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생물음향 측정기법을 이용한 북방산개구리 정밀 페놀로지 관측 연구

        김윤재 ( Yoon-jae Kim ),최대훈 ( Dae-hun Choi ),박태훈 ( Tae-hoon Park ),기경석 ( Kyong-seok K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본 연구는 기후변화지표종 북방산개구리의 번식울음 발생현황을 정밀관측하여 대상지별 발생시기, 발생기간, 일주기패턴, 번식울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중부지역 도심지와 산지지역으로 구분하였고, 도심지역은 서울시 남산 천일약수터 습지(170m)와 북한산 진관 동습지(44m)를 산지지역은 소백산 죽령습지(550m), 월악산 지릅재습지(405m)를 선정하였다. 번식울음 분석기간은 2019년 2월부터 5월, 2020년 2월부터 5월까지 2년간이었다. 번식 울음 녹음은 각 연구대상지에 생물음향 측정장비(Songmeter SM4)를 설치하여 매시간당 1분씩 WAV 포맷(44,100Hz)으로 녹음하였다. 온도와 습도는 미기상측정장비(testo 174H)를 백엽상에 설치하여 매시간당 1회씩 기록하였다. 그 외 기후 정보는 기상청의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을 이용하였다. 번식울음 분석은 1분당 들리는 북방산개구리의 울음소리 빈도와 횟수에 따라 0~5점을 부여하였다. 분석 결과, 2019년 북방산개구리의 초성 날짜는 남산과 북한산은 3월 3일, 소백산은 3월 26일, 월악산은 3월 10일로 나타났으며, 2020년에는 남산은 2월 21일, 북한산은 2월 20일, 소백산은 3월 10일, 월악산은 2월 13일로 나타났다. 각 연도별 최대빈도(피크) 발생일은 2019년 남산은 3월 21일, 북한산은 3월 15일, 소백산은 4월 24일, 월악산은 3월 21일로 나타났으며, 2020년에는 남산은 3월 10일, 북한산은 2월 22일, 소백산은 3월 27일, 월악산은 3월 10일로 나타났다. 울음빈도는 도심지에 인근한 남산과 북한산에 비해 산지형 국립공원인 소백산과 월악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번식울음의 일주기 패턴은 인위적인 영향이 많은 서울 남산과 북한산은 오후~저녁 시간대인 15시~20시에 울음빈도가 높았고, 인위적 영향이 적은 소백산과 월악산은 이른 시간대인 11시~19시에 울음빈도가 높았다. 북방산개구리는 2019년에 비하여 2020년에 2주에서 1개월 정도 이른 시기에 우는 경향을 보였으며, 2~3월 경 온도가 높아지는 시기에 울음을 시작하여, 비가 오는 시기에 집중적으로 우는 경향을 나타냈다. 기후 데이터를 살펴보았을 때, 2019년보다 2020년에서 북방산개구리의 초성이 시작하기 전 온도가 상승하고 높은 강수량이 관측되는 시기가 더 이른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저라북도 자연환경조사(식물자원)

        임동옥 ( Dong Ok Lim ),윤홍균 ( Hong Gyun Yoon ),최대훈 ( Dae Hoo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최근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전라북도에서 보유하고 있는 생물자원 등 자연환경여건을 조사 분석하여 전라북도의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함에 있어서 식물자원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 필요성을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런 식물자원을 향후 타시도 식물자원과 비교 분석을 함으로써 전라북도 자연환경 여건에 맞는 장기적인 보전 및 활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본 조사를 시도하였다. 전라북도 전반에 걸쳐 식물상 조사는 환경부 자연환경조사 2차와 3차 조사결과와 환경영향평가서 및 현지조사 결과를 리뷰하여 결과를 얻었고, 시군별로 분리하여 도뿐 만아니라 시군에서도 환경정책 및 자연자원 보전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축하였다. 전라북도는 동부산간지대인 무주, 지안, 장수, 남원지역이 서부평야해안지대인 김제, 부안, 고창, 익산, 군산 등지보다 많은 식물이 분포하며, 지리산 국립공원을 끼고 있는 남원시가 가장 많은 종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전라북도는 고산수종부터 남부해안 수종까지 다양한 식물이 분포하며, 이는 동부산간지대와 서부평야해안지대로 구성된 전라북도의 지형적인 특성에 기인하였다. 전라북도의 관속식물상은 총 141과 615속 1,313종 7아종 171변종 총 1,49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북도 지역의 식물 멸종위기종으로는 무주군에 광릉요강꽃, 가시오갈피, 산작약, 복주머니난으로 4종, 남원시에 솔붓꽃, 산작약으로 2종, 임실군에 솔붓꽃, 정읍시에 진노랑상사화, 부안군에 미선나무로 각각 1종씩 확인되었다. 고창군에는 솔붓꽃, 가시연꽃으로 2종이 확인되었다. 전라북도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가운데 정밀생태조사종에 해당하는 Ⅲ등급종은 152분류군, Ⅳ등급종 27분류군 및 Ⅴ등급종 32분류군으로 총2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특히 각 시군 가운데 완주군은 Ⅲ등급종 23분류군, Ⅳ등급종 2분류군 및 Ⅴ등급종 3분류군으로 총 28분류군이 확인되어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그뒤로 남원시가 Ⅲ등급종 18분류군, Ⅳ등급종 2분류군 Ⅴ등급종 3분류군으로 총 23분류군, 정읍시가 Ⅲ등급종 18분류군, Ⅳ등급종 1종 Ⅴ등급종 3분류군으로 총 2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전라북도에서 나타난 한국고유종은 양치류 3종, 나자식물은 구상나무로 1종, 피자식물로는 쌍자엽식물은 42종과 단자엽식물 7종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은 26과 43속 44종 8변종 1품종으로 총 5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라북도에서 나타난 산림청 희귀종으로는 24과 29속 28종 2변종 30분류군으로 고란초, 사스레피나무, 개서어나무, 만주바람꽃, 쥐방울덩굴, 백작약, 매미꽃, 히어리, 낙지다리, 물매화, 왕벚나무, 모감나무, 태백제비꽃, 금강제비꽃, 구상난풀, 꽃개회나무 등 총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북도 전역에서 나타난 귀화식물에서 생태교란 야생종은 애기수영, 가시박, 도깨비가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털물참새피 등 9종이 확인되었다.

      • 동물 및 기타 전라북도 자연환경조사 (동물자원)

        임동옥 ( Dong Ok Lim ),윤홍균 ( Hong Gyun Yoon ),최대훈 ( Dae Hoo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최근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전라북도에서 보유하고 있는 생물자원 등 자연환경여건을 조사 분석하여 전라북도의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함에 있어서 동물자원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 필요성을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런 동물자원을 향후 타시도 동물자원과 비교 분석을 함으로써 전라북도 자연환경 여건에 맞는 장기적인 보전 및 활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본 조사를 시도하였다. 전라북도 전반에 걸쳐 동물상 조사는 환경부 자연환경조사 2차와 3차 조사결과를 문헌리뷰하여 결과를 업었고, 시군별로 분리하여 도뿐 만아니라 시군에서도 환경정책 및 자연자원 보전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축하였다. 전라북도 담수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5문 8강 20목 87과 312종이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종의 관찰은 유량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여 나타나며 또한 계절에 의한 종의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들 무척추동물 중에서 전 지역에 걸쳐 고루 분포하는 동물군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산간계류에서는 비교적 청정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강도래류 토우민강도래, 진강도래, 녹색강도래, 꼬마강도래, 총채민강도래, 날도래류에는 검은머리물날도래, 플라나리아, 옆새우류 등이 발견되었다. 강의 하류나 평지에서는 비교적 오염된 지역에 서식하는 종들이주를 이루었다. 전라북도 담수에 서식하는 어류는 최근 문헌자료에 의하면 총 9목 19과 88종이 보고되었다. 이 중 잉어목이 51종으로 가장 많았고, 칠성장어목 1종, 뱀장어목 2종, 메기목 6종, 바다빙어목 2종, 숭어목 2종, 동갈치목 2종 드렁허리목 1종, 횟대목 21종이 보고되었다. 환경멸종위기종 Ⅰ급 어류는 임실납자루, 감돌고기 총 2종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종 Ⅱ급 어류는 다묵장어, 꾸구리, 돌상어, 모래주사 총 4종이 출현하여 총 6종의 멸종위기종이 출현하였다. 또한, 특산종은 각시붕어, 칼납자루, 줄납자루, 큰줄납자루, 가시납지리, 쉬리, 참중고기, 중고기, 긴몰개, 몰개, 참몰개, 왜매치, 돌마자, 왕종개, 줄종개, 미유기, 눈동자개, 자가사리, 꺽지, 동사리, 얼룩동사리, 큰볏말뚝망둥어 등 22종으로 전체 25%를 차지하였으며 외래어종은 블루길 베스 2종이 보고되었다. 전라북도에 서식하는 육상곤충류는 18목 249과 2,105종이 보고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Ⅰ급은 없었으며, Ⅱ급에 속하는 고려집게벌레, 멋조롱딱정벌레, 붉은점모시나비, 비단벌레, 쌍고리부전나비, 왕은점표범나비 등 6종만이 기록되었다. 고려집게벌레는 전주시 완산 칠봉에서 최근에 관찰되었으며, 멋조롱딱정벌레는 무주군에서 문헌상으로만 전해지며 붉은점모시나비는 무주군, 정읍시, 진안군에서 문헌기록상으로 전해지고 있다. 비단벌레는 부안 변산국립공원과 정읍내장사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쌍꼬리부전나비와 왕은점표범나비는 각각 무주군과 무주군 및 정읍시에서 문헌기록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최근까지 관찰기록은 없었다. 전라북도 양서류는 총 2목 6과 19종이 출현하였고, 환경부 멸종위기종 Ⅰ급에 해당하는 수원청개구리 1종과 Ⅱ급에 해당하는 맹꽁이, 금개구리 2종이 출현하였다. 보호종은 두꺼비, 맹꽁이, 금개구리 3종이 확인되었고, 외래종은 황소개구리 1종이 발견되었다. 파충류는 2목 10과 30종이 출현 하였고, 환경부 멸종위기종 Ⅱ급은 구렁이 1종이 출현하였다. 보호종은 남생이, 까치살모사 2종이 출현하였고 외래종은 붉은귀거북 1종이 출현하였다.전라북도에 서식하는 조류는 총 17목 53과 257종이 출현하였다. 아비목 1과 1종, 논병아리목 1과 4종, 사다새목1과2종, 황새목 2과 14종, 기러기목 1과 26종, 매목 2과 17종, 닭목 3과 4종, 두루미목 1과 4종, 도요목 5과 49종, 비둘기목 1과 3종, 두견목 1과 5종, 올빼미목 1과 5종, 쏙독새목1과 1종, 칼새목 1과 2종, 파랑새목 3과 6종, 딱다구리목1과 4종, 참새목 27과 110종이 출현하였다. 천연기념물에속하는 조류에는 저어새, 참수리, 노랑부리백로,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독수리,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수리부엉이, 올빼미, 소쩍새, 개리, 검은머리물떼새, 황조롱이, 원앙 16종이 있었으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Ⅰ급에는 매, 청다리도요사촌, 저어새, 참수리, 노랑부리백로 총 5종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종 Ⅱ급 종으로는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독수리,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수리부엉이, 올빼미, 개리, 검은머리물떼새, 큰기러기, 물수리, 별매, 솔개, 조롱이, 큰 말똥가리, 잿빛개구리매, 알락개구리매, 새홀리기, 뜸부기, 흰목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검은머리갈매기, 긴꼬리딱새총 24종이 출현하여 멸종위기종은 총 29종이 출현하였다. 한국 고유종에는 고창군과 군산시 지역에서 노랑부리백로 1종만이 발견되었다. 전라북도 포유류는 총 5목 11과 30종이 출현하였으며,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포유류는 하늘다람쥐, 수달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환경부 멸종위기종Ⅰ급에 수달 1종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종 Ⅱ급에는 삵, 담비, 하늘다람쥐 총 3종이 출현하여 멸종위기종이 총 4종 출현하였다. 한국 고유종으로는 멧토끼와 고라니 2종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