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큐브 구조 컴퓨터상에서의 Join 연산을 위한 병렬 알고리즘

        천용석(Yong Seok Cheon),김양희(Yang Hee Kim),정창성(Chang Sung Jung) 한국정보과학회 199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모델에서 join 연산은 가장 cost가 많이 드는 연산인 동시에 가장 중요한 연산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join 연산의 고속 계산을 위한 병렬화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sort-merge 기법의 sort와 hashing 기법의 bucket 개념을 동시에 이용하여 하나의 튜플이 하나의 PE에 대응되는 SIMD 형태의 큐브구조 컴퓨터 상에서 효율적인 데이타 전송을 통해 N과 Rmax가 각각 튜플들의 갯수와 튜플 전체를 join하기 위한 반복 횟수라 할 때, O(log² N)+O(Rmax · log N)의 시간 복잡도를 갖는 병렬 join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O(log N)의 전처리 과정을 통해 더욱 향상된 성능을 실험 결과를 통해 보인다.

      • KCI등재

        옥외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검증과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도로변 야립광고를 중심으로

        천용석(Yong Seok, Cheon) 한국OOH광고학회 2020 OOH광고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옥외광고 중 도로변 야립광고에 대한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확인하고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도로변 야립광고는 정부가 국제행사 등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하는 특수한 목적의 옥외광고이며,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광고물의 규격과 형태 그리고 설치장소 및 방법 등이 정형화 되어있어 다른 옥외광고에 비해서 광고효과의 측정이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 따라 도로변 야립광고의 효과를 측정하는 지표(주목률)를 개발하고 이를 예측하기 위한 영향 변인들에 대해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도로변 야립광고의 주목률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 광고시안 특성 중 광고형태, 디자인, 텍스트크기가 포함되었으며, 물리적 특성 중 주행속도, 시야혼잡도, 가시거리, 이격거리, 설치높이, 설치위치가 포함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광고형태는 복합형일수록, 디자인은 이미지형일수록, 텍스트크기는 작을수록, 주행속도는 원활할수록, 시야혼잡도는 한산할수록, 가시거리는 짧을수록, 이격거리는 가까울수록, 설치높이는 낮을수록, 설치위치는 우측일수록 주목률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주목률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차량 탑승자의 역할(운전자/동승자)에 따라 주목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서도 검증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되었던 옥외광고 효과 관련 변인들을 최종 정리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옥외광고의 효과와 관련된 연구에 밑거름이 될 수 있으며,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과학적인 옥외광고 효과측정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효과측정이 가능한 기반을 조성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verify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advertising effect of roadside billboard advertising. Roadside billboard advertising is an outdoor advertisement operated by the government to support international events, etc., and the size, form, installation location, and method of advertisements are standardized in accordance with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OUTDOOR ADVERTISEMENTS, ETC. AND PROMOTION OF OUTDOOR ADVERTISEMENT INDUSTRY, making it easier to measure the effects of advertising compared to other outdoor advertisements. In this study, we wanted to develop indicators(maintenance rates) that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outdoor advertisements for fund-raising and to verify the influencing variables for predicting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attention rate of roadside billboard advertisements included advertising form, design, and text size, and amo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included driving speed, visual congestion, viewing distance, separation distance, installation height, and installation location. Specifically, the more complex the advertising form, the smaller the design, the smoother the text, the less the traffic speed, the less the visibility, the closer the distance, the lower the height of the installation, and the right side of the installation, the higher the attention. Through this, a prediction model was established to predict the rate of attention. We also verified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attention rate according to the role of the vehicle occupants (driver/passenger). This study may be meaningful in that it has finally organized variables related to outdoor advertising effects, which have been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and that it has created a foundation for objective and efficient effect measurement by presenting scientific outdoor advertising effectiveness measurement methods from an industrial perspective.

      • KCI등재

        글로벌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이 브랜드 인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본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천용석(Yong Seok Cheon),전종우(Jong Woo J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광고연구 Vol.0 No.92

        본 연구는 국내 로컬 브랜드가 국제광고를 통해서 글로벌 브랜드로 포지셔닝 전략을 구사할 경우, 이러한 마케팅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연구의 조사대상이 그 브랜드가 진출하는 해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 본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연구 결과, 국제광고를 통한 브랜드의 글로벌 포지셔닝 전략은 브랜드 본국의 소비자들에게 있어서 그 브랜드를 더욱 글로벌한 브랜드로 인식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 브랜드 명성 그리고 구매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벌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이 브랜드 본국 소비자의 글로벌 소비자문화 수용성과 소비자 자민족 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글로벌 소비자문화 수용성 중 소비트렌드 동조와 품질지각 차원이 포지셔닝 전략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 역시 이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실무적인 관점에서 볼 때, 기업이 자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사의 브랜드가 해외에 진출했다는 정보의 전달을 통해서 브랜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브랜드 자산을 높이는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global brand strategies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illustrated that perceived brand globalness influenced perceived quality, brand reputation, and purchase intentions. Susceptibility to global consumer culture partially affected perceived quality, brand reputation, and purchase intentions. Also, it is found that the global brand positioning strategy and susceptibility to global consumer culture showed interaction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s. In addition, consumer the global brand positioning strategy and ethnocentrism showed limited interaction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meaningful implications to global advertising strategies. The main point is that global advertising could be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tools even for domestic consumers` brand globalness perceptions.

      • KCI등재후보

        SNS를 활용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효과요인

        전종우(Jong Woo Jun),천용석(Yong Seok Cheon),고헌(Heon Ko) 한국OOH광고학회 2014 OOH광고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최근 모바일 뉴미디어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는 SNS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서의 효과요인을 알아본 것이다. SNS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지수화 한 SNS 이용지수와 이용자의 심리변인들을 통해 기업/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 모델화하였다. 연구 결과 SNS 이용지수를 비롯한 자기표현성과 사회집단형성 변인은 매개변인인 이용자의 SNS 만족감을 통해 기업/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소비자 혁신성 변인은 매개변인인 브랜드집단형성을 통해 기업/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새로운 미디어 형식으로 충분한 학문적 연구가 되어있지 않은 SNS에 대해서 소비자와 기업/브랜드를 연결하는 종합적인 설명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학문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소비자 타깃팅 관점에서 SNS 이용자를 이용행태와 심리변인을 통해 세분화하여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에 있어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plored strategic roles of SNS which drawing attentions as novel marketing communication media. We tried to find how SNS index and some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 consumer attitudes toward companies or advertised brands. The results we found are that SNS index, Selfpresentation and Social Group Formation positively affected attitudes toward companies or brands mediated by SNS Satisfaction. We also found that Consumer Innovativeness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 companies or brands mediated by Brand Group Formation. Those results could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that suggest the comprehensive model describing hierarchy of variables. At the same time, those results could provide managerial implications of consumer segmentation to maximize strategic effectiveness of SNS marketing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이벤트 프로모션에 있어 내레이터 모델의 평가 요인과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종우(Jong-Woo Jun),천용석(Yong-Seok Cheon) 한국옥외광고학회 2009 OOH광고학연구 Vol.6 No.4

        본 연구는 이벤트 프로모션 현장에서 활용되는 내레이터 모델에 대한 평가 요인을 알아보고 그러한 평가 요인이 모델에 대한 태도와 프로모션 브랜드에 미치는 결과적인 영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제기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 형식의 연구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참여자들을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이벤트 프로모션 사진을 제시한 후 응답자들에게 설문에 답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내레이터 모델의 평가 요인으로 신체적 매력, 제품 매치, 전문성, 신뢰성, 개인적 성격,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의 여섯 가지가 발견 되었다. 이러한 평가 요인은 내레이터 모델에 대한 태도와 프로모션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별은 그러한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남성 응답자의 경우 신체적인 매력과 모델의 성격이 모델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반면 여성 응답자의 경우 내레이터 모델과 제품과의 매치와 모델의 성격이 모델 평가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발견점은 학자와 실무자 모두에게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먼저 광고주들이 이벤트 프로모션을 계획하고 실행할 때 본 연구에서 밝힌 내레이터 모델 평가 요인을 모델 선정에 있어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표적 소비자의 성별에 따라 상이한 스타일의 내레이터 모델을 기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This study explores evaluation elements of narrator models, and also investigates consequent impacts on attitudes toward narrator models and promotion brands. To solve proposed research questions, experiment settings are adopted. Dividing respondents into three groups, pictures of event promotions were provided, and then participants answered the questions. As results of this study, six factors of physical attractiveness, product fit, professional images, credibility,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skill emerged as evaluations elements of narrator models. These factors influenced both attitudes toward narrator models and attitudes toward promotion brands. It is also found that gender is a significant variable moderating relationships. For male respondents, physical attractivenes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elements when they evaluate narrator models. However, for female respondents, product fi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play evaluative roles on narrator mode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couple of managerial implications to both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The evaluation elements found in this study can be used when advertisers plan to execute event promotions, and to select adequate narrator models. Also, it is needed to use different styles of narrator models according to target consumers' gender.

      • 해외 빌보드 광고가 국내 소비자의 브랜드 글로벌성 인식과 브랜드 판단에 미치는 영향

        전종우(Jong Woo Jun),천용석(Yong Seok Cheon) 한국OOH광고학회 2012 한국OOH광고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6

        본 연구는 해외에서 집행되는 빌보드 광고가 소비자의 브랜드 글로벌성 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본 연구이다. 연구의 기본적인 전제는 해외에서 집행되는 국내 브랜드의 글로벌 광고가 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브랜드의 글로벌성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통해 추출한 각각의 가설관계를 종합적으로 모델화시켜 검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글로벌 소비자문화 수용성과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는 소비자 관여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소비자 관여도는 브랜드 글로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벌 소비자문화 수용성은 브랜드 글로벌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브랜드 글로벌성은 궁극적으로 국내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 명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이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 광고에 있어 학문적인 시사점은 물론 국제 광고를 담당하는 실무자에게도 기존 국제 광고 효과와는 차별화된 국내 소비자의 시각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plores effects of global billboard advertising on consumers’ brand globalness perceptions. The main proposition is that global advertising could affect domestic consumers’ perceived brand global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at susceptibility to global consumer culture and consumer ethnocentrism influenced involvements, and involvements affected perceived brand globalness. In addition, susceptibility to global consumer culture is directly linked to perceived brand globalness which in turn leads to both perceived quality and bran reputation. It means that the proposed model is confirmed, and provides a couple of insightful implications to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regarding global advertising.

      • KCI등재

        3D 콘텐츠의 이용동기와 3D 크리에이티브 광고 효과와의 관계

        전종우(Jong Woo Jun),천용석(Yong Seok Che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91

        본 연구는 전통적인 미디어 이론 중 이용과 충족 접근을 활용하여 3D 콘텐츠 소비에 있어서의 소비자 동기를 알아보고 3D 형식의 크리에이티브를 활용한 광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동기 요인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 3D 콘텐츠의 소비자 이용동기로 오락/감각적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동반자역, 호기심, 긴장해소, 시간보내기, 현실도피 등 7가지를 찾았다. 이러한 7가지 이용동기 중 오락/감각적 만족, 동반자역, 현실도피가 사용자의 몰입과 관련한 프레즌스에 영향을 미쳤다. 3D 형식의 크리에이티브 광고와 관련하여서는 오락/감각적 만족만이 3D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은 오락/감각적 만족, 긴장해소 두 가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본 연구가 지닌 몇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인 측면은 물론 3D 형식의 광고 제작과 관련한 실무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Us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this study investigates viewers` motivation factors of 3D content uses and its consequences from an advertising perspective. This study found seven uses and gratifications factors of 3D content: entertainment/sensory satisfactions, social interactions, companionships, curiosity, relaxation, killing time, and escapism. Another finding of this study shows that presence is influenced by entertainment/sensory satisfaction, companionship, and escapism. Only entertainment/Sensory satisfaction affected attitudes toward both advertising and brand. Purchase intentions are influenced by entertainment/sensory satisfaction and relaxation.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t the end of this paper.

      • KCI등재

        해외 빌보드 광고가 국내 소비자의 브랜드 글로벌성 인식과 브랜드 판단에 미치는 영향

        전종우(Jong Woo Jun),천용석(Yong Seok Cheon),이서용(Seo Yong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3 언론과 사회 Vol.21 No.4

        본 연구는 해외에서 집행되는 빌보드 광고가 소비자의 브랜드 글로벌성 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본 연구다. 연구의 기본적인 전제는 해외에서 집행되는 국내 브랜드의 글로벌 광고가 해외 소비자뿐만 아니라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브랜드의 글로벌성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통해 추출한 각각의 가설관계를 종합적으로 모델화시켜 검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글로벌 소비자문화 수용성과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는 소비자 관여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소비자 관여도는 지각된 브랜드 글로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벌 소비자문화 수용성은 지각된 브랜드 글로벌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브랜드 글로벌성은 궁극적으로 국내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 명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 광고에 있어 학문적인 시사점은 물론 국제 광고를 담당하는 실무자에게도 기존 국제 광고 효과와는 차별화된 국내 소비자의 시각에서의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plores effects of global billboard advertising on consumers" brand globalness perceptions. The main proposition is that global advertising could affect domestic consumers" perceived brand global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at susceptibility to global consumer culture and consumer ethnocentrism influenced involvements, and involvements affected perceived brand globalness, In addition, susceptibility to global consumer culture is directly linked to perceived brand globalness which in turn leads to both perceived quality and bran reputation. It means that the proposed model is confirmed, and provides a couple of insightful implications to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regarding global advertising.

      • KCI등재

        뉴스/댓글 빅데이터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옥외광고 규제 및 법령 관련 사회적 담론 연구

        이형민(Hyung Min Lee),유현재(Hyunjae Yu),천용석(Yong Seok Che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7

        본 연구는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의 개정 시행과 관련하여 옥외광고 법령 및 규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담론을 분석하고자 기획되었다. 빅데이터 분석 방법인 데이터 크롤링(data crawling) 기법을 활용하여 옥외광고 법령 및 규제를 다룬 뉴스 기사와 각 뉴스 기사에 달린 댓글을 전수 수집하고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다양한 차원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의 시행 이전 3년과 이후 3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새로운 법령의 시행에 따라 뉴스 기사에서 옥외광고를 조망하고 해석하는 담론 체계에 변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법령 시행 이전 3년 동안은 불법 옥외광고물 게재에 대한 규제, 단속 또는 처벌에 관한 논의가 지배적이었던 반면, 시행 이후 3년 동안은 새로운 옥외광고 매체의 등장 및 활용, 옥외광고 자유표시구역 시행 등 옥외광고의 새로운 산업적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대두되었다. 전반적으로 종합 일간지 보다는 경제 전문지에서 옥외광고의 산업적, 기술적 측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보수 일간지에서는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대한 논의가 펼쳐진 반면, 진보 일간지에서는 집회, 시위 등 정치적 행위와 연관된 기사가 많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옥외광고 법령과 규제를 바라보는 의미 체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으며, 어떠한 키워드들을 중심으로 담론이 형성되고 있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social discourse reflected in the news articles and online comments in connection with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Out-of-Home Advertisements and the Promotion of Out-of-Home Advertising Industry. Using the data crawling technique, which is a method of big data analysis, all the comments on news articles and news articles dealing with out-of-home advertising laws and regulations were collected, and various levels of research were conduct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hift in the social discourse reflected in the news articles and the following online comments over time.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views and perceptions of out-of-home advertising laws and regulation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lyzed media companies. Through such an analysis,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kinds of meanings and discussion made in the news and online comments as well as helped to understand what keywords are being used to form such social discourse.

      • KCI등재

        광고매체로서 디지털 사이니지의 효과측정 지표에 관한 고찰

        전종우(Jun, Jong Woo),박현(Park, Hyun),천용석(Cheon, Yong Seok) 한국OOH광고학회 2012 OOH광고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최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뉴미디어로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광고효과 측정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다. 기존에 진행되었던 옥외매체의 광고효과 측정에 관한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디지털 사이니지를 기존의 아날로그 옥외매체로 인식하는 관점과 디지털이라는 개념이 융합된 인터랙티브 광고매체로 인식하는 관점을 동시에 고려한 측정방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광고캠페인을 진행하는 Field Experiment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서 디지털 사이지니의 실제 광고효과를 측정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극장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서 광고를 인지한 관람객의 수는 전체 관람객 중에서 약 81.7%로 나타났으며, 광고를 인지한 관람객들 중에서 약 4.5%가 광고에 관심을 가지고 직접적인 인터랙티브 경험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를 인지한 관람객들 중에서 약 2.0%가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콘텐츠를 가공하는 등의 Action을 취함으로써 자발적으로 브랜드와의 관계 (Relationship)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터랙티브 경험을 시도한 관람객 중 약 절반에 해당하는 높은 참여율을 보인 수치이다. 또한 인터랙티브 경험을 시도한 관람객들 중에서 약 15.5%가 자신의 SNS 계정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에 자신의 콘텐츠를 업로드 (Upload)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브랜드를 지인에게 홍보하였다. 이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광고에 단순히 호기심을 가지고 접근한 소비자 100명 중 16명꼴로 타인에게 브랜드를 입소문 내는 것과 같은 효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충분한 연구가 되어있지 않은 디지털 사이니지의 광고효과 측정에 대한 실무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와 시사점을 찾을 수 있겠다. This study deals with measuring issues of digital signage advertising effects. Both traditional analogue approaches and digital perspectives are considered. Using a field experiment of the CGV Cloud, a medium of digital signage located at CGV movie theatr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 way of measuring advertising effe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81.7% audiences recognize digital signage advertising, and 4.5% of them tried interactive experiences. In addition, 2.0% of audiences who recognized advertising took interactive actions of taking pictures or making content using digital signage that lead to favorable brand relationships. 15.5% of audiences who tried interactive experiences up-loaded content on their social network service accounts. These results could provide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regarding digital signage that has not been studied y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