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쥐 망막에서 콜린성 무축삭세포의 분포 양상 및 연접회로에 대한 연구

        강화선,천명훈,Kang, Wha-Sun,Chun, Myung-Hoon 한국현미경학회 2004 Applied microscopy Vol.34 No.4

        생쥐의 망막에서 아세틸콜린의 합성효소인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세포화학법으로 콜린성 무축삭세포를 동정하고 분포양상을 조사하였다. 콜린성 무축삭세포는 망막에서 세포체의 위치에 따라서 두 종류로 구분된다. 즉 속핵층에 세포체가 위치하고 세포돌기는 속얼기층의 a 아층판에 위치하는 세포와 세포체가 신경절세포층에 위치하면서 세포돌기는 b 아층판에 위치하는 세포이다. GABA 항체를 이용한 이중 면역염색 결과 모든 콜린성 무축삭세포가 GABA에 대한 염색반응성을 나타내었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콜린성 무축삭세포의 연접회로가 속얼기층에서 관찰되었다. 콜린성 무축삭세포는 두극세포와 가장 많은 수입연접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이 외에 콜린성 무축삭세포와 염색되지 않은 무축삭세포와의 연접도 관찰되었다. 콜린성 무축삭세포의 수출연접의 주요 대상은 신경절세포로 속얼기층의 b 아층판에서 더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생쥐 망막의 콜린성 무축삭세포도 다른 종류의 포유류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방향선택성 신경절세포로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investigated the morphology, distribution and synaptic connectivity of cholinergic neurons in the mouse retina by immunocytochemistry, using antisera against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ChAT-immunoreactive amacrine cells fall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localization of their somas in the retina: one is situated in the inner nuclear layer (INL), near the border of the inner plexiform layer (IPL), and the other is displaced in the ganglion cell layer (GCL). The dendrites of amacrine cells from the INL ramify in sublamina a and that of the displaced amacrine cells ramify in sublamina b of the IPL. Double labeling with an antisera against ChAT and r-aminobutyric acid (GABA) demonstrated that these labeled cells formed a subpopulation of GABAergic amacrine cells. The synaptic connectivity of ChAT-immunoreactive amacrine cells was identified in the IPL by electron microscopy. The most frequent synaptic input of ChAT-labeled amacrine cells was from bipolar cells in both sublaminae a and b of the IPL, followed by labeled amacrine cells and unlabeled amacrine cells. Their primary output targets were onto ganglion cells in both sublaminae a and b and output onto ganglion cells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sublamina b of the IPL. Our results suggest that cholinergic amacrine cells in the mouse retina are very similar to their counter parts in other mammals, and they can attribute a major role in the pathway feeding into directionally selective ganglion cells.

      • KCI등재후보

        망막 회복을 위한 줄기세포 및 조직공학의 연구동향

        박상준 ( Sang Jun Park ),천명훈 ( Myung Hoon Chun ),전흥재 ( Heung Jae Chun ),김천호 ( Chun Ho Kim )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09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6 No.4

        The retinal disorder in which it shows up while an age gives is caused by a heredity and altitude myopia, a debit, and etc. and it causes the blind. Although retinal disorder is not disease in which fatal disease leads, in including a diabetes, and etc, the retina disease in which it can become with provoke is the trend that recently it is drastically increased along with the increment of the population of old peop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an industrialization and dietary life. However, as to the current retinal disorder, there is a limit. For this reason, the medical treatment of the method in which directly transplant the nerve cells or the glial cells differentiated from the stem cell and retina precursor cell into retina, and the tissue engineered therapy of the neural retina in which it implants into a retina to the tissue engineering technique in which use these cells and biomaterials have been studied. The current review looks into clinical methods and studies on cell and tissue engineering therapy for the retinal disorder.

      • KCI등재후보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이 유도된 흰쥐의 신경망막에서 AII 무축삭세포의 연접이전 신경세포의 변화

        박효숙(Hyo-Suk Park),박성진(Sung-Jin Park),신지만(Ji-Man Shin),천명훈(Myung-Hoon Chun),오수자(Su-Ja Oh)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3

        칼슘결합단백질인 parvalbumin은 신경망막에서 속핵층의 AII 및 넓은-수용영역 무축삭세포와 신경절세포층의 전위무축삭세포에서 발현되며, 당뇨병 상태에서 parvalbumin 발현은 AII 무축삭세포에서 저하되나, AII 무축삭세포와 전기연접을 형성하고 있는 원뿔이극세포에서 증가됨이 이미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당뇨병 망막에서 AII 무축삭세포에서 parvalbumin 발현이 저하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AII 무축삭세포의 연접이전 신경세포들의 변화를 면역화학적 방법으로 추적하고자 하였다. 생후 8주 된 Sprague-Dawely계 흰쥐를 실험동물로 하여 streptozotocin의 정맥 내 주사로 당뇨병을 유발시켰으며, 300 mg/dL 이상의 혈당치를 나타낸 동물들을 각각 1, 4, 12 및 24주 경과시켜 사용하였다. 각 시기의 동물로부터 분리된 망막에 parvalbumin, protein kinase C (PKC)-α 및 tyrosine hydroxylase (TH) 항체를 사용한 면역조직화학법과 Western blot법을 시행하였다. 막대이극세포는 PKC-α에 면역 표지된 축삭종말을 주로 속얼기층의 5층으로 뻗고 있었다. 당뇨병 12주 및 24주 때 막대이극세포의 축삭은 짧아져 있었고 축삭종말은 다소 확장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당뇨병 때 PKC-α의 농도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TH 면역반응 신경세포는 속핵층의 무축삭세포로서 형태학적으로 두 종류로 구분되었다. 즉, 큰세포체와 길게 뻗은 일차 가지돌기를 지닌 세포 유형 (1형)과 작은 세포체와 가지돌기나무 (dendritic arborization)를 지닌 세포 유형(2형)이다. 속얼기층과 속핵층의 경계부위에 TH 면역반응 돌기들의 고리구조가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당뇨병 망막에서 1형 TH 무축삭세포의 면역반응성이 저하되어 나타났으나, 2형 무축삭세포의 반응성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면역반응성의 저하와 더불어 TH 단백질의 농도 또한 당뇨병 시기 동안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망막의 TH 면역반응성 무축삭세포가 막대이극세포보다 당뇨병 상해에 대하여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따라서 당뇨병 때 AII 무축삭세포에서의 parvalbumin 발현 저하가 주로 연접이전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기능이상에 의한 것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It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that parvalbumin expression was downregulated in AII amacrine cells, while upregulated in a subset of cone bipolar cells electrically synapse with AII amacrine cell i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retina.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trace biochemical changes of pre-synaptic neurons to AII amacrine cells in rat retina following diabetic injury. Diabetic condition was induced by streptozotocin injection into Sprague-Dawley rats aged of 8 weeks. The experimental term of induced diabetes was set at 1, 4, 12 and 24 weeks. Changes of pre-synaptic neurons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 analysis with anti-protein kinase C (PKC)-α and anti-tyrosine hydroxylase (TH) antibodies. Rod bipolar cells immunolocalized with PKC-α antibody extended their enlarged axon terminals into stratum 5 of the inner plexiform layer. In later diabetes, the axon was shorten and its terminals of rod bipolar cell are slightly enlarged. The protein levels of PKC-α were slightly increased along with the duration of diabetes. TH immunoreactive neurons are morphologically classified into two subtypes of amacrine cells in the inner nuclear layer: one (type 1) has large soma with long and primary dendrites, classified with dopaminergic, and the other (type 2) has small soma with dendritic arborization. In the outermost inner plexiform layer, ring-like structures being composed of type 1 cell processes were densely distributed. In diabetic retina, the intensity of TH immunoreactivity in type 1 neurons was reduced. In accordance with morphological changes, the protein levels of TH were reduced during diabet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 immunoreactive dopaminergic amacrine cells are more susceptible to diabetic injury than the rod bipolar cells in the rat retina and may suggest that downregulation of parvalbumin expression in AII amacrine cells of diabetic retina is mainly due to dysfunction of pre-synaptic dopaminergic amacrine cells.

      • KCI등재후보

        실험적으로 유도된 당뇨병 모델 흰쥐 망막에서 Substance P의 발현양상

        이승민(Seung-Min Lee),박성진(Sung-Jin Park),강태훈(Tae-Hoon Kang),정진웅(Jin-Woong Chung),천명훈(Myung-Hoon Chun),오수자(Su-Ja Oh)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2

        신경펩티드인 Substance P (Sub P)는 11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물질로서 신경계통에서 신경전달물질 또는 신경조정물질로 작용하고 있으며, 또한 잠재적인 혈관성장물질로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흰쥐를 실험동물로 하여 중추신경계통의 연장부위이며 일차 시각 기관인 망막에서 Sub P의 발현양상을 관찰하고 실험적으로 유도된 당뇨병 상태에서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정상 망막에서 Sub P의 기능과 당뇨병성 망막증 병인 기전 관련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Sprague-Dawley계 흰쥐를 실험돌물로 하여, streptozotocin의 정맥내 주사로 당뇨를 유발시켰으며, 공복 혈당 300 mg/dL 이상의 동물을 각각 1, 4, 8 및 12주 경과시켜 당뇨병 실험 군으로 사용하였다. 정상 및 당뇨병 망막에서 Sub P 발현 및 변화 양상을 면역조직화학법 및 RT-PCR을 통하여 관찰 분석하였다. 정상 흰쥐 망막에서 Sub P 면역반응성은 속핵층의 무축삭세포, 신경절세포층의 전위무축삭세포 및 이들의 세포질돌기가 분포된 속얼기층에서 나타났다. 속핵층에 위치한 무축삭세포의 세포질돌기는 속얼기층의 제1, 3, 5층에 분포하였고 신경절세포층에 위치한 전위무축삭세포의 세포질돌기는 주로 속얼기층의 제5층에 분포하였다. 망막 전체봉함표본의 면역염색을 통해 Sub P 면역반응 전위무축삭세포의 수를 측정한 결과 위-관자 부위에 가장 많은 수가 분포되어 있었으며, 아래-코 부위에서 가장 적게 관찰되었다. 당뇨병 망막에서 속핵층에 존재하는 Sub P 면역반응 무축삭세포 수는 정상 동물군과 비교해볼 때 당뇨 4주군에서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 점차 증가하는 양상이었다. 또한 신경절세포층에 존재하는 Sub P 면역반응 전위무축삭세포 수도 당뇨 4주군에서 감소하였고, 당뇨 12주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음을 확인하였다. Sub P의 양적 증감을 알아보기 위해서 RTPCR을 수행한 결과, sub P의 mRNA 발현 수준은 정상 수준과 비교했을 때 당뇨 4주군에서 40% 정도 감소하였으며, 당뇨 12주군에서 정상 수준 대비 80% 정도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써 흰쥐 망막에서 Sub P는 무축삭세포와 전위무축삭세포에서 발현되어 망막 내에서 이루어지는 일차적 빛 자극전달과정의 조절인자로 시각정보 처리과정에 관여하되 망막의 부위에 따라 달리 기능을 할 것으로 생각되며, 당뇨 상해에 의하여 비교적 초기에 Sub P 합성 능력이 손상을 받음으로써 당뇨병 속망막의 신경퇴행성 변화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Substance P (Sub P) being composed of 11 amino acids sequence is a kind of tachykinin family peptides. It has been known that this substance plays a role of neurotransmitter and/or neuromodulator and is a very potent vascular growth factor in the nervous system. This study has been investigated expression pattern of Sub P in the rat retina at normal and alteration of Sub P expression following diabetic injury using immunohistochemistry. Diabetic condition was induced by a single injection of streptozotocin in Sprague-Dawley rats aged 8 weeks. The animals showing high blood glucose levels (above 300 mg/dL) were cared for 1, 4, 8 and 12 weeks, respectively. The whole-mounted or sectional preparations of the retinas were used for Sub P immunohistochemistry. Sub P immunoreactivity has been localized in subsets of amacrine cells in the inner nuclear layer (INL) and displaced amacrine cells in the ganglion cell layer (GCL) in the normal retina. The dendrites from amacrine cells in the INL were ramified with strata 1 and 3, and those from displaced amacrine cells in the GCL with strata 5 of the inner plexiform layer. Sub P immunoreactive neurons in both the INL and the GCL were more densely populated in the superior half of the retina. During diabetes, the cell number of Sub P immunoreactive neurons was decreased to one third of the normal value at 4 weeks of diabetes and then slightly increased to half of the normal value at 12 weeks of diabetes. In addition, Sub P mRNA levels were reduced at 4 weeks but reincreased at 12 wee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b P in the rat retina at normal state may function differentially in the superior or the inferior halves and Sub P synthetic pathway in the retinal neurons maybe irradiated in earlier stages of diabetic retinopathy.

      • KCI등재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od Pathway in the Rat Retina

        임은진(Eun-Jin Lim),이은진(Eun-Jin Lee),천명훈(Myung-Hoon Chun)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4

        포유동물 망막에서 막대두극세포는 암전도로에서 이차신경으로 작용한다. 흰쥐 망막에서 암전도로에 관여하는 AII 무축 삭세포와 GABA성 무축삭세포의 발생과정에 대하여 보고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발생중인 흰쥐 망막에서 protein kinase C (PKC) 항체에 대한 면역세포화학법으로 막대두극세포의 발생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출생후 9일에 PKC 면역반 응 막대두극세포가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출생후 10일에는 강한 면역반응이 나타났다. 눈을 뜨는 시기인 출생 후 15일에 는 성체의 것과 유사한 막대두극세포가 출현하였다. PKC항체와 AII 무축삭세포의 표지자인 parvalbumin항체 또는 GABA 성 세포의 표지자인 GABA항체를 이용하여 이중표지법을 시행한 결과 출생후 9일부터 막대두극세포 축삭종말은 AII 무 축삭세포와 GABA성 무축삭세포와 연접을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암전도로에 관여하는 세포인 막대두극세포, AII 무축삭세포 및 GABA성 무축삭세포는 발생과정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Rod bipolar cells constitute the second-order neuron in the rod pathway. Previous investigations of the rat retina have evaluated the development of other components of the rod pathway namely the AII amacrine cell and GABAergic amacrine cell populations. To gain further insights into the maturation of this retinal circuitry, we studied the development of rod bipolar cells, immunocytochemistry with antibodies directed to the protein kinase C (PKC), in the rat retina. PKC immunoreactivity first appeared in postnatal day 9 (P9), faint PKC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the cell bodies located at the distal inner nuclear layer (INL), dendrites in the outer plexiform layer (OPL) and immunoreactive bands in the proximal inner plexiform layer (IPL). PKC immunoreactive cells and terminal bulbs at P10 show stronger immunostaining. At P15, the time of eye opening, PKC immunoreactive cells display stronger immunostaining than those of P10 and more mature characteristics like in the adult retina. Double fluorescence immunocytochemistry using an antiserum against parvalbumin, a marker for the AII amacrine cells, or GABA revealed that PKC immunoreactive rod bipolar cell terminals make contact with AII amacrine cells and GABAergic neurons in the proximal IPL from P9. Given these results, the different components of the rod pathway follow a similar pattern of maturation, presumably allowing the rod pathway to function at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 of retina.

      • KCI등재

        Immunocytochemical Localization of GABA Transporter-3 in the Guinea Pig Retina

        이은진(Eun-Jin Lee),오수자(Su-Ja Oh),정진웅(Jin-Woong Chung),천명훈(Myung-Hoon Chun)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2

        망막을 포함하는 중추신경계통에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고 있는 GABA의 분비와 흡수에 GABA 운송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물질은 최소한 3개의 아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중 GABA 운송물질-1은 주로 신경세포에, 그리고 GABA 운송물질-3은 일부의 신경세포에 분포하되 주로 부챗살아교세포에 존재하는 것으로 흰쥐 및 토끼 망막에서 보고 된 바 있다. 그러나 설치류에 속하면서 비교적 많은 수의 원뿔세포를 함유하고 있는 기니픽 망막에서는 보고된 바 없다. 이 연구에서는 기니픽 망막에서 GABA 운송물질-3를 동정하고 이를 함유한 세포의 신경생화학적 특성을 GABA 운송물 질-3, GABA 합성효소 65, 및 CD15 항체를 이용한 면역세포화학법으로 관찰하였다. GABA 운송물질-3 면역반응은 속핵층에 위치한 일부의 무축삭세포체에서 관찰되었고, 이들 세포의 돌기는 신경절세포 층 가까이의 속얼기층에서 밀집하여 분포하였다. 모든 GABA 운송물질-3 표지세포는 GABA 합성효소65에 면역반응을 나 타내었다. 또한, GABA 운송물질-3 표지 무축삭세포 중 67%는 CD15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기니픽 망막에서 GABA 운송물질-3는 속얼기층에서 A17 무축삭세포를 통해 암전도로를 조절할 것으 로 생각된다. The cellular localization of the GABA transporter-3 (GAT-3) was examined in the guinea pig retina by immunocytochemistry, using antisera against GAT-3. GAT-3 immunoreactivity was localized to cell bodies in the inner nuclear layer, and labeled processes were densely distributed in the inner plexiform layer (IPL) close to the ganglion cell layer. All GAT-3 labeled cells exhibited GAD65 immunoreactivity. In addition, 67% of GAT-3 labeled amacrine cells showed carbohydrate epitope CD15 immunore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AT-3 is involved in modulating the rod pathway in the IPL of the guinea pig retina via presumptive A17 amacrine cel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