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비교과 학습공동체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

        최경민(Choi, Kyeong-Min),김민지(Kim, Min-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러닝 기반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사하여 자기주도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실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공동체가 자기주도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북에 소재한 A대학 재학생 중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51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미 참여 학생 44명을 통제집단 으로 선정하였다.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은 2017년 9월 4일부터 10월 27일까지 8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후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으며 인구 변인과 주요 연구 변인들에 대해서는 기술통계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척도의 내적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자기주도 학습능력 척도는 이석재 등(2003)이 개발한 자기주도 학습 척도의 설문 문항을 이경희(2012)가 수정 보완한 것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인 A대학교 학생 51명을 무선 배정한 뒤 총 8회기에 걸쳐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실시 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평균이 실험 전보다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를 강화시켜 자기주도 학습능 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상승효과를 위해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공동체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시간 관리를 활용한 대학의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A대학 학사경고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경민(Choi Kyeo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학사경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 관리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 관리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학사경고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방법 국내 소재 A대학의 2021년 1학기 교수학습개발센터의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학사경고 대학생 25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2021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학사경고자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전후로 직전 학기 평점과 학업적 지연행동 사전-사후검사를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다. 척도의 내적 일관성 검증을 위한 신뢰도 분석과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t-검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과 총 5회기의 프로그램 중 30분 내외로 구성된 시간 관리를 위한 온라인 학습법 특강 3회와 학습전략 증진을 위한 2회의 전화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 대학생들의 학점은 직전 학기 학사경고를 받았을 당시의 학점과 비교해 상승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 대학생들의 학업적 지연행동은 프로그램 운영 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낮아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시간 관리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학사경고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업적 지연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supporting online learning programs using time management for undergraduate warning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online learning strategy programs using time management on academic performance and academic delay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ith academic warning,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operating related programs. Methods Twenty-five university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the Professor Learning Development Center of A University in Korea conducted the Bachelor s Warning Learning Support Program from April 1 to June 30, 2021. Prior to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previous semester s ratings and pre-post-examination of delayed academic behavior were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data used SPSS, and the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intrinsic inertia of the scale, and t-validation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ing in the following results. Results The results of the online study method special lecture for managing time in three sessions and a telephone counseling program for promoting learning strategies in the second session showed that the grade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vious semester s academic warning. This study can suggest that online learning strategy programs using time management can play a positive role in preventing academic delay and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academic warning who have difficulties in online learning. Conclusions From these studies, it can be concluded that online learning strategy programs using time manage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and academic delay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ith academic warnings.

      • KCI등재

        자기주도 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영화와 글쓰기 활용 PBL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최경민(Choi, Kyeong-Min),김경현(Kim, Kyeo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거주형대학(RC)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화와 글쓰기를 활용한 PBL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intrich의 자기조절학습 과정에 근거하여, 영화와 글쓰기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전북 소재 J대학 재학생 실험집단 86명과 미참여 학생 78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2019년 3월 18일부터 6월 8일까지 8주 동안 자기주도 학습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운영 전후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8회기에 걸쳐 학습법 특강 및 영화와 글쓰기를 활용한 PBL로 구성된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평균이 실험 전보다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해 영화와 글쓰기를 활용한 PBL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화와 글쓰기를 활용한 PBL기반 자기주도 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BL-based learning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at residential universities (RC) that utilize movies and writing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o fulfill this theory, based on Pintrich s self-regulating learning process, PBL programs using movies and writing were proposed. The program selected 86 students from J University in Jeonbuk Province and 78 students from non-participation as the control group, with the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running for eight weeks from 18 March to 8 June 2019. Prior post-inspec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 operation. The results of the program, consisting of special learning methods and PBL classes using movies and writing over a total of eight sessions, showed that the averag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the experiment. These findings can be inferred that PBLs using film and writing enhance learning plans, learning practices, and learning evaluation skills, which are sub-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PBL-based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s using films and writing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ffective in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 KCI등재

        대학생이 인식하는 강의 질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경민(Choi, Kyeong-Min),백제은(Bak, Ja-eun),김경현(Kim, Kyu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에서는 수업에서 대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강의 질과 학습 만족도에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을 상승시키는 강의 질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2학기에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 3개교를 선정하여 재학생 620명에게 강의 질,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를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들 각 요인들의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강의 질의 하위변인 중 수업내용은 학업적 자기효능 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내용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변 인(과제난이도 선호도,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강의 질의 하위변인 중 학습환경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 효능감에만 정적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의 질의 모든 하위변인(수업내용, 상호작용, 학습환 경)은 학습만족도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셋째, 강의 질(수업내용, 상호작용, 학습환 경)과 학습만족도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변인(과제난이도 선호도, 자기 조절 효능감, 자신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학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의 질 중 수업내용과 학습환경의 개선을 통하여 학 업적 자기효능감을 고양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강의 질 개선에 있어서 교수자의 노력뿐만 아니라 학교 측면에서의 제도적인 지원이 뒷받 침된 학습환경 개선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승효과를 위해 강의 질과 학습환경의 개선이 대학교육의 질 을 향상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 among lecture quality ,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atisfaction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pecific information on improving academic lecture level by checking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academic lecture quality and academic satisfaction. This study sets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First, what effects do the lecture quality (lecture content, interaction, lecture environment) have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lecture difficulty preference, self-control efficacy, confidence) and the academic satisfa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 Second, does the academic self-efficacy play a mediating role from the relation between the lecture quality and the academic satisfaction ?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survey containing lecture quality ,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atisfaction scale targeting 620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Jeollabuk-do.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 Firstly , the lecture content of quality showed that it influenced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The lecture content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s all sub -factors (lecture difficulty preference, self-control efficacy , confidence), and the academic environment which is another element of lecture qualit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Secondly, all the academic self-efficacy s sub -factor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lecture quality and the academic satisfaction. Through the study s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the professors effort and the universities systematic support on improving the lecture quality to enhance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Such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offer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education quality .

      • KCI등재

        사범대 학생이 지각하는 지도교수와의 의사소통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경민(Choi, Kyeo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 대학생이 지각하는 지도교수 의사소통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2학기에 전라북도에 소재한 4년제 W대학 사범대 재학생 102명(남학생 46명, 여학생 56명)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20일부터 12월 10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들 각 요인들의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수의 의사소통 중 비수 용적 경청태도는 과제난이도 선호도에 정적 영향을, 명령적 의사전달태도는 과제난 이도 선호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수용적 경청태도는 자기조절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촉구적 의사전달태도는 자기조절효능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수용적 경청태도는 자신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명령적 의사전달태도는 자신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의 의사소통(수용적 경청태도, 명령적 의사전달태도)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관계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수의 수용적 경청태도와 명령적 의사전달태도를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상승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상승효과를 위한 교수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수의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communication with academic advisor perceived by the educational college student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pecific information that affects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implement this research, 102 students of four-year W university in Jeollabuk-Do in 2018 participated in this survey. From 15 Aug to 25 Dec,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en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program.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all sub variables(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regulated efficacy, self-confidence) between professor s communication(receptive listening attitude, commanded communication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strategy of raising academic self-efficacy is required to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by means of improving professors attitude of listening and imperative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roved that the academic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ould be improved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munication for the synergy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learner and by mediating the learner s academic self-efficacy resulted from the communication of professor.

      • KCI등재

        Complete genome sequence of Runella sp. ABRDSP2, a new mono-aromatic compounds degrading bacterium isolated from freshwater

        강혜경,류병곤,최경민,진현미,Kang, Hye Kyeong,Ryu, Byung-Gon,Choi, Kyung Min,Jin, Hyun Mi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9 미생물학회지 Vol.55 No.1

        페놀과 같은 단환성 화합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인 Runella sp. ABRDSP2 균주는 담수로부터 분리되었다. 원형으로 완성된 하나의 chromosome과 3개의 plasmid로 구성된 유전체는 GC 함량이 44.4%인 총 7,613,819 bp의 크기를 나타내며 6,006개의 유전자를 인코딩하고 있다. ABRDSP2 균주는 monooxygenase, ring-cleaving dioxygenase 및 catechol 1,2-dioxygenase 등의 다수의 방향성 탄화수소를 분해하는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다. 이런 전장 유전체는 Runella sp. ABRDSP2 균주가 다양한 생분해능력이 있음을 나타낸다. The Runella sp. ABRDSP2, capable of degrading mono-aromatic compounds such as toluene, was isolated from freshwater. The whole genome, consisting of a circular single chromosome and three plasmids, was composed of total 7,613,819 bp length with 44.4% G+C contents and 6,006 genes. The genome of strain ABRDSP2 contains many aromatic hydrocarbon degrading genes such as monooxygenase, ring-cleaving dioxygenase, and catechol 1,2-dioxygenase. The complete genome reveals versatile biodegradation capabilities of Runella sp. ABRDSP2.

      • 공기부양 풍력발전 시스템의 설계

        정지민(Ji Min Jung),박찬성(Chan Seong Park),박재원(Jae Won Park),최경민(Kyeong Min Choi),신병록(Byeong Rog Shin)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11

        In this paper an air float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investigat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of wind turbine. A floating body of Magenn's actual running used and modified by using similarity law. From the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 wind turbine has a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dicating maximum peak of power at velocity ratio of 1.5 by circumferential velocity and main stream, and at the given wind speed such as 7㎧ and 7.5㎧.

      • KCI등재

        접촉각 측정에 의한 사이즈 분석

        이찬용,김철환,최경민,박종열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35 No.-

        접촉각(Contact Angle)이란 액체가 고체표면 위에서 열역학적으로 평형을 이룰 때 형성하는 각을 의미하며, 고체와 액체 사이에서 이루는 접촉각의 측정은 접착, 표면처리, 폴리머 표면 분석과 같은 많은 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술이다. 이러한 접촉각은 종이의 내수성에 대한 정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접촉각 자동 측정 시스템(AMS-2001)은 종이에 부여된 내수성을 종이 시료 상에 형성된 접촉각 측정을 통하여 정량화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AMS-2001을 이용하면 사이징 처리된 종이의 접촉각, 발수각, 액적의 폭, 지름, 표면장력 등을 측정할 수 있었고, 액적이 변화되는 모양을 디지털 화상을 통하여 추적할 수 있었으며 또한 기존의 Stockigt 실험 방법과 거의 유사한 재현성 및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The contact angle formed by a droplet of water used to estimate a repellency property of paper. The conventional systems measuring a contact angle are based on a manual measurement of the angle by a 3-point determination such as a far-left or far-right point, and a top point of a water droplet on a sample sheet. Thus the manual method to analyze a water repellency property can be greatly affected by an operator's bias. The new method to measure a sizing degree by a contact angle was developed using an automatic determination of 3-end point coordinates of the water droplet, which could diminish the operator's bias during measurement. The system could also quantify width and height of a water droplet, a surface tension of a solid specimen, and a time elapsed during complete absorption of water into a sheet. Finally, the values measured by the system were quite reproducible and rel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