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nsonant manner harmony in Child English and Korean

        초미희(Mi-Hui Cho) 한국음운론학회 2005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Vol.11 No.3

        According to Stoel-Gammon and Stemberger (1994), there has been a general bias for the harmony types; while nasals with a nasal specification trigger nasal harmony, stops without a manner specification are not expected to trigger obstruent harmony. This prediction, however, was not borne out in child Korean since obstruent harmony was consistently observed in the production of a Korean child. In addition to the documentation of this novel and unpredicted type of manner harmony in child Korean, three significant developmental observations of the consonant harmony patterns have been surfaced. First, the occurrence of harmony patterns was cyclic over time such that obstruent harmony applied to a given word for a given duration of time then the same word could be vulnerable to nasal harmony for a subsequent duration of time, with the pattern repeating. Second, the patterns of harmony emerged in a heterochronic fashion where the course of obstruent harmony preceded nasal harmony. Third, the harmony patterns were resolved coincident with the increase rate in the size of lexicon and phonetic inventory.

      • KCI등재

        한국 EFL 학생들의 영어철자 〈i〉인지와 발화의 관계

        초미희(Mi-Hui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EFL 학생들이 영어 철자 〈i〉를 어떻게 인지하고 발화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인지와 발화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1명의 한국 대학생들이 인지와 발화사전시험, 훈련, 사후시험에 참가하였다. 전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인지와 발화의 정확도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사전시험: 인지 59.4% vs. 발화 55.3%; 사후시험: 인지 69.2% vs. 발화 71.2%). 그러므로 언어습득에서 들어야 발음한다는 선행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i〉가 [aɪ]로 실현되는 경우에는 인지를 잘하면 발화도 잘하는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ɪ]로 실현되는 경우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모음에 따라서 인지와 발화가 밀접하게 연관된 경우도 있으나 인지와 발화가 서로 관련 없이 독립적으로 발달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류유형을 살펴보면, 〈i〉가 [ɪ]로 실현되는 경우에서 참여자들은 한국어 [이]와 비슷한 영어 [i:]로 대치하는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다. 〈i〉가 [aɪ]로 실현되는 경우에는 영어 긴장모음 [i:] 또는 이완모음 [ɪ]로 대치되는 사례가 흔했는데, 이는 영어철자 〈i〉를 영어모음 [i:] 또는 [ɪ]로 연관시키는 철자발음을 나타낸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으로 의미하는 점들을 언급하였다. The aim of the paper is to examine how Korean EFL students perceive and produce English grapheme 〈i〉 and further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i〉. Thirty-one Korean EFL students participated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pretests, training, and posttests.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accuracy across the tests (pretest: perception 59.4% vs. production 55.3%; posttest: perception 69.2% vs. production 71.2%), which indicates no precedence 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Als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was found only for the target vowel [aɪ] but not for the target vowel [ɪ]. Thus, Korean EFL students’ good perception capabilities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eir good production capabilities, and vice versa. Therefore, perception and production capabilities seem to be developing independently depending on targets. As for error patterns, the replacement of the target [ɪ] with tense vowel [i:] was most prominent because tense [i:] is the most similar to Korean [i]. Also, the target [aɪ] was sometimes substituted by tense [i:] or by lax [ɪ], thus indicating spelling pronunciation that associates English grapheme 〈i〉 with [i:] or [ɪ].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further discussed.

      • 한국 학생들의 영어 겹자음 철자 인지와 발화

        초미희(Cho Mi-Hui)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7 No.1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점 중의 하나는 한국어에서는 똑같은 자음이 앞 음절의 종성과 뒤 음절의 초성으로 나와서 겹자음이 될 수 있으나 영어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영어를 배우는 한국 학생들은 영어에서 summer와 같이 겹자음 철자를 포함하는 단어들을 발음할 때 철자의 겹자음을 모두 발음하는 오류를 흔히 보인다. 따라서 본 예비 연구에서는 한국 학생들이 영어 겹자음 철자를 어떻게 발음할 뿐 만 아니라 인지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영어 겹자음과 단자음의 유사 최소변별쌍으로 구성된 36개의 실제어를 20명의 대학생이 듣고 발음하는 인지와 발화 실험을 실행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 학생들은 단자음 철자를 인지하거나 발화할 때는 각각 78.6%와 76.1%의 비교적 높은 정확율을 보이는 반면에 겹자음 철자을 인지하거나 발화할 때는 각각 55.3%와 61.7%의 낮은 정확율을 보임으로써, 영어 겹자음 철자를 더 길게 인지하고 또한 더 길게 발음하는 오류를 보였다. 또한 한국학생들의 발화를 스펙트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함으로써 영어 단자음 철자보다는 겹자음 철자에서 더 많은 발화오류를 일으키는 것도 보여주었다. While Korean allows the same consonants at the coda of the preceding syllable and at the onset of the following syllable, English does not allow the geminate consonant in the same position. Due to this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Korean learners of English tend to incorrectly produce geminate consonants for English geminate graphemes as in summer. Based on this observation, a pilo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Korean learners of English perceive and produce English doubleton graphemes and singleton graphemes. Twenty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perform a forced-choice perception test as well as a production test for the 36 real word stimuli which consist of near minimal pairs of singleton and doubleton graphem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accuracy rates for the word with singleton graphemes were relatively high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78.6% and 76.1%, respectively), while those for the word with doubleton graphemes were low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55.3% and 61.7%, respectively). Also, spectrographic analyses were provided where more production errors were witnessed in doubleton grapheme words than singleton grapheme words.

      • Identification of English labial consonants by Korean EFL learners

        초미희(Cho Mi-Hui)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2

        기존의 유표성 이론에 따르면, 마찰음이 파열음보다 유표적이므로 발음하기 어렵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EFL 학습자들이 발음하기 어려운 마찰음 [f, v]를 어떻게 인지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영어 순자음 [p, b, f, v]를 판별하는 실험을 기획하였다. 40명의 한국 학생들이 영어 순자음이 들어간 임시어를 인지하는 테스트를 실행한 결과, 순자음의 운율적 위치가 인지 정확도를 결정짓는데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고 특히 유표성 이론의 예상과 달리 무성 마찰음 [f]의 정확도가 비강세 모음사이의 위치를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높게 나왔다. 영어 순자음의 평균인지 정확도는 강세 모음사이와 어두 초성에서 높은 반면에 어말 종성과 비강세 모음사이에서는 낮았다 The perception of English labial consonants was investigated via experiment where 40 Korean EFL learners identified nonwords with the target labial consonants [p, b, f, v] in 4 different prosodic loc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rong positional effect since the accuracy rates of the four target consonants differed by position. Specifically, the average accuracy rate for the target consonants was higher in the stressed intervocalic position and initial onset position than in the unstressed intervocalic position and final coda position. Further, the accuracy rate for [f] is was high in all prosodic locations except the unstressed intervocalic position. This is unexpected in markedness theory given that fricatives are assumed to be more difficult to learn than stops.

      • KCI등재

        한국 학생들의 영어 철자 <a> 인지와 발화

        초미희(Mi-Hui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2

        영어 철자 <a>는 5 가지의 영어 모음 [?, e?, æ, ?, ?]로 실현되는데,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한국 학생들이 영어 철자 <a>를 어떻게 인지하고 발음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31명의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철자<a>를 포함한 28개의 영어 단어들에 대하여 인지 테스트와 발화 테스트를 사전과 사후로 나눠서 실시하였다. 전체적인 결과에서는 사전과 사후에서 모두 발화의 정확도가 인지보다 조금 높았으며 상승의 정도도 발화가 조금 높게 나왔다. 인지에서는 목표 모음이 [?]와 [e?]인 경우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발화에서는 목표 모음이 [?]와 [?]인 경우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목표 모음이 비강세 모음 [?]인 경우에는 발화와 인지에서 모두 정확도가 가장 낮아서 테스트 참여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모음으로 밝혀졌다. 인지와 발화에서 모두 사전 정확도보다 사후 정확도가 유의하게 상승되어 훈련의 효과를 보인 모음은 [e?]와 [æ]이었으며, [?]는 유의 수준을 약간 초과하여 향상되었다. 반면에 [?]의 사후 정확도는 사전보다 의미 있게 높아지지 않았고, [?]의 경우 사후 인지 정확도는 사전보다 크게 높아지지 않았으나 사후 발화 정확도는 사전보다 유의하게 상승되어서 인지보다는 발화에서 훈련의 효과를 보여 주었다. 철자 <a>와 관련된 영어 모음의 우세한 오류 패턴은 인지와 발화에서 모두 목표 모음이 [æ], [?], 또는 [e?]로 대치되는 것으로, 철자 <a>가 [?]로 표준화되어 나타나는 철자의 영향 이외에도 [æ]와 [e?]로도 인지하고 발화하는 오류를 흔히 일으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인 함축점도 논의하였다. Motivated by the fact that English grapheme <a> is realized as 5 different English vowels [?, e?, æ, ?, ?],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Korean students perceive and produce English grapheme <a> in words. To this end, 31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tests on 28 English words containing grapheme <a>. Overall, the participants performed better on production than perception both in the pretest and posttest. Also, the accuracy of perception and production was improved in the posttest. While the accuracy rates of [?] and [e?] were among highest in the perception test, those of [?] and [?] were in the production test. By contrast, the accuracy of unstressed [?] was worst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As for the training effect, [e?] and [æ]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In addition, the perception and the production of [?] were improved at the .051-4 significance level. However, the accuracies of [?] improved significantly neither in perception nor in production. In the case of [?], the production abil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whereas the perception ability was not. The prominent error patterns of <a> were the replacement of the target vowels with [æ], [?], or [e?]. The influence of orthography was attested through the persistent occurrence of [?]. Finally,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영어 후방 장애음의 인지와 발화 관계

        초미희(Mi-Hui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1

        한국 학생들이 영어 후방 장애음 [k, g, ?, ?, t?, d?]를 어떻게 듣고 발음하며 또한 영어 후방 장애음의 인지와 발화의 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기 위해서 42명의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지와 발화 실험을 실행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 학생들은 초성, 종성, 강세 앞 모음 사이, 강세 뒤 모음 사이의 모든 운율 위치에서 일관되게 영어 후방 장애음을 발음하는 것보다 듣고 판별하는데 더욱 어려움을 가졌는데, 이는 들어야 발음한다는 전통적인 견해와는 상반된 결과이다. 그러나 모든 영어 후방 장애음의 습득에서 발화 능력이 인지 능력을 앞서는 것은 아니며 인지와 발화 패턴은 각 자음별로 다르며 또한 운율 위치별로도 차이가 있었다. 초성 위치에서는 영어 자음 [k], [?], [?], 종성에서는 [k], [?], [?], [?]의 인지 정확도가 발화 정확도보다 낮았다. 강세앞 모음 사이에는 [k]와 [?], 강세 뒤 모음 사이에서는 [k], [g], [?], [?], [?]의 인지 정확도가 발화 정확도보다 낮았다. 특히 유성 마찰음 [?]와 유성 파찰음 [?]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운율 위치에서 인지 정확도가 발화 정확도보다 유의하게 낮을 뿐 만 아니라 발화 정확도도 60%대인 점을 고려할 때 한국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영어 후방 장애음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Korean learners of English perceive and produce English posterior obstruents [k, g, ?, ?, t?, d?] and furth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the English target consonants. For this purpose, 19 male and 23 female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ived and produced English nonce words containing the English posterior obstruents occurring in 4 different prosodic locations (CV, VC, VCVV, VVCV). Overall, the students had more difficulty perceiving than producing the target consonants across prosodic position. This result rums counter to the traditional assumption that perception precedes production. However, the precedence of production over perception varied depending on individual consonants and prosodic position.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had more difficulty perceiving than producing [k], [?], and [?] in initial onset position while [k], [?], [?], and [?] in final coda position. Likewise, [k] and [?] were harder to perceive than to produce in intervocalic position before stress while [k], [g], [?], [?], and [?] were in intervocalic position after stress. In addition, [?] and [?] were the targets the participants had most difficulty both perceiving and producing across prosodic posi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미국영어 모음의 발화와 인지

        초미희(Mi-Hui Ch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모국어 습득과 달리 제2언어 또는 외국어 습득 분야에서는 발화와 인지의 관계가 연구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한국 EFL 대학생들의 영어 모음의 발화와 인지 테스트의 사례연구를 통해서 인지와 발화의 관계를 심도 있게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19명의 수도권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국영어 모음에 대한 발화와 인지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서 발화와 인지의 선행관계와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미국영어 모음에 대한 발화와 인지의 선행관계는 전체 모음의 결과에서 발화와 인지 정확도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인지 선행론이나 발화 선행론에 대한 증거가 되지 못했다. 개별 모음에서는 [ɛ], [ɑ], [ɔ], [u] 모음들의 발화와 인지 정확도 차이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모음들의 발화와 인지 정확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므로 발화와 인지의 선행 관계는 모음에 따라서 다르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미국영어 모음에 대한 발화와 인지 사이의 상관관계는 전체 모음 뿐 만 아니라 개별 모음들에서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 정확도가 높다고 해서 발화 정확도가 높거나, 거꾸로 발화 정확도가 높다고 해서 인지 정확도가 높을 만큼의 발화와 인지 사이에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다. 언어습득은 인지와 발화를 통합하는 과정이고, Flege와 동료들이 보고한 것처럼 L2 경험이 많을수록 발화와 인지 능력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발전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영어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EFL 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는 발화와 인지 사이의 상관관계는 언어습득 단계에 따라서 발화와 인지가 서로 연결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교육현장에 접목하는 시도가 있었다. Motivated by the mixed results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in depth through a case study on how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produce and perceive American English vowels. To this end, 19 Korean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Seoul-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tests on American English vowels to elucidate the precedence relationship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Results showed that precedence of neither perception nor production was found in the overall result. However, either precedence of perception or production was found for the vowels [ɛ], [ɑ], [ɔ], [u], which implies that the precedenc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varies depending on individual vowels.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no correlation was attested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suggesting that production and perception skills are not closely linked for these participants. Given that mastering language requires to coordinate two distinct production and perception skills and that L2 learners preception and production skills become more closely connected as the learners L2 experience and proficiency increases, no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attested by the current EFL students implie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varies during the course of foreign language/L2 acquisition in such a way that production and perception skills become increasingly relate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further discussed and pedagogical sugges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Repair strategies of English biconsonantal coda clusters : an Optimality - theoretic account in conjunction with P-map

        초미희(Mi-Hui Cho),이신숙(Shinsook Lee) 한국음운론학회 2005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Vol.11 No.2

        Motivated by the fact that simplification strategies in resolving English complex clusters by second (foreign) language learners differ depending on studi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pair strategies employed by Korean speakers of English in the acquisition of English biconsonantal coda clusters. To this end, the paper examines the possible full range of coda cluster sequences in English. The results show that simplification strategies such as inserting a vowel or deleting a consonant are influenced by the subgrouping of the cluster sequences: obstruent only sequences, sonorant-plus-obstruent sequences, and sonorant only sequences. Based on the different results from each subgroup, the paper provides a constraint-based analysis in conjunction with P-map. Specifically, it is shown that universal markedness, P-map effects, and language transfer effects interact with one another. That is, Complex leads to vowel epenthesis or consonant deletio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P-map constraints and constraints from the native language transfer determines a vowel insertion site, whereas universal feature-specific faithfulness constraints decide which consonant deletes. Likewise, the alternative ranking between the P-map constraint Max(C₂) and Contiguity determines the survival of one consonant over the other in sonorant only coda sequ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