제시된 신라 적석목곽분의 기원이나 계통론은 사실 모두 쉽게 입증되기 어려운 가설들일 뿐이다. 1990년대 초 울산 중산리유적의 발굴조사를 계기로 신라 적석목곽분의 목곽묘 자체발전설이 제기된 이후 이를 입증해 보려는 많은 노력이 있어 왔지만 별다른 성과는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목곽묘와 적석목곽분의 구조를 왜곡하거나 확대·과장한 해석들이 난무하였다. 가설을 입증하려는 노력은 더욱 계속되어야 하겠지만 정확한 사실들에 기초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자료를 왜곡하거나 확대·과장하는 해석은 지양되어야 한다. 그보다는 차라리 미래의 새로운 자료 출현을 기다리는 것이 온당하다 During the Maripgan period, also known as the Early Silla phase, when the Silla state controlled the region east of the Nakdong River,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ere constructed in the central burial grounds of the Gyeongju region, the capital of Silla. Thes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comprise two subtypes that appear almost simultaneously: the subtype with an above-ground burial chamber and the subtype with a subterranean burial chamber. They were used as the burials of the royalty and the aristocracy of the Silla center, respectively. Some architectural elements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such as the burial chamber structure or the use of wooden panels or the packing of stones (in the case of the subtype with the subterranean burial chamber), can be understood as having been inherited from the wooden chamber tomb embellished with packed stones or packed clay of the Incipient Silla phase. As such, a continuity of traditions can be proposed. However, there are also elements that cannot be regarded as having developed from these earlier types of tombs. They are 1) the 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of the early, large-scale, wooden chamber tombs that had burial chambers located above ground; 2) the construction of the enormous ‘high mounds’; 3) the addition of stones on top of the wooden burial chamber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a subterranean burial chamber); and 4) the use of a circular earthen mound surrounded by a circle of protective stones. As such, the appearance of stone chamber tombs with stone ‘high mounds’ at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s can be regarded as a phenomenon that appeared abruptly around the mid-4th century, when the Early Silla pottery style came to be established, rather than as the result of a gradual development from the wooden chamber embellished with stone packing of the Incipient Silla phase. Even during the Saroguk phase, Silla established links with the outside world; with its formation as an ancient state, Silla continued to maintain these links, for example sending envoys to China. During the Maripgan period, which witnesse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Silla stat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emerged and those used as royal tombs came to be embellished with ‘high mounds’. It may be that this change was generated by foreign influences. The author’s basic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by which the Silla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originated, as outlined above, is admittedly based on assumptions that are not easily proven – this is the same for other theories regarding the origins and lineage of this tomb type. Following the excavation of the Jungsan-ri site, in Ulsan, in the early 1990s, some researchers have come to propose that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developed indigenously from the wooden chamber tomb. However, although much effort has come to be invested, this has yet to be proven. In the meantime, interpretations based on distortions or exaggeration of the structure of wooden chamber tombs or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have been rife. As such, it can be argued that efforts to prove the proposed theories regarding these tombs must be based on facts, and that a distortion or exaggeration of these facts should be discouraged. A better strategy may be to sit back and wait for the future discovery of new archaeological material.

      • KCI등재
      • KCI등재

        5세기 신라 전기양식토기의 편년과 신라토기 전개의 정치적 함의

        최병현(Choi, Byung-hyun) 중부고고학회 2014 고고학 Vol.13 No.3

        본고의 내용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라 전기양식토기는 모두 4기로 나누어지는데, 정형화하기 이전인 성립기, 즉 1기를 살펴본 전고에 이어 본고의 전반부에서는 신라 전기양식토기가 정형화 된 이후인 2기부터 4기까지의 토기를 형식분류하고 각 분기를 a, b소기로 세분하여 그 연대를 살펴보았다. 신라 전기양식토기 2a기에 해당하는 황남대총 남분은 신라토기 및 신라고분의 편년에서 핵심적인 위치에 있는데, 본고에서는 그 연대가 4세기 말~5세기 초라는 것을 재확인하고, 아울러 이 연대는 학계에서 이미 절대연대가 고정된 중국 동북지방 선비족 고분의 마구 연대, 그리고 일본 고분시대 초기須惠器의 연륜연대와 같은 동아시아 고고학자료의 연대와 정합성을 갖는다고 보았다. 신라 전기양식토기는 6세기 전엽까지 이어졌으며, 그 뒤 신라 후기양식토기로 전환되었다.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신라의 중앙인 경주에서 신라 조기양식토기로부터 신라 후기양식토기까지 토기 양식이 전환됨에 따라 지방에서 각 시기마다 지역단위로 성립된 지역양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영남지방에서는 진・변한의 제소국 가운데 경주의 사로국과 김해의 구야국이 두각을 나타내면서 신라 조기양식토기와 가야 조기양식토기가 성립되었으나, 신라 조기양식토기는 그 지역양식의 성립이 전 영남지방으로 확대되어, 범신라 조기양식토기가 낙동강 하구 일원을 벗어나지 못한 가야 조기양식토기의 분포권을 포위하는 상황으로 발전하였다. 이는 경주 사로국과 김해 구야국의 세력경쟁에서 사로국이 확실하게 우위에 선 것을 말해주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후에도 지방의 토기 생산체제에 대한 신라 중앙의 관여 정도, 장악여부와 밀접히 관련되어 신라토 기의 지역양식이 전개되었으나 신라 전기양식토기 4기부터는 지역양식이 소멸되기 시작하였고, 신라국가가 중앙집권화된 이후 토기인 신라 후기양식토기는 사실상 지역양식이 성립되지 않았다고 보았다.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Early Silla style pottery can be divided into four phases. The pottery of Phase 1, representing the ‘establishment’ phase during which stylistic standardization had yet to appear, was examined by the author in a previous paper.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typological analysis and classification is undertaken on the Early Silla style pottery of the remaining three phases, which evidence stylistic standardization. Each phase is further divided into sub-phases ‘a’ and ‘b’, and the overall chronology of the pottery is examined. The south mound of Hwangnamdaechong Tomb, which yields Phase 2a pottery, is central to establishing a chronology of Silla pottery and tombs. In this paper, its date is once again attributed to the late fourth century to the early fifth century. This fits well with the dates that have been obtained for other associated types of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East Asia, such as the absolute dates for the horse gear from the Xianbei tombs of Northeast China, about which an agreement has been reached between researchers, and the dendrochronological dates of the early sueki ware of the Kofun period, Japan. Early Silla style pottery was used until the first quarter of the sixth century and was subsequently replaced by Late Silla style pottery. I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the changes in pottery style that took place in Gyeongju, the Silla center, spanning from the Incipient Silla style pottery to the Late Silla style pottery, and how the changes of each phase effected the local pottery styles that were established, respectively, in the regional areas, is considered. Of the polities of Jinhan and Byeonhan in the Youngnam region, Saroguk (located in present day Gyeongju) and Guyaguk (located in present day Busan) emerged as powerful entities; this development was accompani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Incipient pottery styles of Silla and Gaya. Soon afterwards, Incipient Silla style pottery developed from a regional phenomenon into that which covered the entire Youngnam region; its area of distribution soon came to encircle that of Incipient Gaya style pottery, which was limited to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This was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power struggle between Saroguk and Guyaguk, and the former’s clear cvitory in this struggle. The degree to which the Silla center interfered with or controlled the production system of regional pottery played a key role in the development of Silla style pottery in the regional areas. Such regional pottery styles began to decline from Early Silla style pottery Phase 4. In the case of Late Silla style pottery, whic hemerged subsequent to the establishment of a centralized system of government for the Silla state, regional pottery styles no longer came to be established.

      • KCI등재

        성과평가시스템의 톱니효과(Ratchet Effect) 현상에 관한 실증분석

        최병현 ( Byung Hyun Choi ),이경태 ( Kyung Tae Lee ) 한국회계학회 2004 會計學硏究 Vol.29 No.3

        본 연구는 국내 대기업 소속 사업부를 대상으로 예산 수립과 성과평가 과정에서 최고경영자와 사업부 경영자간에 발생할 수 있는 대리인 문제를 성과평가 시스템의 톱니효과(ratchet effect)현상으로 규명하고, 조직 특성별로 톱니효과가 어떠한 차별적 특성을 보이는 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대기업 소속 사업부 418개의 예산과 성과평가 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전년도 예산 목표와 실적이 차기년도 예산 목표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예산의 톱니현상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예산의 목표를 초과달성하는 경우와 미달성하는 경우 각각 차기년도 예산 목표에 반영되는 정도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과가 보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높은 성과를 달성한 사업부는 차기 성과를 감안하여 당해년도의 성과를 조정하려는 톱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무적 지표의 비중이 높은 사업부, 사업의 불확실성이 높은 사업부의 경우 톱니효과를 설명하는 유의적인 결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넷째, 사업부 경영자가 교체되는 시점에는 성과를 차기로 이연시키려는 톱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섯째, 예산의 톱니현상과 톱니효과는 EVA지표 표본보다는 매출액 지표 표본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ratchet effec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manifested in the agency problem between chief executive officers and business unit managers in Korea`s large company groups in the process of budget plann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atchet effect differs between organizatio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conclusions drawn from our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enomenon of budget ratcheting existed in the context whereby the previous budget target and performance affect the planning of the next budget target. And the extent to which the previous budget is reflected in the next budget target differed when the budget target had been over-achieved, and when the target had been under-achieved. Second, in the business units that performed so high, that performance did not affect compensation (UPP group), the ratchet effect adjusted the current performance to make allowance for the next period`s performance. That is, the business unit managers of the UPP Group used discretionary accrual to lower the current performance for the next period`s performance. Third, n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to explain the ratchet effect in business units with a high weight of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 and in those with high business uncertainty. This seems to indicate that the ratchet effect is not a phenomenon that occurs only in large organizations composed of business units with a high weight of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 or where business uncertainty is high. Fourth, no ratchet effect existed to pass on the current performance to the next at the time of turnover of the business unit manager. This seems to reflect the business unit manager`s effort to increase the current performance result in maximization of his compensation. Fifth, our analysis showed that a much stronger ratchet effect existed in the sales performance measure sample than in the EVA performance measure sample. This indirectly implies that, compared to sales performance measures, it is difficult to plan a budget target or manipulate current performance using EVA performance measures, since it takes into account various items of the income statement and balance shee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성과와 리스크 통합관리 사례연구

        최병현(Byung Hyun Choi),옥용재(Young Jae Ok),윤대희(Dae-Hee Yoon) 한국관리회계학회 2012 관리회계연구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기업에 속해있는 A사의 성과와 리스크의 통합관리 모델의 배경, 성과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A사의 사례를 통해 기업의 성과와 리스크의 통합 관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A사는 성과중심의 관리를 하는 기존의 성과관리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사전적으로 대응하기위해 성과와 리스크의 통합 관리 모델을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핵심성과관리지표(KPI)는 물론 핵심리스크관리 지표(KRI)의 상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되었다. A사의 성과와 리스크의 통합 관리 모델은 성과관리의 틀 안에서 성과를 선행하는 리스크를 식별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면에서 타사와는 차별적이다. 그리고 성과 지표와 연계하여 성과를 제약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고 사전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상시 모니터링이 가능하였다. A사는 통합 관리 모델을 운영하여 전략의 실행력을 강화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성과와 리스크에 대한 전사 공감대 확산 등 많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하지만 성과와 리스크의 통합관리 모델의 효과성에 대한 가시적 성과의 미흡, 환경변화에 따른 중점관리 대상 리스크의 지속적인 업데이트 등 실행 상 극복해야 할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This research introduces a case of the integrated system of performance and risk in a subsidiary of a conglomerate in Korea (“Company A”) by explaining the achievements and issue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 company implemented integrated system of Performance(BSC) and Risk(ER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at focused only on performance and to better manage volatile business environments. The integrated system has allowed the company to continuously monitor Key Performance Indicator(KPI) and Key Risk Indicator(KRI). The system in Company A is distinguished from system in other companies in the aspect of simultaneous management of Performance and Risk. Through the new system, the company improved its ability of strategy implementation and spread the idea of risk-performance relationship. However, there are several issues that should be overcome as well. Despite the achievements, there exist limita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model of performance and risk. For example, continuous and responsive update of KRIs for circumstantial changes is a challenge that may limit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