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렁쉥이 껍질성분의 이용에 관한 연구 -3. 우렁쉥이 껍질의 색소성분-

        최병대,강석중,최영준,염말구,이강호,CHOI Byeong-Dae,KANG Seok-Joong,CHOI Yeung-Joon,YOUM Mal-Gu,LEE Kang-Ho 한국수산과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4

        우렁쉥이 껍질 및 육중의 carotenoids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 및 껍질의 서식장소별 색소함량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껍질속의 카로테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나 껍질의 색소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계절에 따른 색소함량의 변화에서 한산도산은 5월부터 색소함량이 증가하였다가 8월 이후 감소하였고, 월례산은 7월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껍질의 주된 카로테노이드는 alloxanthin으로 그 함량($31.3\%$)이 가장 높았고, halocynthiaxanthin($15.5\%$), diatoxanthin($11.9\%$), diadinochrome($11.6\%$), mytilo-xanthin($10.8\%$), astaxanthin($7.8\%$)으로 각각 나타났다.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 of carotenoid contents in the muscles and tunic of the cultured ascidian(Halocynthia roretzi) was investigated. Carotenoid contents of tunic(47.87 mg/100g wet base)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muscles(2.35mg/100g wet base). The carotenoid contents was increased from April to August and then decreased in September. A total of 13 components were separated from the carotenoids extracted from ascidian tunic. The carotenoids of ascidian tunic accounted for followed by those of alloxanthin($31.3\%$), halocynthiaxanthin($15.5\%$), diatoxanthin($11.9\%$), diadinochrome($11.6\%$), mytilo-xanthin($10.8\%$), and astaxanthin($7.8\%$).

      • KCI등재

        우렁쉥이 껍질 성분의 이용에 관한 연구 -4. 우렁쉥이 껍질 추출물의 안정성-

        최병대,강석중,최영준,염말구,이강호,CHOI Byeong-Dae,KANG Seok-Joong,CHOI Yeung-Joon,YOUM Mal-Gu,LEE Kang-Ho 한국수산과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4

        우렁쉥이 껍질 및 색소 추출물의 열에 대한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열시간에 다른 함량변화는 적었으며, $100^{\circ}C$에서 4시간 가열하였을 때 약$10\%$가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용매에 대한 안정성은 함량이 많은 alloxanthin, halocynthiaxathin 등이 가장 높았고, astaxanthin은 hexane에 저장할 때도 저장 안정성이 낮았다. 3. $-20^{\circ}C$ 저장시 가장 안정하여 용매에 의한 영향보다는 온도에 따른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나 색소 추출물을 이용할 때는 저온저장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ability of carotenoid extracts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s during heating and solvent storage was examined. After 4 hours of heating at $100^{\circ}C,\;10\%$ of total carotenoids was decomposed. The stability of carotenoid extracts were determined in 4 organic solvents. Stability was checked for 1, 2, and 4 weeks at room temperature($15{\pm}2^{\circ}C$), $4^{\circ}C$, and $-20^{\circ}C$ by measuring absorbance. B7(alloxanthin) and B10(halocynthiaxanthin) were more stable than the other carotenoid components. The stability of carotenoid extracts from ascidian tunic was dependent on storage temperature.

      • KCI등재

        미더덕의 향기 성분

        Byeong-Dae Choi(최병대),Bong-Se Oh(오봉세),Seok-Joong Kang(강석중)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1

        미더덕 육과 체액을 이용한 천연 조미료의 제조를 위하여 본래의 향과 가열에 따른 변화를 비교해보기 위하여 SDE법과 SPME법으로 미더덕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SDE 추출법으로 얻어진 미더덕 육에 함유된 주요 성분으로서는 hexanal 371.3 ㎍/g, 1-tridecanol 80.1 ㎍/g, (Z)-4,5-dimethyhex02-en-4-ol 72.1 ㎍/g 등이 있었고, 그 외 다량의 alcohol, aldehydes 및 acids가 얻어졌다. SDE 추출법으로 얻어진 alcohol은 농도도 높았지만 미더덕 육향기성분의 주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PME 추출법으로 얻어진 미더덕 육에는 9종의 alcohols, 1종의 acid, 1종의 aldehyde, 1종의 hydrocarbon, 1종의 ester, 1종의 amine 및 2종의 ketones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중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 1-nonanol, 1-decanol 및 1-tridecanol이 주성분이었다. SPME법으로 얻어진 향기성분중 1-nonanol 31.6 ㎍/g, (E)-2-butanoic acid dibutylester 20.3 ㎍/g 및 heptadecanoic acid 26.7 ㎍/g으로 전체 향기성분 추출물의 62.1%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SPME법으로 얻어진 향기성분이 SDE법보다 추출효율은 낮았지만 원래 향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The flavor extracts of Mideoduck muscle and its juices were concentra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and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methods. Each component present in the extracts was identified with GC and GC-MS by the n-paraffin hydrocarbon retention index and standard MS library data system. By SDE, 371.3 ㎍/g of hexanal, 80.1 ㎍/g of 1-tridecanol, 72.1 ㎍/g of (Z)-4,5-dimethylhex-2-en-4-ol with other alcohols, aldehydes and acids were present in the flavor extracts, with the alcohols having the highest composition and being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Mideoduck muscle flavor. By SPME, 9 alcohols, 1 acid, 1 aldehyde, 1 hydrocarbon, 1 ester, 1 amine and 2 ketones were detected in the extracts, with alcohol such as 1-nonanol, 1-decanol and 1-tridecanol as the major components. In SPME, the muscle sample, consisting of 31.6 ㎍/g of 1-nonanol, 20.3 ㎍/g of (E)-2-butenedioic acid dibutylester, and 26.7 ㎍/g of heptadecanoic acid made up the 62.1% of total flavor extracts of Mideoduck muscle. The results of the SPME methods were similar to the composition of the raw material flavor of the sample even at a low concentration.

      • KCI등재

        Conjugated Linoleic Acid 급여 뱀장어(Anguilla japonica) 지질의 산화안정성

        최병대(Byeong-Dae Choi),강석중(Seok-Joong Kang),하영래(Young-Lae Ha),김소영(So-Young Kim),이재준(Jae-Ju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1

        최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능성을 나타내는 원료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인의 식습관 상 어류 섭취가 많고 이로부터 DHA, EPA와 같은 기능성지질의 섭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인정 형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항암성, 체지방 감소효과 등을 보이고 있는 CLA를 어류사료에 첨가하여 안정성이 높은 중성지질의 형태로 바꾸어 항산화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뱀장어 사료에 CLA 함량을 0%, 0.5%, 1.0%, 2.5% 및 5.0%로 성형하여 순환여과식 사육장치에서 8주간 사육하였다. 사육 후 이들 시료로부터 지질을 추출하고 37℃에 저장하면서 지방산조성의 변화, 지질 class의 변화, 산소소비에 따른 중량증가, 과산화물가, 카아보닐가 등으로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CLA 축적량은 0.5%, 1.7%, 3.3% 및 6.2%로 나타나 CLA 공급이 많을수록 축적되는 CLA량은 증가하였다. 대조구의 경우 저장 3주 후부터 불포화산의 함량이 감소하여 13.7%에서 5주 후에는 6.2%로 급감하였다. 0.5% CLA 급이구는 저장 4주째 불포화산의 함량이 11.8%, 5주째는 7.4%로 감소하였으며, 1.0% 및 2.5% CLA 급이구에서는 불포화산의 함량이 4주째 15.3% 및 14.8%로 변화가 적었다. 중성지질의 class 조성은 1.0% 및 2.5% CLA 급이구는 저장 5주째 중성지질과 인지질의 비가 53.9:46.1 및 64.3:35.7로 낮아졌으며, 다른 구에서는 저장 4주째부터 산화가 진행되었다. 과산화물가와 카아보닐가의 변화에서도 1.0% 및 2.5% CLA 급이구가 산화에 가장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oxidative stability of lipids from eel (Anguilla japonica) fed diets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was studied. Eels, 3 weeks of age, with an average weight of 160 g,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5 fishes/group) by body weight, and assigned to one of the five CLA-supplemented diets at the following concentrations: 0, 0.5, 1.0, 2.5, and 5.0% CLA. After 8 weeks of feeding, eels were sacrificed and the total lipid contents were extracted. The lipids from each treatment groups were stored at 37℃ for 5 weeks. Changes in the fatty acid profile, lipid class, weight gained, peroxide value (POV), and carbonyl value (COV) of the lipid from each treatment groups were analyzed weekly. The composition of CLA in the lipids of eels fed with 0.5, 1.0, 2.5, and 5.0% CLA-supplemented diets were 0.5, 1.7, 3.3, and 6.2%, respectively. After 4 weeks of storage, the propor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in the lipid of eels fed diets containing 1.0 and 2.5% CLA were 15.3 and 14.8%, respectively. Whereas, lipid extracted from eels fed with 0.5 and 5.0% CLA-supplemented diets contain 11.8 and 7.4% PUFAs, respectively. Lipid from the control sample contained 9.0% PUFAs. POV and COV were found to be the lowest in the lipids samples from 1.0 and 2.5% CLA die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pids from diets containing 1.0 or 2.5% CLA were more stable against oxidative rancidity relative to other concentrations, suggesting that these are the appropriate CLA concentrations for the production of stable eel lipids.

      • KCI등재

        우렁쉥이 껍질의 색소 및 효소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무지개 송어의 품질 향상 -1.우렁쉥이 껍질 및 효소 가수분해물의 화학적 특성-

        최병대 ( Byeong Dae Choi ),강석중 ( Seok Joong Kang ),이강호 ( Kang Ho Lee ) 한국수산학회 199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9 No.3

        우렁쉥이 껍질은 다량의 색소를 함유하지만 껍질자체는 어류가 소화시킬 수 없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색소분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고압 가열하거나 효소처리하여 소화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면 어류 사료에 직접 첨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험은 우렁쉥이 껍질 분말에 viscozyme, celluclast, visco-cell(1:1), ultrazyme 등의 복합효소를 일정량 첨가한 후 50℃에서 일정시간 분해시키면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불용성 고형분과의 분리능력을 의미하는 상청액율은 효소 첨가구의 농도가 55.20~71.88%로 효소 무처리구의 52.68%에 비하여 높았고, 고형분 수율도 800 μl 첨가시 까지는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를 토대로 Duncan multiple test를 하여 각 인자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후 기준 첨가량을 400μl로 하였다. 각 효소의 최적 반응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껍질 분말에 각 효소 400μl를 첨가한 후 20, 40, 60, 120, 180, 240분간 반응시켰다. 효소의 종류에 관계없이 고형분 수율, 상청액 율 및 고형분 농도 값이 반응 60분 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청액 중 당 조성을 분석한 결과 viscozyme 처리구는 glucose, N-acetyl-D-glucosa-mine이, ultrazyme 처리구는 glucose가 주성분이었으며, visco-cellu(1:1) 혼합효소구는 celluclast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껍질은 약 40%의 단백질 (건물량)을 함유하지만, 각 부위별 아미노산 조성은 내피 중의 함량이 가장 높아 21.00g/100g sample이었다. 이들 아미노산 함량중 Asp와 Glu가 가장 많았고, 내피 중 필수아미노산의 함량도 껍질보다 높았다. 껍질 중의 지방산 조성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포화지방산 중에서는 14:0, 16:0, 18:0가 주성분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 중에서는 n-3 계열의 총지질 (TL), 중성지질 (NL), 극성지질 (PL)이 각각 19.72%, 20.44%, 20.10%였고, n-6 계열의 TL, NL, PL이 각각 9.21%, 9.10%, 12.18%였다. 총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PL이 40.31%, NL이 36.44%, TL이 35.41%로 PL의 함량이 높았다. Properties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ascidian tunic were assessed on supernatant ratio, solid yields and solid concentration. The concentartion of solid and yields in the extracts were increased as the enzyme concentration raised from 100 μl to 1000 pi during the extraction period. The optima concentration and reaction time of each enzyme on digestion were 400 μl and 60 minutes, through treated with Duncan`s multiple test. The percent of yields of solid, protein and carotenoids for 60 minutes extraction at 400 μl were 32.32%, 1.34% and 74.60 mg%, respectively, in Viscozyme systems. The extracts were composed with many kinds of carbohydrates such as arabinose, ribose, xylose, galactose, glucose, N-acetyl-D-galactosamine, and N-acetyl-D-glucosamine. Aspartic and glutamic acid were noted as predominant amino acids in all parts. Amino acid profiles of various ascidian tunic part were similiar to each other, but most of essential amino acids content of inter coat was higher than that of root and tunic (body). About sixty six fatty acids components were observed, and their distribution among neutral and polar lipids was compared. The main fatty acids were found to be 14:0, 16:0, 16:1n7, 18:0, 18:1n9, 18:1n7, 18:2n6, 20:5n3, and 22:6n3.

      • KCI등재
      • KCI등재

        CLA 급이가 우럭치어 성장에 미치는 영향

        최병대(Byeong Dae Choi),강석중(Seok Joong Kang),염말구(Mal Gu Youm),하영래(Yeong Lae Ha) 한국수산과학회 200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5 No.4

        통영을 중심으로 한 우럭생산량은 연간 1,813M/T에 이르고 있으며, 과잉생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우려를 개선시키고 기능성 어류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감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성장촉진, 항암, 면역증강, 혈중 LDL 함량 저하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CLA를 이용한 기능성 우럭생산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Artemia 영양강화시 CLA를 0.5∼5.0% 첨가하였을 경우 Artemia 중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CLA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LA 함량은 높아졌고, 동시에 Artemia 특유의 지방산조성을 나타내어 지방산 대사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8주 사육 후 우럭근육 중 n-6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사료에 첨가된 지질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n-3/n-6 PUFA 비가 자연산 우럭의 3.95보다 현저히 낮아 CLA 첨가가 많을수록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배합사료 중의 DHA 첨가가 증가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를 섭취한 우럭 근육 중 총 CLA 함량은 급이 량에 따라 각각 6.57∼16.07%가 축적되어 CLA는 다른 지질성분과 함께 어체내 대사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럭의 성장도, 사료효율, DHA/EPA 비, n-3/n-6 PUFA 비, 활력테스트, 혈액지수 등을 비교하였을 때 1.0% CLA 첨가가 적절한 첨가량인 것으로 생각된다.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ch as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was used to producing of functional larval rockfish. Artemia, livefoods for larval fish, enriched with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HUFA) and CLA (0.5%, 1.0%, 2.5% and 5.0% group) was fed to larval rockfish. Artemia, enriched with 2.5∼5.0% of CLA,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larval rockfish. But 1.0% CLA fed group shown to good specific growth rate, feed efficiency, n-3/n-6 PUFA ratio, DHA/EPA ratio and hematology results. The CLA deposited in muscle lipids of larval rockfish was reached 6.57 to 19.6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