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충알벌(Trichogramma. chilonis)의 사육 기주에 따른 왕담배나방과 담배나방에 대한 발육반응 및 기생률

        최만영,김정환,변영웅,김황용,김용헌,Choi, Man-Young,Kim, Jeong-Hwan,Byeon, Young-Woong,Kim, Hwang-Yong,Kim, Yong-H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담배나방 알(HAs)을 기주로 사육된 명충알벌(TC)을 담배나방(HAs-HAs)과 왕담배나방(HAs-HAr) 알에, 줄알락명나방(CC) 알을 기주로 사육된 TC를 왕담배나방(CC-HAr) 알과 담배나방(CC-HAs)에, 왕담배나방(HAr) 알을 기주로 사육된 TC를 왕담배나방(HAr-HAr)과 담배나방(HAr-HAs)에 대한 기생률, 발육기간, 우회율, 번식량을 실험실 조건(온도 $25{\pm}2^{\circ}C$; 습도 50~70%; 광기간 16L-8D)에서 조사하였다. TC는 직전에 어떤 기주에 사육했는가에 따라 시험 기주에서 나타나는 발육반응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흔히 직전기주와 시험기주의 크기에 의해 발육기간 우회율, 기생률, 번식량이 차이를 보였으며,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기생률과 번식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생률은 가장 낮은 CC-HAr의 $10.1{\pm}2.05%$에서 가장 높은 HAr-HAs의 $47.0{\pm}2.09%$로 나타나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우회율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발육기간은 직전기주의 크기가 가장 작고 시험기주의 크기가 가장 큰 CC-HAr처리에서 가장 짧았다. 처리에 따른 TC의 번식량은 HAr-HAs에서 가장 높았으며($93.9{\pm}6.87$마리), 가장 낮은 처리는 CC-HAs($18.4{\pm}6.36$마리)였다. The parasitism, development time, hatchability, and progeny production of Trichogramma chilonis(TC) females developed in eggs of Helicoverpa assulta (HAs), Cadra cautella (CC), and Helicoverpa armigera (HAr), respectively, were compared with those developed in reciprocal eggs at constant temperatures of $25{\pm}2^{\circ}C$ and relative humidity of 50~70% under 16L-8D. Developmental performances of TC reared in each of the three hosts on the following hosts(host tested) appeared differently, and were affected most by the size of the proceeding hosts and test host. Among the parameters parasitism and progeny production were affected more than others. Parasitis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reatments, lowest in CC-HAr($10.1{\pm}2.05%$) and highest in HAr-HAs($47.0{\pm}2.09%$), and the hatchability showed similar pattern. Development time as well was shortest in the CC-HAr where previous host is smallest and test host is biggest. The highest number of progeny production of TC was observed in HAr-HAs($93.9{\pm}6.87$ wasps), and the lowest was CC-HAs($18.4{\pm}6.36$ wasps).

      • KCI등재

        여름작형 시설재배 파프리카의 주요 해충에 대한 생물적방제 기반 종합관리

        최만영,김정환,김황용,변영웅,이용휘,Choi, Man-Young,Kim, Jeong-Hwan,Kim, Hwang-Yong,Byeon, Young-Woong,Lee, Yong-Hwi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4

        여름작기 파프리카의 주요해충에 대한 생물적방제 기반 종합적관리를 시도하였다. 총채벌레류방제를 위해서 $m^2$당 총 2.1마리의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6월 6일과 19일 두 번 방사하여 작기 동안 피해가 없었다. 진딧물 방제를 위해서는 $m^2$당 총 0.8마리의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을 4회에 걸쳐 방사하고, 진딧물 밀도가 높은 지점에 국부적으로 플로니카미드와 피메트로진을 5월 14일과 7월 18일, 6월 14일과 9월 4일에 각각 2회씩 살포하여 콜레마니진디벌 사용량을 줄었다.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에 대해서는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를 5월 9일부터 한번에 $m^2$당 38.1마리씩 9회에 걸쳐 총 343.4마리를 방사하였으며, 담배가루이 밀도가 트랩 당 200마리에 달했던 11월12일에 천적으로 방제가 어려워 디노테푸란을 1회 살포하여 방제하였다. 차응애(Tetranichus kanzawai)는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를 5월 23일부터 9월 10일까지 5회에 걸쳐 한 번에 $m^2$당 8.9마리씩 총 44.4마리를 방사하였으며, 담배가루이 천적인 지중해이리응애가 차응애의 알과 약충을 포식함으로서 두 종의 천적에 의한 차응애 밀도가 억제되었다. Biological-control-based-integrated-pest-management of major pests occurring on sweet pepper in greenhouse during summer season was tried. As many as 2.1 Orius laevigatus per $m^2$ were released in two times on June 6 and 19, and the population of thrips was kept under control and accordingly the damage was negligible throughout the season. To control aphids, a total of 0.8 Aphidius colemani per $m^2$ were released in four times, 0.2 of them at a time, flonicamid on May 14 and July 18 and pymetrozine on June 14 and September 4 were sprayed on the spots of high aphid occurrence to reduce the release of the wasp, and the density of aphids was kept under control. Whitefly was controlled successfully by releasing a total of 343.4 Amblyseius swirski per $m^2$ in nine times, 38.1 of them at a time, from May 9 until November 12 and dinotefuran was sprayed on November 12 when the density of whitefly increased up to 200 per trap. Tetranichus kanzawai was controlled by both Phytoseiulus persimilis which was released a total of 44.4 per $m^2$ in five times 8.9 of them at a time from May 23 to September 10, and the A. swirski which was released for the control of whitefly.

      • KCI등재

        Parasitism Rate of Egg Parasitoid Anastatus orientalis (Hymenoptera: Eupelmidae) on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in China

        최만영,김정환,변영웅,Choi, Man-Young,Yang, Zhong-Qi,Wang, Xiao-Yi,Tang, Yan-Long,Hou, Zhen-Rong,Kim, Jeong Hwan,Byeon, Young Woong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2

        Anastatus orientalis Yang et Gibson(Hymenoptera : Eupelmidae) is the egg parasitoid of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The natural parasitism showed that: (1)the highest parasitism rate of egg masses was 68.96% in Yantai Shandong; (2)the highest parasitism rate of eggs was 32.98% in Haidian Beijing; (3)the eggs of parasitoids hatched and emerged earliest in Yangling Shaanxi; emergence time of different populations in Yantai, Guangang Tianjin, Qinhuangdao Hebei and Haidian was similar; (4) the sex ratios were various among the populations ranging from 1.92 to 1.94; (5) parasitism rates of egg masses on Populus sp., Salix sp. and Toona sinens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highest parasitism rate of egg masses was 64.3% on T. sinensis, and the lowest rate was 27.4% on Ailanthus altissima; (6)parasitism rates of eggs on Populus sp., Salix sp., T. sinensis and A. altissim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bout 30% averagely. 꽃매미(Lycorma delicatula)의 천적인 벼룩좀벌 일종(Anastatus orientalis Yang et Gibson(Hymenoptera : Eupelmidae))의 자연 상태에서 기생율을 조사한 결과: (1) 산동성 Yantai 에서 가장 높은 69.0%의 꽃매미 난괴가 기생 당하였고; (2) 최고 기생율은 33.0%로 북경시 하이디엔(Haidian) 지역에서 관찰되었고; (3) 기생봉의 알은 산시성의 양링(Yangling)에서 가장 빨리 부화하였으며, 천진시의 옌타이(Yantai)와 광앙(Guangang) 지역, 하북성의 친황다오(Qinhuangdao), 하이디엔(Haidian)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4) 성비는 채집된 지역에 따라 1.3에서 1.9로 다양하였고; (5) 꽃매미 난괴에 대한 기생율은 기주식물인 Populus sp., Salix sp. Toona sinensis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최고기생율은 T. sinensis에서 64.3%로 나타났고, Ailanthus altissima에서는 27.4%로 가장 낮았다. (6) 꽃매미 알에 대해서도 꽃매미 알이 발견된 기주식물별로 차이가 없었고, 평균 30.0%의 기생율을 나타냈다.

      • KCI등재

        HMD VR 콘텐츠의 빠른 적응을 위한 초기 사용 경험에 관한 연구 -삼성 기어 VR 게임 앱 중심으로-

        최만영 ( Choi Man Young ),김성우 ( Kim Sung W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6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VR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의 지속적인 확장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경험을 심어줄 핵심 콘텐츠가 필요하다. 반면 VR 기술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VR 콘텐츠 UX(User Experience) 관련 연구에 관해서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초기 사용자가 VR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중요한 추진력이 될 수 있는 초기 사용 경험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실험 평가 대상물로는 접근성이 쉽고, 다양하고 고품질의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삼성 기어 VR로 택하였으며, 콘텐츠로는 초기 사용자가 VR 콘텐츠를 가장 경험하고 싶은 게임 애플리케이션으로 범위를 좁혔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VR 게임 콘텐츠를 대상으로 사용자 조사를 실시하였고, 사용자 조사를 통해 초기 사용 경험의 UX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총 5가지의 상위 요소 개념들이 정의되었고, 그에 해당하는 20개의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졌다. 1) 사용자가 통제할 수 있게 하는 조작성 요소. 2) 화면이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하는 연출성 요소. 3) 사용자가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응성 요소. 4) 상호작용을 꾸준히 할 수 있게 하는 체험성 요소. 5)다감각적으로 만족할 수 있게 하는 만족성 요소. 따라서, 본 연구는 HMD VR 콘텐츠의 초기 사용 경험을 만드는데 참조할만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VR 게임 콘텐츠에 한하여 콘텐츠 제작 전에 사용될 수 있는 초기 사용 경험에 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초기 사용 경험의 가치 측정에 지표가 될 만한 평가 리스트와 지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UX 요소 연구에 활용이 될 수 있다고 본다. As we have reached post-smartphone era, Virtual Reality (Hereinafter "VR") is gaining public attention.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VR technology has been going on,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UX (User Experience). In order for VR to achieve success, we need to expand devices continuously and procure key contents which will be used to inculcate valuable experiences to the users at the same time.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the First Use Experience which can be an important driving force for the early adapters to continuously use VR cont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Samsung Gear VR which is easy-to-access and has lots of high quality contents. For the contents, the study has narrowed down the scope to game applications which was selected as the most wanted experience by the early adapters. The study has conducted a user research on three VR game contents and deduced UX data of First Use experience through the user research. Total of five superordinate elements based on the data, and twenty guidelines were formed. 1) "Operability" allowing user`s control 2) "Drama" forming harmony within the screen 3) "Adaptability" allowing natural use of contents 4) "Experience" allowing continuous interactions 5) "Satisfaction" allowing multi-sensory satisfaction.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a design guideline that can be referred when making early phase use experience of VR conten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design guideline for the first use experience that can be used before the content creation only for the VR game contents in the future. Also, It can be used as an evaluation list that can be an index to measure the value of the first use experience and a UX element for continuous use of the content.

      • KCI등재

        담배장님노린재, Nesidiocoris tenuis (Hemiptera: Miridae)의 먹이 섭취량에 대한 식물체 흡즙의 영향

        이휘종,최만영,김정환,이건휘,백채훈,노태환,심형권,Lee, Hwi-Jong,Choi, Man-Young,Kim, Jeong-Hwan,Lee, Geon-Hwi,Paik, Chae-Hoon,Noh, Tae-Hwan,Shim, Hyeong-Kw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4

        담배가루이 등 방제용 천적으로 유망한 담배장님노린재(Nesidiocoris tenuis)의 줄알락명나방(Ephestia kuehniella) 알 섭취 전 먹은 식물성 먹이에 따라 줄알락명나방알 섭취량이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포트에 재식된 참깨, 파프리카, 솜에 적신 물을 각각 하루 동안 섭식하게 한 담배장님노린재에게 냉동한 줄알락명나방의 알을 공급하고 하루 동안 섭취한 알의 개수를 비교하였다. 파프리카를 먼저 섭식한 담배장님노린재가 가장 많은 $55.7{\pm}30.19$개의 줄알락명나방 알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깨를 먼저 섭식한 경우에는 줄알락명나방 알을 $24.2{\pm}34.70$개 섭취하였고, 물을 먼저 섭식한 경우에는 줄알락명나방 알을 $49.2{\pm}30.58$개 섭취하였다. 파프리카와 물을 먼저 섭식한 경우 통계적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참깨를 먼저 섭식한 경우 파프리카 또는 물을 먼저 섭식한 경우에 비해 더 적은 수의 줄알락명나방의 알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whether host-plant feeding had an influence on subsequent prey consumption in the zoophytophagous mirid Nesidiocoris tenuis, which has the potential for biological control of greenhouse whiteflies. Potted plants of paprika and sesame and cotton balls soaked with water were provided to the test insects for 24 h, then, frozen eggs of Ephestia kuehniella were presented to adult mirids for 24 h, and the number of eggs consumed by them was cou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y consump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mirids previously provided with water ($49.2{\pm}30.58$ eggs) or paprika ($55.7{\pm}31.19$ eggs), whereas those previously fed with sesame ate significantly less prey ($24.2{\pm}34.70$ eggs) than the mirids that were provided with paprika or water.

      • KCI등재

        벼 시골가시허리노린재, 우리가시허리노린재의 온도별 발육 및 산란반응

        백채훈,최만영,서홍렬,김재덕,Paik, Chae-Hoon,Choi, Man-Young,Seo, Hong-Yul,Kim, Jae-Duk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휴경지 인근 벼에 발생하여 반점미를 유발하는 등 미질에 영향을 주는 시골가시허리노린재와 우리가시허리노린재의 생물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시골가시허리노린재와 우리가시허리노린재 알의 부화율은 20, 25 및 $30^{\circ}C$에서 각각 80.6/88.0, 91.7/96.3 및 96.4/96.2%이며, 평균발육기간은 각각 16.4/18.4, 9.4/10.2 및 6.4/7.3일이었다. 약충의 발육기간은 $30^{\circ}C$에서 1령, 2령, 3령, 4령 및 5령이 각각 평균 2.1/2.0, 3.5/4.0, 3.3/5.6, 3.2/4.8 및 5.8/6.9일이었으며, 시골가시허리노린재가 우리가시허리노린재에 비하여 약충의 발육기간이 짧았다 시골가시허리노린재의 산란전기간은 $25^{\circ}C$에서 8.1일, 성충수명은 암컷이 120.0일, 수컷이 117.3일로 약 4개월 정도였고,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수명이 약간 길었다. 성충 한 마리의 총 산란수는 245.5개였고, 일일 산란수는 평균 2.2개였다. 시골가시허리노린재는 산란기간 중 여러 번 교미하며, 교미한 후 90일이 경과한 뒤 산란된 알의 부화율은 수컷과 같이 넣어둔 경우에는 92.1%였으나, 30일 동안 수컷을 넣어주지 않은 경우에는 9.6%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두 종의 형태적 특징을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기술하였다. The two species of rice bugs causing pecky rice, Cletus punctiger and Cletus schmidti are often observed coexisting in the rice fields of nearby fallow land. Direct feeding damage to rice by C. punctiger and C. schmidti can lead to a reduction in grain quality and quantity.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C. punctiger and C. schmidti at various constant temperatures ranging from 20 to $30^{\circ}C$, 65% RH, and a photoperiod of 16L:8D. Egg hatchability of C. punctiger/C. schmidti at the temperatures of 20, 25 and $30^{\circ}C$ were 80.6/88.0, 91.7/96.3, 96.4/96.2%, respectively. The development periods of eggs of C. punctiger/C. schmidti at the temperatures of 20, 25, and $30^{\circ}C$ were 16.4/18.4, 9.4/10.2 and 6.4/7.3 days, respectively. Mean developmental periods of 1 st, 2nd, 3rd, 4th and 5th nymphs of C. punctiger/c. schmidti at $30^{\circ}C$ were 2.1/2.0, 3.5/4.0, 3.3/5.6, 3.2/4.8 and 5.8/6.9 days, respectively. Oviposition began 8.1 days after emergence at $25^{\circ}C$, and the longevity of female and male were 120.0 and 117.3 days, respectively. Total number of eggs through the life of female were 245.5 laying 2.2 eggs a day in average at $25^{\circ}C$. The development periods of egg and nymphs of C. punctiger were relatively shorter than those of C. schmidti. Availability of male had affected the egg hatchability greatly that laid at 30th day after 60 days period of oviposition in the presence of adult male of C. punctiger. The fertile eggs laid by the female together with male was 92.1% but those without male was only 9.6%.

      • KCI등재

        쌀 생산조정 휴경논에 발생하는 노린재 종류와 기주식물

        박채훈,최만영,서홍렬,이건휘,김재덕,Paik, Chae-Hoon,Choi, Man-Young,Seo, Hong-Yul,Lee, Geon-Hwi,Kim, Jae-Duk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2

        2004년부터 2005년까지 호남지방의 쌀 생산조정지를 중심으로 노린재류의 발생과 기주식물을 조사하였다. 노린재류는 총 8과 26종이 조사되었으며, 중산간지인 무안에서 시골가시허리노린재의 발생이 가장 많았고, 발생최성기는 7 월이었다. 평야지인 완주는 2004 년에는 전반적으로 노린재류의 발생량이 적었고, 2005 년에는 시골가시허리노린재 발생최성기는 7월과 8월이었다. 쌀 생산조정지에서 인근 벼 포장으로 이동하는 시기는 시골가시허리노린재 등 5종은 8월, 우리가시허리노린재 등 3종은 9월이었다. 또한, 쌀 생산조정지에서 잡초를 섭식하는 노린재 종류는 시골가시허리노린재, 우리가시허리노린재, 북쪽비 단노린재, 더듬이긴노린재, 빨강촉각장님노린재, 메추리노린재, 가시점둥글노린재, 풀색노린재였다. Stink bug species and host plants occurred in fallow lands for rice product regulation were studied in Honam area from 2004 to 2005. A total of 26 bug species in 8 families were surveyed in the fallow lands. Population density of Cletus punctiger adult reached its peak in July and was higher in fallow lands close to mountain area in Muan. Population density of stink bug species occurred in plain area of Wanju were significantly low in 2004 and population density of C. punctiger adult reached its peak in July and August in fallow lands in 2005. Five species of stink bug including C. punctiger immigrated from fallow lands to rice fields in August, and three other species including Cletus schmidti in September. Eight stink bug species which were observed to feed on weeds in fallow lands were C. punctiger, C. schmidti, Eurydema gebleri, Pachygrontha antennata, Trigonotylus caelestialium, Aelia fieberi, Eysarcoris aeneus, and Nezara antennata.

      • KCI등재

        마산-진해만의 수질 부영양화 및 계절 변동

        조경제,최만영,곽승국,임성호,김대윤,박종규,김영의,Cho, Kyung-Je,Choi, Man-Young,Kwak, Seung-Kook,Im, Sung-Ho,Kim, Dae-Yun,Park, Jong-Gyu,Kim, Young-Eui 한국해양학회 1998 바다 Vol.3 No.4

        마산-진해만에서 1996년 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영양염류, 용존산소, 해수 투명도 등 수질의 부영양화 요인과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수직변동, 공간분포 및 계절변동 등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4월부터 10월까지 번무하였으며, 이 기간에는 편모조류가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여러 종이 혼합 발생하는 등 매우 역동적인 양상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대발생 시기에는 염분이 감소하였고, 편모조류의 번무로 수색이 변하거나 물의 투명도가 떨어졌다. 여름에 하층은 빈산소상태였으나 상층은 산소의 과포화상태로서 상 하층에 용존산소의 성층화가 형성되었고, 그 구배가 컸다. 반면 겨울에는 영양염류의 수직 분포가 균일하였고, 마산 내만에서 진해 외만에 걸쳐 영양염류의 수평적 구배가 발달하였다. 마산-진해만 수질은 여름에는 저질 퇴적층에서 용출되는 영양염류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겨울에는 마산시와 창원시 등 주변 집수역에서 유입되는 오 폐수의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과거 마산-친해만 일원의 수질 분석 자료를 수집하여 마산만 돌섬과 부도 사이의 수질을 연 평균값으로 표준화시킨 결과, COD와 $PO_4$가 비교 가능하였다. 1970년부터 1990년까지 마산만에서 COD와 $PO_4$ 농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1991년 이후 다소 둔화되거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1년부터 1994년까지 마산 내만에서 행한 저질 퇴적층의 준설이 이 지역의 수질 악화를 다소 완화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Water quality of Masan-Jinhae Bay was monitored from January 1996 to August 1997. The monitoring focused on the spatial and vertical gradients and seasonal changes of eutrophication parameters such as nutrients, DO and water transparency. Flagellate phytoplanktons persistently bloomed from April to October with monospecific or mixed algal blooms and dynamic algal successions were observed in this area. Algal bloom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salinity drops and made the water less transparent. Stratification of oxygen content was persistent through summer and oligo-oxygenation was developed in the bottom waters. Nutrient gradients were consistently maintained through the depth in summer and through spatial distribution from inner Masan Bay to outer Jinhae Bay in winter. Except the rainfall seasons, water quality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waste waters discharged from watershed around the Masan Bay. The waste waters would act as the primary factor for the water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bay. Literature data for eutrophication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review the water quality trends of the Masan and Jinhae bays since 1970. Annual mean COD and phosphate concentration consistently increased from 1975 to 1990 and decreased or dropped after 1991. The sediment of inner part of Masan Bay was dredged from 1991 to 1994 as a decontamination process and it is assumed that the dredging has weakened more or less the deterioration trend of the water quality of the bay.

      • KCI등재

        퉁퉁마디뿔나방 월동 서식처와 발생동태

        백채훈,이건휘,최만영,노태환,심형권,Paik, Chae-Hoon,Lee, Geon-Hwi,Choi, Man-Young,Noh, Tae-Hwan,Shim, Hyeong-Kw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2

        퉁퉁마디 재배지에서 퉁퉁마디뿔나방 월동유충의 이동시기 및 서식처를 전북 김제와 전남 신안에서 조사하였다. 퉁퉁마디뿔나방 유충은 9월 중순부터 퉁퉁마디 보다 주변에 있는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과 같은 염생식물에서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들 염생식물 내부에서 노령유충으로 월동하였다. 퉁퉁마디뿔나방 월동충의 밀도비율은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 각각 20.5, 28.4 및 51.1%로 해홍나물에서 월동하는 개체수가 가장 많았다. 월동 후 성충 첫발생시기는 전북 김제지역과 전남 신안지역 모두 4월 19일부터 20일 사이였다. The moving period and overwinteing site of Scrobipalpa salinella (Zeller) were investigated in Gimje, Jeonbuk, and Shinan, Jeonnam in the glasswort field. Densities of Scrobipalpa salinella larvae were started to increase from mid-September in halophytes, such as Suaeda asparagoides, S. japonica, and S. maritima, rather than glasswort. S. salinella was overwintering inside the halophytes in old larva. Density ratio of overwintering S. salinella in Suaeda asparagoides, S. japonica, and S. maritima were 20.5, 28.4 and 51.1%, respectively. Overwintering population was highest in S. maritima among halophytes. The occurrence of first adult in the next spring was from April 19 to April 20 in Gimje, Jeonbuk, and Shinan, Jeonnam.

      • KCI등재

        시설재배 고추에 발생하는 4종의 주요 해충에 대한 천적이용 효과

        김정환,변영웅,최만영,지창우,허수영,박은미,강은진,Kim, Jeong-Hwan,Byeon, Young-Woong,Choi, Man-Young,Ji, Chang-Woo,Heo, Su-Yeong,Park, Eun-Mi,Kang, Eun-Ji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2

        반촉성재배 시설고추에 발생하는 4종의 해충에 대한 천적이용 효과를 660 $m^2$의 면적에서 조사하였다. 진딧물은 3포트의 진디벌-뱅커플랜트와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을 $m^2$당 4월16일 0.8 마리와 4월 23일 2.3 마리를 방사하여 진딧물을 성공적으로 방제할 수 있었다. 총채벌레 방제를 위해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5월 11일과 6월 12일 $m^2$당 총 3.0 마리를 방사하여 작기 동안 총채벌레 밀도를 꽃 당 0.3 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를 5월 11일과 5월 30일 $m^2$당 총 113.7 마리를 방사하여 작기동안 담배가루 이 밀도를 트랩 당 171.0마리 이내, 차응애 밀도는 잎 당 0.8 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차먼지응애는 지중해이리응애 방사 12일 후에 완전방제 되었다. 4종 해충의 방제에 소요된 천적사용 비용은 660 $m^2$당 42만원이었다. The effect of natural enemies on four major pests of hot pepper was tested in greenhouses. The aphids were successfully controlled by introducing three Aphidius colemani-banker plants, and releasing 23.3 wasps per $m^2$ on April 16 and 23 wasps per $m^2$ in a greenhouse of 660 $m^2$. To control thrips, Orius laevigatus was released twice, 3.0 bugs per $m^2$ at a time(May $11^{th}$ and June $12^{th}$). The thrips population was controlled within 0.3 thrips per flower during the growing season. To control two species of mites, Tetranychus kanzawai and Polyphagotarsonemus latus, and the silverleaf whitefly, Bemisia tabaci, a total of 113.7 individuals of Amblyseius swirskii were released twice(May $11^{th}$ and $30^{th}$). The densities of B. tabaci and T. kanzawai were kept within 171.0 individuals/trap and 0.8 individual/leaf, respectively. P. latus was suppressed completely twelve days after release. The cost of the released natural enemies to control the four arthropod pests in this study was 420,000 Won per 660 $m^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