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탈북대학생들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변화

        최대석 ( Dae Seok Choi ),조은희 ( Eun Hee Cho ) 북한연구학회 2010 北韓硏究學會報 Vol.14 No.2

        남한에 정착한 탈북자들은 2010년 11월 현재 2만명을 넘어섰다. 탈북자들은 경제난과 정치적인 이유로 탈북하여 제3국에서 ‘난민’ 및 ‘이주민’으로 생활하다가 한국으로 재이주하여 대한민국 ‘국민’으로 정착하며 살고 있다. 이들은 분명 다른 이주민들과는 다르게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법적 지위를 획득하며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탈북자들은 탈북과 이주과정에서의 경험을 통해 일반적인 이주민의 특성도 갖고 있고 또한 남한사람들과 언어와 문화가 같은 한민족, 동포라는 이중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탈북자들이 갖고 있는 이중적인 특성은 오히려 탈북자들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국가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어렵게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탈북대학생들이 북한을 떠나 중국을 거쳐 한국에 정착하면서 경험하는 일상 속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국가정체성을 끊임없이 구성하고 있다는 논의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현재 남한에 정착하고 있는 탈북대학생들은 청소년시기에 탈북을 경험했고 중국에서 불법적인 신분으로 생활하였다. 이후 탈북대학생들은 중국에서의 신변불안과 북송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남한으로 재 이주하게 된다. 하지만 탈북대학생들은 남한사회에서의 안정적인 삶에 대해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남한에서 ‘북한출신’으로 살아가는 것이 중국에서 살아가는 것 보다 어느 부분에서는 더 힘들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때문에 탈북대학생들은 남한에서 현재 3년이상 정착하여 생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인 차이는 있지만 자신을 100%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긍정적 정체감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또한 탈북대학생들은 법적으로 대한민국 국민이지만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국가에 대한 지지세력으로 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탈북대학생들이 사회에 대한 비판세력으로 등장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함께 향후 남과 북의 사회통합을 이루는데 있어서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 North Korean defectors are settled in South Korea rise to 20,000 in November 2010. The defectors who had escaped from North Korea because of economic and political reasons have lived in neighboring countries under ``refugees`` or ``migrants`` status. After that, They have settled down as korean ever since they emigrated again to South Korea. Unlike other immigrants, they obtained the regal status as ``the people`` of Korea. But they have a dual character that is not only the migrants characteristics that obtained through the experience of migration process, but also the identity of compatriot or the same Korean people that have the identical language and culture to South Koreans. The dual character makes it for defectors to difficult to form a national identity as a Korean. This study focuses the discussion that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defected from North Korea via China build the national identity continuously through the interaction being experienced to settle down in South Korea. The university students have settled down in South Korea had experienced the defection from North Korea for their adolescent period, and had lived in an illegal status in China. After that, they emigrated again from China to South Korea to escape from the feeling a threat to his own safety and from the fear of repatriation. But, In contrast to expectations for a stable life, they became aware that to live in South Korea as a status of North Korea is difficult as in China. This causes, despite they have been lived in South Korea more then 3 years now, but there is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they don`t throughly forme their own national identity. Because of this, even though they have regal right as Korean, they don`t do making a support group as well as the basic obligations as citizens for country. it might be an obstacle that they could have the potential to emerge an influential group for society and to achieve a social integ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 KCI등재

        긴급구호에서 개발지원으로: 국내 NGO의 지원경험과 향후과제

        최대석 ( Dae Seok Choi ) 북한연구학회 2006 北韓硏究學會報 Vol.10 No.1

        본 연구는 전환기를 맞고 있는 인도적 대북지원의 의미와 현황을 분석하고, 최근 대북지원의 중심 아젠다로 떠오른 개발지원으로의 전환을 위한 과제를 도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지난시기 대북지원의 경험을 토대로 개발지원의 방향을 도출하면, 첫째, 개발협력과 인도적 지원은 지향하는 목표가 다르다는 점에서 사업의 방향과 추진방식을 달리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포괄적인 대북지원의 틀을 마련하기 위한 국제사회와의 협력이 모색되어야 하며, 셋째, 개발의 주체는 북한당국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본격적인 개발지원을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 새로운 대북지원 시스템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며, 지원의 우선순위와 사업의 선정에 있어서도 정부와 NGO간에 조정과 역할분담이 모색되어야 한다. The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is at a turning point now. 11years have passed since North Korea officially called on international society for urgent help. Since then, South Korean NGOs have played biggest role in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on humanitarian purposes. However, in summer 2004, North Korean government refused to participated in consolidated appeals processes(CAP) of UN. North Koreans also announced that they will only accept collaborative development projects from international community instead of humanitarian aid in August 2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find out the future role of South Korean NGOs` on development collaborations with the North.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latively weak and small-sized South Korean NGOs may not become key players because the collaboration on North Korean developments need sources of revenue and abundant developmental experiences. Second, domestic NGOs may serve as honest brokers with experiences, linking South Korean government agencies and North Korean counterparts, during the process of serious development collaboration. Finally, to participate development collaboration independently, the South Korean NGOs need organizational reform,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and specialty. And most of all, a comprehensive blue print for future North Korean development must b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financial community.

      • 에너지절감형 조명등 원격제어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최대석(Dae-Seok Choi),김권태(Kwun-tae Kim),이승호(Seung-Ho Lee),오사택(Sa-Tack Oh),박상동(Sang-Dong Park),정유진(Yu-Jin Jung),서갑득(Gap-Deok Seo),류길수(Keel-soo Rhyu),임병주(Byung-ju Lim),정경열(Kyung-yul Chung)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0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This paper will present the study and implementation of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Energy Saving HID Lamps. HID lamps are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s which are used in ships, public places, industry facilities, stadiums and offices. Basically, we don't know where the fault is and its life span. This system makes possible to supervise the state and to control all functions of a ballast, allowing: leakage current, input power, no-load detection, ignitor-fault. For Saving Energy and Dimming, This system control remote devices and acquire data from several lamps by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CDMA network.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동북아 NGO 네트워크의 유형과 발전의제

        최대석 ( Dae Seok Choi ),김석향 ( Seok Hyang K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7 담론 201 Vol.10 No.1

        오늘날 동북아 지역에서는 탈냉전과 세계화의 영향으로 국가 간 교류와 경제협력이 활발해졌다. 그러나 아직도 국가의 역할이 강하고 국가 간 정치적 대립과 갈등이 심한 동북아의 특성상 지역협력은 요원한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동북아에서 초국적 NGO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협력의 가능성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 글은 아직 시작단계인 동북아 NGO 네트워크의 초국적 교류협력 사례에 주목하여 그 유형을 지식네트워크, 사회변화/주창네트워크, 서비스제공 네트워크로 구분하여 활동 현황을 분석한 뒤 향후 발전과제를 찾아보고자 했다. 그 결과, 오늘날 동북아에서 활동하는 초국적 NGO 네트워크의 관심사는 지역 내 현안을 직접 다루는 문제에 국한하여 제한된 범위 내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당 사안의 범위를 넘어 동북아 지역의 틀 속에서 시민사회와 NGO 네트워크를 발전시키는 논의에는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동북아 NGO 네트워크의 발전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하는 점에 대해서도 원론적이고 추상적인 의견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동북아 NGO 네트워크의 발전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발전의제를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동북아 NGO 네트워크의 발전을 기약하려면 개별 국가와 지역의 범위를 초월하여 동북아 차원에서 NGO 관계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정체성을 만들어 가는 것이 필요하며 개별 국가의 수준을 벗어나 동북아 차원에서 공유할 수 있는 정책을 생산해내야 하며 지역 내 소규모 NGO의 국제교류 활동을 지원하는 재정을 확보하고 국제기구와 시민사회의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한편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한다는 점을 발전의제로 제시하였다.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and recent influence of globalization, northeast Asian countries are active in undergoing cultural exchange and economic cooperation. However, the strong sense of nationalism in these northeast Asian countries tends to make regional cooperation difficult to achieve. Under such circumstance, it has recently been anticipated that through a network of NGOs regional cooperation could be attained more effectively. In order to analyze their activities and find more means for further development, this paper focuses on the early stage of the northeast Asian NGO networks and their precedent achievements of regional cooperation using some categories such as information network, social change/advocacy network and service providing network.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active NGOs of the northeast Asian region are mainly focused on direct handling of conflicts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in a limited state. On the other hand, those NGOs are not interested in civil society and NGO network development beyond the northeast Asian boarders. Most plans for northeast Asian NGO network development are either too idealistic or rather vagu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detailed realistic solution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NGO networks.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imperative that the northeast Asian NGOs networks go beyond countries and regions for northeast Asian NGO networking by developing: a sense of identity for each NGO affiliates; objective political policies that reach beyond each country; increase support for small regional NGOs;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unicipalities; all the while, increasing the use of technology to improve communication across the boarders.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정은 시대 정치사회 변화와 북한주민 의식 탈북민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장인숙 ( In Sook Jang ),최대석 ( Dae Seok Choi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4 북한학연구 Vol.10 No.1

        북한 체제의 안정성 및 변화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지도자 리더십, 권력 구조 및 엘리트 관계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북한 엘리트들 간의 갈등과 균열로 정권이 붕괴되더라도 승리한 엘리트 그룹이 기존 체제의 유지를 희망한다면 정권의 교체가 체제 변화나 그와 직결된 북한 사회의 변화로 반드시 귀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정치적 문제로 북한의 모든 것을 설명하는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접근 시각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북한 주민들의 의식뿐만 아니라 국가-사회관계 속에서 다층적이고 폭넓게 진행되어 온 북한 정치사회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1990년대 이래 북한 변화의 핵심은 시장화로부터 비롯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난 20년 넘게 지속되어온 변화를 겪고 김정은 시대를 살고 있는 북한 주민들의 의식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볼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 주민들의 북한 체제(System) 변화에 대한 기대감과 정권(Regime)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북한 정치사회의 균열의 추이와 김정은 정권의 안정성 및 변화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북한 주민들의 체제 변화에 대한 기대감과 김정은 정권에 대한 정치의식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북한 체제에 대한 불만과, 개혁·개방에 대한 기대감, 외부정보와 문화 유입 수준은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상승하고 있어 체제 불안정성을 높인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장사활동은 감소하고, 주민 생활수준은 나아지고 있으며, 김정은에 대한 당 간부의 충성도나 주민들의 지지도는 소폭이지만 상승추세에 있다. 김정은 정권의 사회 통제와 주민 생활 향상을 위한 정책이 실효성을 거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비록 김정은 정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지닌 사람들이 과반수를 넘고 있지만 30%를 넘는 두터운 무관심 층이 존재한다. 이들은 먹고 사는 문제, 경제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일에 대해서는 김정은 정권이 무엇을 하는지에 관심 없다고 말한다. 김정은 정권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신뢰나 불신 그 어느 쪽이 증폭 될 지는 김정은 정권이 어떠한 일을 하든지 ‘관심 없다’는 30%가 앞으로 어떠한 입장을 택할지가 주요 변수가 될 것이다. 김정은 정권은 불안정 요인과 안정적 요인이 공존하고 있다. 북한 주민들의 체제 변화에 대한 기대감을 줄이고 김정은 정권에 대한 지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나은 삶을 희망하는 북한 주민들의 기대감을 지속적으로 충족시켜줘야 한다. 현재 생활수준 향상이 얼마나 지속적으로 가능할 지가 관건이다. The discussion of stability and possibility of change of the North Korean system still focuses on its leadership, power structure, and elite relationships. However, even if the North Korean regime collapses as a result of conflict and split among the elites, if the elite that takes over wishes to maintain the existing system, then the change of regime may not necessarily lead to a change of system or a change of North Korean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break away from referring solely to political problems to make sense of North Korea and that we approach North Korea from diverse perspectives. With an awareness of such problem, we will focus on the change of North Korean society, which has been caused primarily by its marketization since the 1990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urse of thought of the North Korean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wo decades of continuous change and are living under the Kim Jong Un regime. With the basis of North Korean people`s expectation of change of the North Korean system and their perception of its regime, we will look into the development of deterioration of North Korean political society and the stability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of the Kim Jong Un regime. The North Korean people`s expectation of change of regime and their 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 Kim Jong Un regime is as follows. Discontent with the North Korean system, expectation of reform and opening up, and the influx of outside information and culture all consistently maintain a considerably high level, leading up to an increased instability of the system. However, on the other hand, market activity has decreased, standard of living has improved, and the party officers` loyalty and the people`s support have been increasing, even if only by a small margin. This shows how Kim Jong Un regime`s social control and its policy to improve people`s living have been effective. Also, even though the majority of people perceive the Kim Jong Un regime in a negative light, over 30% are indifferent towards it. This 30% say that they are indifferent towards the Kim Jong Un regime`s activities beyond factors that affect their daily livelihood and economic activities. Whether it is the North Korean people`s trust or mistrust of the Kim Jong Un regime that will grow into majority opinion depends primarily on the stance of the currently indifferent 30%. Factors of instability and stability are both coexisting in the Kim Jong Un regime. To lessen the North Korean people`s expectation of regime change and to increase the support of the Kim Jong Un regime, the regime needs to constantly fulfill the North Korean people`s desire for better quality of life. The key here is how long this increase in standard of living can last. To improve its people`s livelihood, the Kim Jong Un regime needs to promote marketization and accelerate reform and opening up, but such measures may increase the regime`s instability at the same time, making the regime face a difficult task.

      • KCI등재

        중첩적 공진화(Dual Co-Evolution)를 통한 대북 전략

        이시연 ( Lee Shi-yon ),최대석 ( Choi Dae-seok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8 국방연구 Vol.61 No.3

        우리의 대북정책은 미래 통일을 위한 초석임에도 불구하고 정권의 성향에 따라 부침을 거듭해 왔다. 이에 본 필자는 최근 많은 연구에서 회자가 되고 있는 ‘공진화’에 주목하였다. 공진화는 어떤 개체가 다른 개체들의 진화에 부분적으로 의존하거나 다른 개체들과의 맥락에서 진화하는 것으로 행위자 또는 행위자 집단의 전략적 행동들의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남북관계에 적용하면, 북한의 변화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남한 및 주변 국가의 동시적 변화, 즉 공진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필자도 이에 동의하며 일반적 공진화의 개념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중첩적 공진화’를 적용하여 경제와 관련한 대북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1공진화는 남북한 간의 공진화로, 남북경협에 있어서 개성공단과 같이 남북한 간 장점을 살려 서로에게 ‘윈윈’이 되는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다. 제2공진화는 북한 정권과 북한 사회 간 공진화로, 김정은 정권과 북한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말한다. 북한 정권이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기도 하고 때로는 북한 정권이 사회의 양상이나 수용자 태도 등을 변화시켜 진화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우리의 대북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제1공진화를 통해서 남북한 간의 상호작용으로, 상생을 해서 공진으로 나아가며 제2공진화를 통해 북한 정권과 주민 사회 간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하고 상생해서 공진으로 귀결되는 중첩적 공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Our policy toward North Korea has fluctuated with the regime’s tendency, despite being the cornerstone for future unification. In this regard, I have paid attention to the ‘Co-Evolution’ that has been discussed in many recent studies. Co-Evolution can be said to be a combination of actors or actors group’s strategic actions in which an individual is partly dependent on the evolution of other entities or evolves in the context of other entities. Applying this to the inter-Korean relations, it is not only the change of North Korea but also the simultaneous change of Sou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that is, the Co-Evolution is necessary. The author agrees with this and the concept of general Co-Evolution is developed one more step, and the direction of North Korea policy related to economy is proposed by applying ‘Dual Co-Evolution’. The first Co-Evolution is to cooperate between the two Koreas and to use the advantages of the two Koreas such as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in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o make a strategy of ‘win-win’ for each other. The second Co-Evolution is the cooperation between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North Korean society, which refers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Kim Jong-un regime and the North Korean society. This means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reflects the changes in society, and sometimes the North Korean regime evolves by changing the aspects of society and the attitudes of the people. Finally, our policy toward North Korea should be a Dual Co-Evolution, in which the two Koreas evolve jointly through the first Co-Evolution, and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society evolve through the second Co-Evolution.

      • DSP를 이용한 코로나 진단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정경열(Kyung-yul Chung),최대석(Dae-seok Choi),김권태(Kwun-tae Kim),임병주(Byung-ju Lim),류길수(Keel-soo Rhyu)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0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4

        In this paper, the corona discharge can occur on transmission lines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powerline by aging and can react instantly to help determine the corona diagnostic systems were involved in the research design. DSP using the corona discharge caused by a sudden loss of power to the video output can be observed and studied later for a diagnostic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