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nAGNPS 모형을 이용한 관목림지의 비점오염 모의

        최경숙,Choi Kyung-Sook 한국농공학회 2005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7 No.4

        AnnAGNPS model was applied to a catchment mainly occupied with bushland for model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Since the single event model cannot handle events longer than 24 hours duration, the event-based calibra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continuous mode. As event flows affect sediment and nutrient generation and transport, the calibration of the model was performed in three steps: Hydrologic, Sediment and Nutrient calibrations. The results from hydrologic calibration for the catchment indicate a good prediction of the model with average ARE(Absolute Relative Error) of $24.6\%$ fur the runoff volume and $12\%$ for the peak flow. For the sediment calibration, the average ARE was $198.8\%$ indicating acceptable model performance for the sediment prediction. The predicted TN(Total Nitrogen) and TP(Total Phosphorus) were also found to be acceptable as the average ARE for TN and TP were $175.5\%\;and\;126.5\%$, respectively. The AnnAGNPS model was therefore approved to be appropriate to model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bushland catchments. In general, the model was likely to result in underestimation for the larger events and overestimation fur the smaller events for the water quality prediction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large errors in the hydrologic prediction also produced high errors in sediment and nutrient prediction. This was probably due to error propagation in which the error in the hydrologic prediction influenced the generation of error in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Accurate hydrologic calibration should be hence obtained for a reliable water quality prediction.

      • KCI등재

        새만금 원예·축산단지 용수공급 방안 연구

        최경숙,김해도,Choi, Kyung-Sook,Kim, Hae-Do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4 No.3

        Saemangeum development project is the world's largest tidal flat reclamation project. It is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and proceeding with phased developments. The construction of agricultural areas within the Saemangeum reclamed lands is also a part of this project. These areas will have multi-functional complexes aiming to produce mainly eco-friendly horticultural crops and livestock products for the purpose of export. The major concern is to obtain sufficient water with appropriate quality to supply to those area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provide available water supply plans for agricultural purpose, especially for horticulture and livestock complexes. Alternative methods for water supply are purifying water from the Saemangenm lake or using water supply services providing by K-water or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investigates to find an economical water supply plan through comparisons of these methods. As a result, the water purification method with Saemangeum lake water could be advantageous for given water supply conditions to horticulture and livestock complexe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을 위한 문화간호 역량화 교육 프로그램

        최경숙(Choi, Kyung Sook),Sarah Morgan,Vipavee Thongpriwan,이소영(Lee, So Young),전명희(Jun, Myunghee) 한국간호교육학회 2014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0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teaching model to improve the cultural competence care of undergraduate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from 2000 through 2014 using internet to identify studies that presented nursing curricula an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 Korea. We analyzed retrieved Korean seven articles using Campinha-Bacote’s ASKED model in combination with reflective experiences of authors observing classrooms in the U.S. Results: Six syllabuses presented information about cultural diversity nursing concepts in Korea. A traditional lecture focused on presenting contents about cultural knowledge by an instructor in the classroom was identified as a commonly used teaching strategy. We found that cultural competency related to cultural desire, awareness, and encounter was lacking. Thus, we developed teaching model based on the Korean nursing education contexts and combined with Campinha-Bacote model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y in nursing. Conclusions: The proposed teaching model shows promise as a strategy for improving th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related to cultural competent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Korea. However, evidences that this model improves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s reflecting cultural competent care are still lacking. Future research focusing on determining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in clinical practices will be most effective.

      • KCI등재

        간호 실무자를 위한 암 예방 문화역량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최경숙(Choi, Kyung Sook),이소영(Lee, So Young),박연우(Park, Yeonwoo),전명희(Jun, Myunghee),최지예(Choi, Jeeyae) 대한종양간호학회 2016 Asian Oncology Nursing Vol.16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a nursing educational program improving nursing professional’s cultural competency in cancer prevention. Methods: An eight-hour long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several preliminary research projects, one ethnography and three quantitative project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among nursing students and professionals in Korea. Thirty two nursing professionals were recruited for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re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cultural nursing knowledge about cancer prevention, cultural competency and perceived importance of nurses’ quality. Results: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al program, the clinical nurses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mean score of the cultural nursing knowledge about cancer prevention from 4.78±2.01 to 8.81±1.52 (t=-8.48, p<.001) and the level of the cultural competency from 72.47±8.96 to 83.59±8.61 (t=-6.16, p<.001).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Communication ability with patients and family members’ changed from 6th to 2nd most importance but ‘Having a passion for the patient care’ remained the most important perceived factor of nurses’ quality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al program. Conclusion: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was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professional’s cultural competency in cancer prevention. However, it needs to be improved more to be culturally specific to multi-cultural clients.

      • SCOPUSKCI등재
      • 경천지구 농민 물절약 시범교육 실시

        최경숙 ( Kyung Sook Choi ),리팅 ( Ting Li ),도종원 ( Jong Won Do ),이광야 ( Kwang Ya L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농민 물절약 교육 모델 개발(2016)」에 따른 교육모델의 현장 시범교육을 실시하였다. 시범교육 대상지는 가뭄을 경험한 지역으로 선정하여 교육 효과를 증대시키고자 농업가뭄 경험지역 중 한국농어촌공사 경천지사 관할지구인 경천지구를 선정하였다. 시범교육은 경천지구 내 예천용수간선 용수 이용 농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범대상 지역 중 6개 마을을 선정하여 4회에 걸쳐 교육을 실시하였다. 물절약 시범교육을 실시하기 전 2차례의 현장조사를 통해 수로손실, 중간취수 등 물공급 및 용수손실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필지단위 농민 물사용 행태와 시범교육 대상구간의 용수손실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범교육 대상지역은 수로 노후화가 많이 진행되어 누수에 의한 물손실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대상지구내 허가 받지 않은 무단취수지점도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거 및 필지 단위 물사용 행태를 조사한 결과 지난 가뭄 경험으로 대체적으로 농민의 물관리 실태는 양호하였으나, 일부 구간은 여전히 물꼬관리 부실에 의한 물손실 야기로 농경지 밖으로 물이 흘러넘치는 경우가 많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물절약 교육 모델 이수단계별 시범교육을 실시한 결과 농민의 반응은 대체적으로 물절약의 필요성과 농민의 물낭비 실태에 대한 깊은 공감을 표하였으며, 물절약 실천의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룹토의를 통해 농민이 도출한 물절약 행동 강령에는 개인 물꼬관리, 밸브설치, 자체 용수로 보수, 주민 동원 용수로 준설과, 봄철 논물가두기 등이 있었으며, 수로관리를 위한 농민 수리계 조직 결성, 농민의 권리주장을 위해 농민의 물세 납부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물절약 시범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범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농민의 관행적인 물관리 실태와 물절약 관련 의견수렴을 목적으로 개발된 설문조사지를 활용하여 시범교육 실시 후 농민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다. 설문응답자는 대부분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많았으며, 농사인력의 대부분이 남성으로서 농사경험은 많지만 대부분 소규모 영농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설문응답자 중 가뭄으로 물부족을 경험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물부족에 의한 주민간 물다툼 경험도 다소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농민 물 과다 사용에 대해서는 대체로 인정하고 있었으나, 농민의 물꼬관리 실태는 잘하고 있다는 의견이 절반을 차지하였다. 농업용수 손실 원인으로는 수로 노후화를 가장 많이 채택하였으며, 부실한 물관리와 무단취수가 그 뒤를 따랐다. 물 부족 상황 시 해결 방법은 물관리 기관(공사)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개인적으로 해결하는 경우도 다소 높게 나타났다. 농민의 물절약 필요성은 모두가 공감하고 있었으며, 농민의 물절약 참여 방법은 물꼬관리, 수로관리, 수리계 조직 결성과 함께 모든 방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향후 수리계 조직 시 가입 의향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물절약 시범교육을 통해 농민의 물낭비 원인에 대한 깊은 공감대 형성과 물절약에 대한 실천의지를 파악할 수 있어 향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물절약 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가족력을 지닌 대장암 환자와 가족의 암 염려 경험

        최경숙(Choi, Kyung Sook),전명희(Jun, Myunghee) 대한종양간호학회 2013 Asian Oncology Nursing Vol.13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worries that patients and families with a history of colorectal cancer experience. Methods: From January 2011 through January 2013,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onducted on 3 colorectal patients and 8 family members with a family history of colorectal cance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micro-ethnographic research method. Results: After colorectal cancer patients and families realized and concerned with their increased chance of getting cancer, Eventually this worry became a motivator causing them to adhere to cancer preventive behavior. Three types of cancer worries were identified: confrontation, uneasiness, and warning. Depending on the type of cancer risk, psychological responses and cancer preventive behavior were found to be varied according on the three types of cancer worries. Patients and families tried to change dietary habits and regulary exercise. To help ease their cancer worries, they started to search for information on colon cancers and attempted to follow recommendations. However, they found that neither detailed guidelines nor systematic management from health professionals existed for families with colon cancer patients. Conclusion: A cancer prevention nursing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level of cancer risk and perceived cancer worries of clients.

      • 농민 물절약 교육 모델 개발

        최경숙 ( Kyung Sook Choi ),리팅 ( Ting Li ),도종원 ( Jong Won Do ),이광야 ( Kwang Ya L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최근 기후변화에 의해 과거에 비해 가뭄의 빈도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가뭄 패턴 또한 지속적이고 국지적으로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농업 및 농촌지역의 가뭄피해가 빈번해짐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도 기존의 사후복구대응체계에서 벗어나 선제적인 가뭄대응체계를 통한 가뭄피해 최소화와 농업 및 농촌의 효율적인 물이용을 도모하고 영농여건 변화에 중장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농업·농촌부문 가뭄대응 종합대책(2015)」을 수립하였다. 4대전략 16대 과제로 구성된 농업가뭄대응 종합대책에는 가뭄대책의 일환으로 농업인 절수 교육 및 홍보를 통한 물절약 추진을 도모하는 과제가 포함되었다. 이를 계기로 본 연구에서는 농민을 대상으로한 물절약 교육 모델을 국내 처음으로 개발하게 되었다. 본 연구 통해 개발된 물절약 교육 모델은 현재 농업용수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논농사 농민을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며, 이수단계별 교육 모델을 구축함으로 농민이 물절약 교육 내용을 쉽게 파악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기존의 단순한 주입식 교육을 지양하고 가뭄시나리오에 기반한 체험식 교육 콘텐츠를 개발함으로 농민의 직접적인 참여 교육을 통해 교육 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이수체계는 1단계 이해단계, 2단계 적용단계, 3단계 평가단계로 구성하였고, 교육 모델 적용시간은 총 1시간정도 소요되도록 구성하였다. 이해단계에서는 물의 가치, 농업용수 공급체계의 이해, 물손실 원인, 물절약을 통한 경제적 효과 등을 이해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비주얼 매체를 활용하여 대부분 평균 연령이 높은 농민들의 이해력을 높이기 위해 플래쉬 동영상을 개발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그룹별 액션러닝을 통해 농민이 직접 물손실 및 물절약에 대한 개념을 모의해 보는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평상시 농민의 물이용 관행에 따른 물손실 야기에 대한 이해와 가뭄시나리오에 따른 물공급량 감소시 농민 피해 및 가뭄 극복을 위한 효율적 물이용에 대한 효과를 이해시키고자 하였다. 마지막 평가단계에서는 그룹토의를 통해 물절약 실천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물절약 실천 방안을 도출하도록 하여 발표하게 함으로 물절약 실천의식 함양 및 물절약 실천을 위한 행동강령을 도출하도록 구성하였다. 교육모델의 현장시범교육을 진행하여 시범교육의 효과도 파악해 보았다. 농민의 물절약 교육 효과 확대를 위해 교육 모델 개발 외에도 홍보 및 물절약 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물절약 슬로건 및 포스터도 제작하였다. 물절약 홍보 포스터는 여러 가지 유형으로 제작하여 물절약 시범교육에 활용하였으며, 전국 한국농어촌공사 도본부 및 지사단위 가뭄극복을 위한 물절약 홍보에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물절약 교육모델은 농민을 대상으로한 물절약 홍보 및 교육 자료로의 활용과 절수를 통한 가뭄대응에 활용가능 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고위험 유전성 유방암을 지닌 한국계 미국 여성의 질병경험

        최경숙(Choi Kyung Sook),전명희(Jun Myunghee),Gwen Anderson 대한종양간호학회 2012 Asian Oncology Nursing Vol.12 No.2

        Purpose: This micro-ethnographic study aimed to understand coping experiences of Korean-American (K-A) women after diagnosis with breast cancer due to a hereditary gene mutation. Method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at one breast cancer screening center in Southern California, in 2005 with eleven first generation K-A immigrant women. All transcribed interviews and field notes were analyzed using ethnographic methodology. Results: K-A women's experience varied based on acculturation risk factors including: limited English speaking ability; disrupted family relationships, individualistic family values, or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barriers; lack of Korean speaking nurses; and Korean physicians' who lacked knowledge about hereditary breast cancer risk. These risk factors led to isolation, loneliness, lack of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In comparison to Korean homeland women in a similar medical situation, these K-A immigrants felt disconnected from the healthcare system, family support and social resources which increased their struggling and impeded coping during their survivorship journey. These women were not able to access self-support groups, nor the valuable resources of nurse navigator programs. Conclusion: Professional oncology associations for nurses and physicians have a moral obligation to support and promote knowledge of hereditary cancer risk and self-help groups for non-native speaking immi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