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비평의 역할과 비평적 이유들의 추론적 성격

        최근홍 ( Choi Kunhong ) 한국미학회 2020 美學 Vol.86 No.1

        예술비평이 합리성의 규범을 따르는 담론이라면, 비평이란 적절한 이유들에 근거하여 어떤 결론에 도달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비평적 이유들은 비평의 역할과 일반 원칙의 존재 여부에 관한 견해에 따라 예술비평에서 논리적 추론에 참여하거나 행위의 이유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전자와 후자의 설명을 각각 ‘이론적 모델’과 ‘실천적 모델’이라고 부르자. 나는 이 글에서 먼저 크로스의 실천적 모델과 캐럴의 이론적 모델을 각각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나는 개별주의자인 튜나의 혼성이론을 실천적 모델과 이론적 모델이 통합된 수정주의 버전으로 설명하고, 그것이 성공적일 수 없다고 비판한다. 마지막으로, 나는 개별주의자의 경우 추정이라는 추론적 수단을 도입함으로써 성공적인 수정주의 이론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Art criticism is an activity which reaches a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relevant critical reasons provided that it follows the norm of rationality. These critical reasons may be regarded either as participating in logical inferences (‘the theoretical model’) or as reasons for action (‘the practical model’). Whichever model we may take, it depends on how we think about the role of art criticism and whether there are general principles of criticism. In this paper, first of all, I critically examine a practical model by Anthony Cross and a theoretical model by Noël Carroll, respectively. Second, I investigate a hybrid theory by Emine Tuna, a particularist, whose account attempts to incorporate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model, and criticize that her revisionist version cannot be successful. Finally, I argue that the particularist may still have an alternative revisionist account if he introduces presumption as a means of replacing general principles in critical reasoning.

      • KCI등재

        독특한 현상으로서 비극의 역설 : 인과적 접근과 동기 접근

        최근홍 ( Choi Kunhong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2

        데이비드 흄은 “Of Tragedy”에서 비극의 역설을 독특한 현상이라고 불렀다. 흄 자신을 포함하여 많은 연구자들은 비극의 역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그 현상의 독특성을 설명하는 것이라 생각하는 것 같다. 그들은 ‘우리는 어떻게 두려움과 연민을 유발하는 비극으로부터 쾌를 얻는가?’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 먼저 ‘비극으로부터 얻는 쾌의 원천은 무엇인가?’ 또는 ‘비극은 어떻게 우리에게 쾌를 불러일으키는가?’라는 인과적 물음에 답한다. 그리하여 그들은 그 대답을 바탕으로 비극을 감상하는 사람들이 비합리적이지 않으며, 비극을 즐기는 반응이 적절하거나 마땅한 것임을 주장한다. 그러나 나는 인과적 물음에서 시작하는 ‘인과적 접근’이 일반성과 현실성을 결여한다는 자체적인 문제점들을 가질 뿐 아니라 역설이 발생하게 된 계기라는 근본적 물음을 간과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비극, 호러, 멜로드라마 등 부정적 감정 반응을 일으키는 예술들을 향유할 때 발생하는 역설은 ‘우리가 부정적 감점 반응을 야기하는 예술을 기꺼이 감상하려는 동기는 무엇인가?’라는 동기 물음에 대답하지 않고서는 적절하게 설명될 수 없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나는 이러한 ‘동기 접근’이 ‘인과적 접근’의 문제들을 회피하면서도 흄이 말한 독특성을 설명하는 올바른 방향이라고 주장한다. David Hume, in his essay, “Of Tragedy,” called the paradox of tragedy ‘the singular phenomenon’. Many Philosophers including Hume himself seem to think that they have to present a solution to the paradox of tragedy in order to explain the singularity of the phenomenon. They begin with giving an answer to the causal question, ‘How do we take pleasure from tragedy?’ or ‘What is the source of pleasure in tragedy?’ in order to meet the paradoxical question, ‘How do we take pleasure from tragedy which elicit fear and pity in us?’ So, on the basis of their answer to the causal question, they claim that people who appreciate tragedy are not irrational, and that their enjoyable responses to tragedy are appropriate or even merited. However, I object that ‘the causal approach’ which starts with the causal question has intrinsic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applicative generality and appreciative reality, and that it overlooks the fundamental question in the moment issuing the paradox. The idea is that the paradox occurring, when we enjoy arts, for example, tragedy, horror, or melodrama, cannot be suitably explained without answering the motivational question, ‘What does motivate us to voluntarily appreciate arts that elicit negative emotions in us?’ I argue that ‘the motivational approach’ is on the right track because it both solves the problems of ‘the causal approach’ and explains the singularity of the paradox.

      • KCI등재

        고통스러운 예술의 역설 : 스트롤의 부사구주의 쾌 이론과 강한 양가성

        최근홍 ( Choi Kunhong ) 한국미학회 2021 美學 Vol.87 No.2

        이 논문에서 나는 먼저 매튜 스트롤의 부사구주의 쾌 이론을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 고통스러운 예술의 역설을 강한 양가성 현상으로 이해하여 그것을 부사구주의에 근거해 설명하는 스트롤의 견해가 얼마나 타당한지 검토한다. 스트롤은 쾌와 고통을 현상적 느낌으로 성격규정하는 통속 이론을 부정하고 부사구주의를 제안한다. 나는 스트롤의 부사구주의가 그것과 경쟁하는 다른 버전의 부사구주의 이론보다는 낫다고 생각하지만, 현상적 느낌의 역할을 과소평가함으로써 반직관적인 결과를 낳는다고 주장한다. 고통스러운 예술을 추구하는 이유를 강한 양가성 범주에서 보자면, 감상자는 고통에도 ‘불구하고’가 아니라 부분적으로는 고통 ‘때문에’ 쾌를 경험한다. 나는 스트롤의 부사구주의가 강한 양가성을 설명할 때 부정적 감정에 동반되는 고통의 역할을 과장하고, 그 적절한 역할을 분석하는 지점에서는 통속 이론보다 설득력이 떨어지는 한편, 쾌가 고통에 기여하는 반대 방향의 강한 양가성 현상을 설명하는 데는 취약하다고 주장한다.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plore Matthew Strohl’s adverbialist theory of pleasure and its tenability as an account for the paradox of painful art under the category of strong ambivalence. Strohl proposes adverbialism as an alternative to the Folk Theory according to which pleasure and pain are taken to be phenomenally characterized feelings. I claim that, because of underestimating the role of phenomenal character of pleasure and pain, his theory has counterintuitive ramifications, though the explanatory power of his version of adverbialism is superior to that of other competing versions. Strong ambivalence solutions hold that we enjoy, or take pleasure in, the overall appreciation of painful art, not in despite of, but partly in virtue of the negative affect, or pain. I argue that Strohl’s adverbialism exaggerates the role of pain in response to painful art while being inferior to the Folk Theory where it must explain it rightly, and hold that it is not even a live option for explaining the inverse version of strong ambivalence.

      • KCI등재

        아서 단토의 예술론과 양식 개념

        최근홍(CHOI Kunhong) 현대미술학회 2020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4 No.2

        The Transfiguration of the Commonplace에서 전개된 단토의 예술론에서 양식의 역할은 중추적인 것으로 보인다. 캐럴은 단토의 예술론이 의도주의 함축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캐럴은 양식 개념에 대해 예술가의 의도가 아무런 설명력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 단토의 또 다른 견해라고 주장한다. 이를 근거로 캐럴은 단토의 예술론이 갖는 의도주의 함축과 단토의 양식 개념이 양립 가능한가의 문제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다. 이러한 캐럴의 비판은 단토의 양식 개념이 단토 자신의 이론이 마땅히 가져야 할 내적 정합성에 오히려 방해가 된다는 주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 비판이 얼마나 설득력 있는지를 검토하고, 단토의 양식 개념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Transfiguration of the Commonplace contains an interesting issue about the role of style which seems to be of central importance in Arthur Danto’s theory of art. Noël Carroll has argued that Danto’s theory implies intentionalism of some sort. On the other hand, however, Carroll has also claimed that it is Danto’s own view that the artist’s intentions do not have any explanatory power on certain style characteristics in artworks. On the basis of this, Carroll takes some skeptical view about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intentionalist tone of Danto’s theory of art and his conception of artistic style, which means that Danto’s theory would have an internal failure of incoherence. In this paper, I examine how plausible Carroll’s criticisms on this issue are, and try to improve understanding of Danto’s style concept.

      • KCI등재

        분석 미학: 무엇을, 어떻게

        강선아 ( Kang Sun Ah ),신현주 ( Shin Hyun Joo ),윤주한 ( Yoon Juhan ),이해완 ( Lee Haewan ),최근홍 ( Choi Kunhong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4

        이 글은 ‘분석 미학’의 연구 현황을 보고한다. 그 중 특히 현대에 와서 더 주목 받아야 할 영역들이 무엇인지 제시한다. 이는 현 시점에서 분석 미학이 무엇을 잘 할 수 있고 또 무엇을 시도해 볼만한지에 대한 점검이다. 또한 그 과정을 통해 매우 느슨하게라도 분석 미학의 방법론적 정체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본다. 필자들이 생각한 ‘미래지향적’ 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영역들은 감정, 허구, 상상과 창조성이다. 이들이 선택된 이유로는 몇 가지를 들 수 있다. 우선 미학의 모든 논의는 궁극적으로 미와 예술을 가능케 하는 인간적 영역에 대한 탐구라는 시각에서 볼 때, 감정, 허구, 창조성은 인간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관련된 중요 측면이며 따라서 어느 방법론에서건 적절한 미학의 과제이다. 이들은 현대 미학에서 각광받을만한 주제이지만 동시에 가장 오래된 미학의 전통과 연계되어 있다. 그 점에서 이들은 또한 현재 논쟁적으로 분할되어 있는 영미와 대륙 간의 구분을 초월하여 추구될 수 있는 주제들이다. 이들 주제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기에, 현 시점의 연구가 새로운 담론의 형성에 기여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더하여 필자들은 현대 분석 미학의 특징으로 분석 미학이 경험적 연구 성과를 활용하려는 경향을 가질 것이라는 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적 속성 및 비평적 진술의 위상을 둘러 싼 메타적 논의는 지속될 것임을 지적한다. 필자들은 이 글이, 예술과 문화에 대한 관심은 공유하지만 철학적 스타일에 따라 그 연구 방식을 달리 취하고 있는 동료미학 연구자들에게, 함께 같은 장에서 논의해 볼 수 있는 연구 분야를 제안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기를 기대한다. The article report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in contemporary Anglo-American aesthetics, which can be called ‘Analytic Aesthetics.’ Various study areas and research subjects are mentioned, and some extended overviews on several focus areas are provided. This is a review on what Analytic Aesthetics can do well at this point, and what needs to be done further in the future. It also briefly (and loosely) deals with the issue of what constitutes the methodological identity of Analytic Aesthetics. We, the authors, select three ‘future-oriented’ research areas. They are emotion, fiction, and creativity (in relation with imagination).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these are chosen. First of all, since every discussion in aesthetics should ultimately concern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by exploring human aspects that enable arts and aesthetic judgments, these three subjects are legitimate and even essential for any aesthetic investigation. They are linked to the oldest aesthetic tradition. In that regard, they are possibly subjects which can be pursued regardless of the so-called ‘Analytic-Continental split’. Since full-scale studies on these topics are still in their early stages, there are many stones yet unturned. It is likely that research in this area will contribute to new discourses. As for further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nalytic Aesthetics, the authors additionally point out that Analytic Aesthetics would (and should) utilize empirical research results more and more, and that, nonetheless, meta-discourse on the status of aesthetic properties and the nature of critical statements, including critical assessment on the foundations of relativism and pluralism, would continue. The authors hope that this article would be accepted by fellow scholars, who share the same interest in art and culture but take different approaches depending on their philosophical style, as a suggestion for what we can do collectively and cooper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