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어린이 급식시설 맞춤형 위생관리 지도서의 개발과 활용

        최경아,이성현,박혜경,Choi, Kyunga,Lee, Sunghyun,Park, Hyekyung 한국급식외식위생학회 2021 급식외식위생학회지 Vol.2 No.1

        The development of food poisoning prevention guidelines aims to prevent food poisoning in advance and improve the safety of children's meals through hygiene management of children's feeding facilities, especially infants' facilities.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 should be designed so that it can be fully understoo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layperson. In terms of meal service management, various standards must be fully reflected and reviewed to increase utilization in the field.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have different administrative agencies, similar application laws and guidelines, but different parts exist and various types of facilities, so management standards are often ambiguous. Therefore, such management requires easy guidance, not special guidance, and it should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any facility. Prior studies have shown that the management of meal facilities is the most efficient, but it is difficult to hire and deploy specialists due to the operation of children's meal facilities, so guidance, facilities managers and workers need to voluntarily practice them. It is time to prepare hygiene guidelin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hildren's cafeterias, a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utilize guidance suitable for reality until it is institutionalized for the deployment of manpower exclusively for meals.

      • 저고도 무인 항공기 기반의 근접 실시간 공중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최경아,이지훈,이임평,Choi, Kyoung-Ah,Lee, Ji-Hun,Lee, Im-Pye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4

        최근 대규모 재난 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속한 복구를 위하여 긴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 긴급 상황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발생 지역의 공간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취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신속하게 대상지역의 고해상도 공간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저고도 무인 항공기 기반의 근접 실시간 공중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근접 실시간 공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항공 플랫폼과 디지털카메라, 레이저스캐너, GPS/IMU와 같은 멀티센서, 센서의 지원모듈로 구성되는 항공부문과 지상 차량, 항공부분으로부터 실시간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고속으로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로 구성되는 지상부문으로 이루어진다. 항공부문은 저고도 무인항공기를 플랫폼으로 하며 저가 경량의 센서들과 자체 개발된 지원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독창성을 가지며 지상부문은 센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 및 처리하여 대상지의 공간정보를 고속으로 제공한다는 차별성을 가진다. 현재 시스템의 하드웨어는 개발 완료된 상태이며 개별 소프트웨어 통합 및 시스템 검증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개발 중의 시스템을 소개하고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 향후 기대되는 최종 성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As large scaled natural or man-made disasters being increased, the demand for rapid responses for such emergent situations also has been ever-increasing. These responses need to acquire spatial information of each individual site rapidly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situations. Therefore, we are developing a close-range real-time aerial monitoring system based on a low altitude unmanned helicopter. This system can acquire airborne sensory data in real-time and generate rapidly geospatial information. The system consists of two main parts: aerial and ground parts. The aerial part includes an aerial platform equipped with multi-sensor(cameras, a laser scanner, a GPS receiver, an IMU) and sensor supporting modules. The ground part includes a ground vehicle, a receiving system to receive sensory data in real-time and a processing system to generate the geospatial information rapidly.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individual modules and subsystems have been almost completed. Integration of the modules and subsystems is now in progress. In this paper, we w ill introduce our system, explain intermediate results, and discuss expected outcome.

      • KCI등재

        코로나19시대 보건운동생체바이오데이터 교육: MZ세대 대면실습 참여 콘텐츠 인식 분석

        최경아,Choi, Kyung A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8

        By analyzing the recognition analysis and motivation method of the determinan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health exercise biodata analysis face-to-face practice education content. The participants were 40 millennial and zoomers (MZ) generation college graduates. Factors related to the decision to participate in face-to-face practice classes in the field of health exercise biodata and bio-digital content convergence technology in the era of COVID-19 were measured. Of the participants, 67.5% voluntarily decided to participate in small group classes while observing social distancing rules. This study presented the most effective and learning motive methods to participate in face-to-face training. Health exercise biodata needs improvement in terms of integrating with adjacent disciplines such as big data.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 운동 바이오 데이터 분석 대면 실습 교육 콘텐츠의 향후 발전 방향 조사를 위해, 인식결정 인자 분석과 동기 부여 방법을 분석하는 것이다. MZ 세대 대학졸업생 40 명을 선정하고, 건강 운동 바이오 바이오 데이터 및 바이오 디지털 콘텐츠 융합 기술 분야 대면 실습수업 참여 결정과 관련된 인식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실시했다. 참가자의 67.5%가 격리 규칙을 준수하면서 소그룹 대면 실습수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생체정보바이도데이터분석 대면실습교육에 참여 유도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과 학습동기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건강운동바이오데이터 분야는 딥러닝, IT빅데이터 클라우드, 보건정책행정 등 인접 분야와의 융합 교류를 통해 깊이 있고 교육내용개발이 적절하게 탐구되어야한다. 또한 건강운동시스템과 의료보건복지 정책을 개선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건강운동바이오데이터 교육 내용이 여러 분야와 적극적으로 융합시켜야한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발표 논문 : 자아(self)와 개인(person)에 대한 정의 고찰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최경아 ( Kyung Ah Choi )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28

        본고는 인도철학사상 핵심 쟁점이었으며, 시대를 막론하고 철학적 논의에서 첫걸음일 수밖에 없는 `나` 곧 `자아`의 개념을 밝히는 데 우선적인 목적이 있다. 이 문제에 관해 붓다가 침묵 내지는 부정으로 일관했기 때문에, 고대 용어의 풍부한 철학적 종교적 함의를 현대적 개념으로 풀어내는 일은 난해한 작업일 수밖에 없다. 붓다의 역설적인 태도로 인해 본래 의도가 어떻든건 간에 무아설(anatmavada)은 불교의 대표사상으로 자리매김되어 버렸다. 소위 『무아상경』에는 `자아`에 대한 가설로서 다섯 skandha가 소개되었으며, 다시 이 skandha는 `자아`가 아닌 것으로 부정된다. 이 『무아상경』의 콘텍스트에서 다섯 skandha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현대철학이 정리한 `자아`의 정의와 대비함으로써 자아에 대한 붓다의 근본적인 시각 차이를 부각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rupa의 구성요소인 upadayarupa가 집중 조명된다. 이개념으로 인해 불교의 자아 정의는 기존의 서양 철학적 관점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독특한 특징이 추가된다. 곧 자아는 인식주체인 동시에 그 인식대상까지 포괄한다. 이는 불교의 자아관은 곧 세계관이고, 인식론이 곧 존재론이라는 통설의 근거를 제공한다.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Buddha strongly rejects the concept of self. Subsequently, anatmavada has been regarded a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Buddhism. Whether it is the existence of self or the idea of self that he denies, his attitude towards `self` seems to be basically negative. This paper is intended for figuring out what it really is that the Buddha tried to reject whenever he preached anatmavada. Besides, it should be discerned what `I`, `self`, `person` and atman exactly mean when they are used in common usage as well as in the context of early Buddhism. The definition of the term `I` cannot be analyzed objectively unless it becomes an objectified `self`. In other words, `I` come to be objectified and can be utilized when it is called `self`. Again, this `self` could be established as a term `person` when it specifies the individuality. This content has been implied by the term skandha in the Nikaya. The definition of self has been studied throughout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contemporary philosophy defines it in this manner: 1) not the same thing as a whole human being, 2) a subject of experience, iii) an inner presence or locus of consciousness, and so on. In the context of early Buddhism, the term skandha represents the meaning of self as well as person. Through the textual study of the Nikaya, the definition of skandha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It is based on materiality (body). 2) It comprehends the sense faculty and its object. 3) It is a subject of consciousness and also comprehends its object. 4) It goes as far as its mental activity persists. 5) It acts with intention and shows some character or personality depending on the condition. 6) It is a self-conscious being.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실시간 고정밀 영상 지오레퍼런싱을 위한 고속 연속 번들 조정 알고리즘

        최경아 ( Kyoung Ah Choi ),이임평 ( Im Pyeong Lee ) 大韓遠隔探査學會 2013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9 No.2

        Real-time high-precision image georeferencing is important for the realization of image based precise navigation or sophisticated augmented reality. In general, high-precision image georeferencing can be achieved using the conventional simultaneous bundle adjustment algorithm, which can be performed only as post-processing due to its processing time. The recently proposed sequential bundle adjustment algorithm can rapidly produce the results of the similar accuracy and thus opens a possibility of real-time processing. However, since the processing time still increases linear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images, if the number of images are too large, its real-time processing is not guaranteed. Based on this algorithm, we propose a modified fast algorithm, the processing time of which is maintained within a limit regardless of the number of images. Since the proposed algorithm considers only the existing images of high correlation with the newly acquired image, it can not only maintain the processing time but also produce accurate results. We applied the proposed algorithm to the images acquired with 1Hz. It is found that the processing time is about 0.02 seconds at the acquisition time of each image in average and the accuracy is about ± 5 cm on the ground point coordinates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the conventional simultaneous bundle adjustment algorithm. If this algorithm is converged with a fast image matching algorithm of high reliability, it enables high precision real-time georeferencing of the moving images acquired from a smartphone or UAV by complementing the performance of position and attitude sensors mounted together. 영상 기반의 정밀한 내비게이션이나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 고정밀 영상 지오레퍼런싱의 실시간 수행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밀 영상 지오레퍼런싱은 일괄 번들 조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성취될 수 있으나 처리시간으로 인해 후처리로만 가능하였다. 최근에 제안된 연속 번들 조정 알고리즘은 이와 유사한 정확도의 결과를 고속으로 산출하여 실시간 처리의 가능성을 열었다. 그러나 처리시간이 영상의 개수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영상이 아주 많은 경우에 실시간 수행이 보장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연속 번들 조정 알고리즘을 보완하여 본 연구는 실시간 처리를 위해 영상의 개수와 무관하게 처리시간을 항상 일정 범위로 한정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영상들 중에서 새롭게 취득된 영상과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영상들만 고려하기 때문에 처리시간을 일정 범위로 한정시키면서도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1Hz로 취득된 영상에 적용한 결과, 평균적으로 영상을 취득할 때마다 0.02 초 이내의 처리시간을 소요하면서 기존의 일괄 번들 조정 알고리즘의 결과와 비교하여 지상점 좌표를 기준으로 ±5 cm 이내의 정확도로 지오레퍼런싱을 수행할 수 있었다. 신뢰성 높은 고속의 영상 매칭 알고리즘과 결합된다면 스마트폰 또는 UAV 등으로 동영상을 취득하면서 함께 탑재된 위치/자세 센서의 성능을 보완하여 고정밀의 실시간 지오레퍼런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인도불교에서 개아론자의 출현과 의미

        최경아(Choi, Kyung-Ah) 한국인도학회 2015 印度硏究 Vol.20 No.1

        부파불교에서 윤회의 주체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개념이 고안되었고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을 뿌드갈라라고 보는 일반통설은 개아론자들의 뿌드갈라 개념을 일방적으로 호도한 감이 있다. 그들의 관심사를 지나치게 단순화함으로써 한 시대를 대표했던 부파를 폄훼한다는 비판을 받을 여지도 있다. 부파불교 시대에 모든 부파들의 주요 관심사는 ‘자아의 부재 속에서 어떻게 인식의 발생과 축적 그리고 지속의 문제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의 문제였다. 게다가 이 문제는 찰나설과 동시에 설명되어야만 했다. 모든 부파가 이 문제에 몰입해 있을 때, 개아론자들은 그들만의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개아론자들은 뿌드갈라는 찰나적 존재로서 과거·현재·미래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유위(有爲, samsk?ta)도 아니고, 활동적이기 때문에 무위(無爲, asamsk?ta)도 아니므로, 오직 자기 자신의 범주에만 속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뿌드갈라 자체를 하나의 범주로 상정하여 유위와 무위 사이에 두었던 것이다. 뿌드갈라가 제3의 범주, 곧 불가설(不可說)로 간주되면서 이러한 개념이 아뜨만과 겹치게 되자 여러 불교부파들로부터 비판을 받게 된 것이다. 개아론자들은 수행의 공덕으로 아라한과에까지 이르는 인격의 지속체로서의 뿌드갈라를 상정해야만 했던 것이다. 개아론자들은 유위적 존재에서 무위로 넘어갈 수 있는 가능태로서의 인간 개인의 수행력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