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각골 이식과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의 연구

        안동기(Dong Ki Ahn),정기웅(Ki Woong Jeong),이송(Song Lee),최대정(Dae Jung Choi),차상규(Sang Kyu Cha)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후방 기기 고정술과 병행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시, 이식골로 조각골만을 사용한 술식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국소 조각골을 사용한 군과 자가장골 조각골을 사용한 군의 방사선학적 결과와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단분절의 조각골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을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국소 조각골을 사용한 16예를 Ⅰ군으로, 자가장골 조각골을 사용한 42예를 Ⅱ군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Kirkaldy-Willis의 기준으로 하였으며, 골유합은 Brantigan과 Steffee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tudent t-test와 Fisher’s exact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임상적 만족도는 Ⅰ군이 81.3%, Ⅱ군이 88.1%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Ⅱ군 중 12%에서 골 공여부의 동통을 호소하였으나 이 중 불만족으로 평가된 예는 없었다. 골유합률은 Ⅰ군이 75%, Ⅱ군이 90%로, 붕괴유합은 Ⅰ군이 25%, Ⅱ군이 19%로, Ⅱ군에서 우수한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추간판 간격의 감소(Ⅰ군:2.0±1.3 ㎜, Ⅱ군: 1.91±2.3 ㎜)와 분절 전만각의 감소(Ⅰ군: 2.1±3.1°, Ⅱ군: 0.8±4.4°)는 모두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시간(Ⅰ군: 193±45분, Ⅱ군: 201±51분)과 실혈량(Ⅰ군: 590±86 ㎖, Ⅱ군: 675±126 ㎖)은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조각골을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은 국소골군과 자가장골군 모두에서 만족할 만한 골유합률과 임상적 만족도를 보였으며 두 군의 골유합률과 임상적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 군 모두에서 상당 부분 붕괴유합이 관찰되었으며, 붕괴유합이 인접분절이나 임상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보다 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utilizing pedicle screw fixation and chip bone graft, and to compare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in two group which use local chip bone and autoiliac chip bone re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58 cases of single segment chip bone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hich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Group Ⅰ was operated with local chip bone and group Ⅱ with autoiliac chip bone. Radiologic union was assessed, based on Brantigan & Steffee method and functional outcome by Kirkaldy-Willis criteria. Student t-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Clinical satisfaction of group Ⅰ and Ⅱ were 81.3% and 88.1% respectively (p>0.05). Though 12% of group Ⅱ complained about pain on the donor site, no one among them were assessed as unsatisfactory. Radiological union was confirmed in 75% in group Ⅰ and 90% in group Ⅱ (p>0.05). Twenty five percent of group Ⅰ and nineteen percent of group Ⅱ showed collapsed union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Ⅰ and Ⅱ in loss of disc height, segmental lordosis, operation time and blood loss. Conclusion: Both local and autoiliac chip bone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re useful methods in the aspect of radiologic union and functional outcome a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However, considerable collapsed unions were observed in both group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long term influence of collapsed union on the adjacent segment and functional outcome.

      • KCI등재

        제 4-5 요추간 유합술 후 수술 방법에 따른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

        안동기(Dong Ki Ahn),이송(Song Lee),정기웅(Ki Woong Jeong),최대정(Dae Jung Choi),차상규(Sang Kyu Cha),조근호(Kun Ho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요추부 유합술 후 발생되는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에 있어서 후외측 유합술과 후방 추체간 유합술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질환으로 제4, 5요추의 유합술을 시행받고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 157예 중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하여 후외측 유합술을 시행한 86예를 Ⅰ군으로, 척추경 나사못과 cage를 이용하여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71예를 Ⅱ군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양 군 간에 성별, 연령, 수술 전 인접 분절의 퇴행정도, 최종 추시에서 유합 분절의 시상각 그리고 추시기간에서 표집 오차가 있는가를 조사하고 근위 및 원위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와 재수술의 비율에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가 있는 군과 없는 군을 대조하여 추체간 유합술 여부를 포함한 상기 비교 인자들 중 실질적인 위험인자를 다중 로지스틱 희귀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전 근위 인접 분절의 퇴행정도(p=0.036)를 제외하고는 표집 오차는 없었다. 근위부 퇴행성 변화는 Ⅰ군 31/86 (36%), Ⅱ군 26/71 (37%)이었으며 재수술은 Ⅰ군 8/86 (9%), Ⅱ군에서 6/71 (8%)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41, 0.536). 원위부 퇴행성 변화는 Ⅰ군 9/86 (10%), Ⅱ군 8/71 (11%)이었으며 재수술은 Ⅰ군 4/86 (5%), Ⅱ군 2/71 (3%)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36, 0.435). 양측 인접 분절 중 일측 이상 퇴행성 변화가 발생한 군(65/157, 41%)과 발생하지 않은 군(92/157, 58%)을 대조한 결과 고연령과 부족한 유합 분절 시상각이 유의하게 위험성을 증가시켰다(p=0.024, 0.001). 결론: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제4, 5 요추간 분절 유합술 후 발생하는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는 후외측 유합술을 시행한 군과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추체간 유합술 여부보다는 고연령과 적은 유합 분절 시상각이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를 증가시켰다. Purpose: We wan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post-fusion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between performing posterolateral fusion and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fifty seven patients who underwent L4-5 fusion using pedicle screws for degenerative lumbar disease and followed up more than three year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Eighty-six cases of posterolateral fusion (group Ⅰ) and 71 cases of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group Ⅱ) were compared. Sampling bias was evaluated by comparing gender, age, the preoperative degeneration of adjacent segments, the sagittal angle of fusion segments on the last follow up and the follow-up period. The differences of adjacent segments degeneration and the revision rat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investigated multilaterally. The actual risk factors for such degeneration were investigated by perform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est, which contrasted the degeneration group with the non-degeneration group for all the above factors, including whether interbody fusion was done or not. Results: Sampling bias was excluded except for the preoperative proximal adjacent segments degeneration (p=0.036).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inal proximal degeneration (31/86, 36% in group Ⅰ, 26/7.1, 37% in group Ⅱ, p=0.536) and revision (8/86, 9% in group Ⅰ, 6/71, 8% in group Ⅱ, p=0.536).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inal distal degeneration (9/86, 10% in group Ⅰ, 8/71, 11% in group Ⅱ, p=0.536) and revision (4/86, 5% in group Ⅰ, 2171, 3% in group Ⅱ, p=0.435). When comparing those cases who developed degeneration on either side with the non-degeneration cases, the odds ratio of old age and an insufficient sagittal angle of the fusion segments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24, 0.001). Conclu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djacent segments degeneration between the postero-lateral fusion group and the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group. Rather than the operation methods, old age and insufficient sagittal angle of the fusion segments were the actual risk factors of such degeneration.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골절의 치료

        권병기,이송,김경태,김현수,정순영,최대정 대한슬관절학회 2003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5 No.1

        목적 :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골절 치료의 결과를 분석하고 수술적 치료 방법 결정에 고려해야 할 요소들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8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서울성심병원 정형외과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대퇴골 골절이 발생한 환자 1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방법으로는 1예에서만 석고고정을 시행하였고 나머지 10예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t술적 치료에 시행한 예에서는 골절위치, 전이 및 분쇄정도와 환자의 내과적 무제 및 전신상태를 고려하여 내 고정물을 선택하였다. 이들 11예를 대상으로 골절 전과 최종 추시시의 방사선 소견상 경골-대퇴각, 관절 운동 범위 및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의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대퇴골 골절의 발생 빈도는 총764명, 1133슬관절 중 11예에서 인공 삽입물 주위의 대퇴골 골절이 발생하여 0.9%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수술적 치료를 한 10예 중 간부까지 골절되면서 전위가 심하지만 골다공증이 없고 전신상태가 양호한 4예에 대해서는 역동성 금속판 및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골절이 과상부 부위에 위치하고 분쇄가 심하며 고령이면서 내과적으로 심, 폐부전을 동반한 3예에 대해서는 Ender정 삽입술을 시행하였으며, 2예에 대해서는 골절부 분쇄와 전이가 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역행적 교합성 골수강내 정삽입술을 시행하였다. 골경과 심, 폐부전을 동반한 약간의 전위와 비분쇄 골절인 1예에서는 도수정복에 실패하여 관혈적 정복 후 1개의 해면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9개월이었고 방사선 소견상 경골-대퇴각은 골절전 평균 외반 6.2도였고 최종 추시시 외반 8.2도였으며, 관절 운동 범위는 골절 전 평균 109도, 최종 추시시 98도였으며 HSS 점수는 골절 전 평균 84점, 최종 추시시 78점이었다. 결론 :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골절의 형태에 따른 치료 방법과 수술시 내 고정물의 선택이 적절하여야 하며, 환자의 내과적 문제 및 전신 상태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se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of femoral fractures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TKA) and to discuss about factors determining operative methods. Methods & Materials : Between August 1993 and March 2001, 11 knees in 11 patients were treated for femoral fracture following TKA in Seoul Sacred Heart General Hospital. Only one case was treated with cast immobilization and ten cases were treated with operative method. In operative cases, before choosing the fixation devices, we considered the location, displacement and comminution of fractures and general conditions of patients. We analyzed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tibiofemoral angle, range of motion(ROM), and the knee rating score of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Results : Among 1133 knees in 764 patients with primary TKA, eleven cases underent femoral fractures following TKA. The includence was 0.9%. Among ten cases which were treated operatively, four cases had severe displacement without osteoprosis and were treated with dynamic compression plate (DCP) and screws. Thress cases had displaced comminuted fractures with ostoprosis and medical problems, so they were treated with Ender nailing. Two cases had mild displacement and comminuted and were treated with retrograde interlocking IM nailing. One case was with uncomminuted fracture with cardiopulmonary insufficiency and old age. Because initial closed reduction was failed, open reduction was performed and cancellous screw fixation was done.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after fracture was 19 months. Radiologically, tibiofemoral angle was valgus 6.2 degrees on an average before fracture and valgus 8.2 degrees at the last follow up. ROM was 109 degrees on an average before fracture and 98 degrees at the last follow up and HSS knee rating score averaged 84 points before fracture and 78 points at the last follow up. Conclusion : Selection of treatment methods and fixation devices accordign to fracture type was important for satisfactory functional results, patient's general conditions and medical problems must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