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자안전사고 정보매체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인식,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천의영(Eui Young Cheon),유장학(Jang Hak Yoo),김해진(Haeji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매체를 통한 환자안전사고 노출 정도와 학생들의 환자안전관련 지식, 인식, 수행자신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일개 여대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 서면동의 서를 작성한 학생 348명 중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337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6월 4일에서 1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은 평균 6.43점, 인식은 평균 41.02점, 수행자신감은 평균 39.61점이었으며 TV와 인터넷 매체를 통해 환자안전사고에 노출된 정도는 각 1.25점과 1.35점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 지식은 연령, 학년, 환자안전 교육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환자안전 인식은 전공만족도에 따라,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은 학년, 환자안전 교육 경험, 전공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V를 통한 환자안전사고 정보매체의 노출 정도는 지식(r=.32, p<.000), 수행자신감(r=.21, p<.000)과, 인터넷을 통한 정보매체의 노출 정도는 지식(r=.34, p<.000), 인식(r=.12, p=.028), 수행자신감(r=.24, p<.000)과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실습 전부터 학생들에게 환자안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할 뿐 아니라 정보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환자안전사고와 같은 이슈에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는 환자안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추후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information media about patient safety incidents influences nursing students" knowledge, perception,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toward patient safety. A total of 337 nursing students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between June 4 and June 12,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PSS 21.0. Participants" scores for knowledge, perception, and performance confidence toward patient safety were 6.43±1.92, 41.02±4.35, and 39.61±5.89, respectively. Patient safety knowledg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grade, and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Patient safety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the major, patient safety performance confid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major satisfaction. Information media exposure to patient safety incidents on TV and knowledge (r=.32, p<.000) and performance confidence (r=.21, p<.000) toward patient safety had positive correlations. Information media exposure to patient safety incidents on the internet and knowledge (r=.34, p<.000), perception (r=.12, p=.028), and performance confidence (r=.24, p<.000) toward patient safety also had positive correlation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nursing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 KCI등재

        LED손세정검사기를 활용한 손씻기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건강신념, 내적 건강통제위 및 손씻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천의영(Cheon Eui Young),김해진(Kim Haejin),김은경(Kim Eu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LED손세정검사기를 활용한 손씻기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건강신념, 내적 건강통제위 및 손씻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 대학 간호학과에서 2020년 2학기 기본간호학 교과목을 수강하는 1학년 학생으로 실험군 21명, 대조군 3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손씻기 교육은 활력징후 측정의 사례 기반과 LED손세정검사기를 활용한 시각적 교육으로 제공되었으며 자료수집은 2020년 11월 1일부터 11월 27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chi-test 또는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LED손세정검사기를 활용한 손씻기 교육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건강신념(t=2.581, p=.013)과 손씻기 수행(t=2.164, p=.035)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신념의 하위 요인으로는 지각된 유익성(t=2.207, p=.032), 지각된 장애성(t=2.863, p=.006), 수행동기(t=2.425, p=.019)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적용된 사례 기반 실습과 LED손세정검사기를 활용한 손씻기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손씻기 수행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간호실습교육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handwashing education using LED Handwashing Inspector on health belie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andwashing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57 1st students in a nursing school, who took fundamentals of nursing, participated in the study. Handwashing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lecture, case-based practice and LED Handwashing Inspector for handwashing train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health belief(t=2.581, p=.013) and handwashing performance(t=2.164, p=.03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mong the subarea of health belie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benefit(t=2.207, p=.032), perceived disability(t=2.863, p=.006) and performance motivation(t=2.425, p=.019). This study indicate that handwashing education using LED Handwashing Inspector was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handwashing performance. Therefore, the handwashing education using case-based practice and LED Handwashing Inspector for handwashing training can be utilized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유치도뇨 동영상 촬영을 이용한 토의식 동료평가 학습의 효과

        천의영(Cheon, Eui-Young) 한국간호교육학회 2013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 feedback on nursing students using videos filmed during the catheterization procedure. Method: The study was a structured nonequivalent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was filmed performing foley catheterization. After the procedure, the group video review followed and peer feedback was provided.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mean score in learning motivation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differences in learning attitude and self efficac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video-aided peer feedback was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psychomotor skill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인식, 연명치료 및 사전의료의향서 지식이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천의영(Cheon Eui Young),김은경(Kim Eun Kyung),김해진(Kim Ha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인식, 연명치료지식 및 사전의료의향서 지식이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45명을 대상으로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 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7월 17일부터 9월 17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명의료윤리 의식(β=-.443, p<.001)과 종교(β=.196, p<.014)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17.5%였다(F=8.617, p<.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합리적인 인식을 제고하고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를 정립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vels of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perception to good death, knowledge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o examine relationship among them, and then to investigate predictors affecting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145 students at the college of nursing in Gyeonggi-do.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July 17 to September 17 in 2021.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PSS ver. 19.0. Result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related negatively among variables.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religion were influential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ose factors explained 17.5%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nursing students. Conclusion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more study will be need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for reinforcing a positive death attitude an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nursing students.

      • KCI등재

        간호학 실습교육에서 가상현실(VR) 프로그램을 활용한 국내 연구 현황 분석

        김은경(Eun Kyung Kim), 천의영(Eui Young Cheon), 김해진(Haeji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는 간호 실습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상현실(VR)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 현황과 효과를 확인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문헌검색은 국내 6개의 데이터베이스(한국교육학술정보원, DPpia, KISS, KMbase, NDSL, 학술논문검색서비스 e-article)에서 이루어졌다. 논문이 발표된 시기는 제한하지 않았으며 연구대상이 되는 주요어인 가상현실(VR), 간호를 통해 검색된 논문 248편 중에서 선정기준에 적합한 25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25편의 문헌 중 24편은 2020년 이후 출간되었으며,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가 13편,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가 10편,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 1편, 무작위 대조군 전후 설계가 1편이었다. VR 프로그램 교육내용은 실습교과목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하였으며, VR 프로그램 적용 효과는 자기효능감, 임상간호술 수행능력, 수행자신감,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능력, 지식 상승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실습교육에서 가상현실 교육 현황 및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VR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 비대면 교육이 확장되었고 포스트 코로나 이후에도 제한된 실습교육 환경의 대안적 교수법으로 정착될 수 있다. 그러나 무작위 대조군 설계의 연구, 국내 간호교육 상황에 맞는 VR 프로그램 개발 등 높은 수준의 근거기반 교육 중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onfirm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s of Korean research on virtual reality (VR)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s We searched the KERIS, DBpia, KISS, KMbase, NDSL and e-search databases using key words regardless of the period of publication. Among 248 searched papers, we selected 25 papers after excluding literature that does not satisfy the selection criteria. Results Of 25 papers, 24 have been published since 2020. There were 13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10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1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1 randomized control-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VR education program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practical subject, and the effect of VR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some effect on self-efficacy, clinical nursing performance, performance confidence, critical thingk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knowledge increase. Conclusions This study comprehensively confirmed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iveness of VR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Non-face-to-face education using VR education programs has been expanded due to COVID-19, and it can be settled as an alternative teaching method in a limited practical education environment even after post-COVID-19. However, efforts are needed for high-quality evidence-based educational interventions, such as research on a randomized control group design and development of a VR program suitable for the Korean nursing education situat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자기조절력, 스마트폰 의존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유장학(Jang Hak Yoo),천의영(Eui Young Cheon),김해진(Haeji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공감능력, 자기조절력, 스마트폰 의존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자료는 A시 S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5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5월 27일에서 5월 31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적에 따라 자기조절력(F=5.319, p =.006)과 스마트폰 의존성(F=4.854, p =.009)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라 스마트폰 의존성(t=-3.381, p <.001) 차이가 있었다. 연령은 자기조절력과 순상관관계(r=.194, p =.015)를, 스마트폰 의존성과는 역상관관계(r=-.223, p=.005)를 보였다. 또한 자기조절력은 공감능력(r=.244, p <.01)과 대인관계(r=.540, p <.001)와는 순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스마트폰 의존성(r=-.432, p <.001)과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는 순상관관계(r=.476, p <.001)에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조절력(β=.477, p <.001), 공감능력(β=.359, p <.001), 스마트폰 사용시간(β=.208, p <.01)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45.0%(F=12.029, p <.01)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를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에서는 자기조절력, 공감능력,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mpathy, self-control, and smartphone dependency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nursing students.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157 students in A cit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were obtained from May 27 2019 to May 31 2019.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SPSS 14.0 program. As a result, self-control (F=5.319, p=.006) and smartphone dependency (F=4.854, p=.009)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chool records. Smartphone dependency (t=-3.381,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martphone use. Ag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ntrol (r=.194, p=.015) and i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martphone dependency (r=-.223, p=.005). Self-control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empathy (r=.244, p<.01), interpersonal relationship (r=.540, p<.001).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martphone dependency (r=-.432, p<.001). Empath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476, p<.001).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edi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self-control (β=.477, p<.001), empathy (β=.359, p<.001), and smartphone use (β=.208, p<.01) which accounted for 45.0% of all the variance (F=12.029 p<.01). An enhancement program of nursing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needed that considers their self-control, empathy, and smartphone use.

      • KCI등재

        기본간호학실습에서 학습성과 평가도구의 적용 사례: 의사소통능력 평가를 중심으로

        김해진(Haejin Kim),천의영(Eui Young Cheon),김은경(Eun Ky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시 의사소통능력 평가에 사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구성하고 적용 결과를 기술한 사례연구이다. 문헌고찰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의사소통능력 평가도구를 구성하였고, 2019년 10월부터 11월까지 일 대학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을 수강 중인 94명을 대상으로 적용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시 평가되어야 할 의사소통능력 항목으로 5가지 요인(자기 소개, 눈맞춤, 정서적 지지, 정보제공, 치료적 접촉)이 도출되었으며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기본간호술 수행 시 평가된 의사소통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96점으로 나타났다. 루브릭에 따른 학습성과 달성도는 전체 학생의 95.8%가 ‘중’ 이상에 도달하여 목표 성취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졸업 시 역량으로 핵심기본간호술과 의사소통능력이 요구되는 현실에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과정에서 사용 가능한 의사소통능력 평가도구를 구성하고 적용하여 학습성과 달성도를 확인함으로써 학습성과 평가과정을 개선하고 체계적인 평가 체계를 구성하는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는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의사소통능력 평가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확보를 위한 연구, 다양한 평가도구와의 비교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This is the report of a case study to describe the results of applying an evaluation tool for communication ability when performing core basic nursing skills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The communication ability evaluation tool was construc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advice. The tool was applied to test 94 students who were taking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s from October to November 2019. As a result, five factors (self-introduction, eye contac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provision, and therapeutic touch) were derived as evaluable items of communication ability to be evaluated when performing core basic nursing skill, and were evaluated when performing core basic nursing skills to measure vital signs. The average communication ability was 3.96 out of 5 points. According to the rubric, 95.8% of all students attained "medium" and reached their goal achievement lev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providing an important basi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utcome evaluation process and for constructing a systematic evaluation system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um. Further studies to sec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communication ability evaluation tool and comparative studies with various evaluation tools are suggested.

      • KCI등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위험지각과 예방적 건강행위와의 관련성 연구

        김해진(Haejin Kim),천의영(Eui Young Cheon),유장학(Jang Hak Y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지식 및 위험지각과 예방적 건강행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A시 S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2020년 8월 1일에서 8월 20일까지 설문조사하였고,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 나이, 주관적 성적수준에 따라 지식 차이가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 위험지각 차이가 나타났으며, 나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라 예방적 건강행위 차이가 나타났다. 예방적 건강행위는 지식, 위험지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예방적 건강행위에 미치는 요인은 나이(β=.188, p <.01), 주관적 건강수준(β=-.245, p <.001), 지식(β=.254, p <.001), 위험지각(β=.191, p <.001), 총 설명력은 18.9%(F=17.904, p <.001)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예방적 건강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나이, 주관적 건강수준, 지식, 위험지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간호대학생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고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of coronavirus disease-2019 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291 students in A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between August 1 and 20,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 SPSS ver. 18.0. Knowledge of COVID-19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age and school records. Risk perceptions were significantly dependent on educational grades. Age, health status,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which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ge significantly predicted preventive health behavior (β=.188, p<.01), health status (β=-.245, p<.001), knowledge (β=.254, p<.001), and risk perception (β=.191, p<.001) that it accounted for 18.9% (F=17.904, p<.001) of the variance. An educational program is required to enhance the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in a background of COVID-2019 that considers student age, health level, knowledge, and perception of risk.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김종근(Kim, Jong Gun),오수민(Oh, Su-Min),천의영(Cheon, Eui Young),유장학(Yoo, Jang Ha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생명의료윤리의식, 삶의 질, 죽음태도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경기도 소재 4년제 간호대학의 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구조 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죽음태도,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죽음 태도 간에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β=.25)과 생명의료 윤리의식(β=.11)으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21.2%였다(F=10.4, p<.001).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에 영향 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고 긍정적인 죽음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the quality of life and death attitude, as well a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ath attitude among 130 nursing students in colleg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14.0 Program.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self-esteem and death attitude, between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the death attitude. The predictors for the death attitude were self-esteem (β=.25) and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β=.11). The model explained 21.2% (F=10.4, p<.001) of the varianc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more study will be need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ath attitude an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for reinforcing a positive death attitude among college nursi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