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통 환(丸)제품의 중금속 함량 및 위해성 평가

        김성단(Sung-Dan Kim),정선옥(Sun-Ok Jung),김복순(Bog-Soon Kim),윤은선(Eun-Sun Yun),장민수(Min-Su Chang),박영애(Young-Ae Park),이용철(Young-Chul Lee),채영주(Young-Zoo Chae),김민영(Min-Yo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7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환(丸)형태 일반가공식품 18종 총 52건을 microwave로 습식분해 후 ICP-MS 및 Mercury Analyzer를 이용하여 납, 카드뮴, 크롬, 구리, 수은 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평균 0.421(0.032~1.630), 0.157(0.011~0.515), 1.033(0.112~9.933), 6.923(1.333~16.755), 0.010(0.001~0.088) ㎎/㎏이 검출되었다. 사용된 부위별 납 검출 수준을 살펴보면 잎(Herba, 1.032 ㎎/㎏)이 다른 부위에 비해서 유의적인 수준으로 높았으며, 열매(fructus, 0.222 ㎎/㎏), 뿌리줄기(Rhizoma, 0.179), 씨(semen, 0.153 ㎎/㎏) 부위의 납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카드뮴 또한 해조류(algae, 0.304 ㎎/㎏), 잎(0.298 ㎎/㎏)을 사용한 제품에서 유의적인 수준으로 높게 잔류하였다(p<0.05). 또한 카드뮴은 다시마를 원료로 한 환제품 총 4건 중 2건(0.431, 0.370 ㎎/㎏)에서, 인진쑥환 총 7건 중 5건(0.315~0.515 ㎎/㎏)에서, 당귀환 1건(0.338 ㎎/㎏), 표고버섯환 1건(0.394 ㎎/㎏)에서 한약재 기준인 0.3 ㎎/㎏을 초과하는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환(丸)형태 일반가공식품에 대한 카드뮴의 조속한 기준설정 및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중금속 잔류량이 높았던 잎(Herba)의 중금속별 평균 함량은 Cu 6.480 ㎎/㎏> Cr 2.291 ㎎/㎏> Pb 1.032 ㎎/㎏> Cd 0.298 ㎎/㎏> Hg 0.016 ㎎/㎏ 순서로 나타났다. 환(丸)형태 일반가공식품 섭취 시 중금속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제품을 통한 중금속의 주간섭취량과 FAO/WHO에서 제시하는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1인 1일 최대섭취허용량 (PMTDI)과 미국환경보호청(U.S. EPA)의 만성경구섭취 참고용량(RfD)과 비교하여 %PTWI를 구하였다. 금속별 주간 섭취량과 %PTWI는 납, 카드뮴, 크롬, 구리, 수은 각각 평균 0.280(0.018~1.272), 0.113(0.002~0.648), 0.630(0.053~4.975), 6.366(0.289~43.217), 0.011(0.000~0.210) ㎍/㎏ bw/week 이었으며, %PTWI는 1.112(0.072~5.088), 1.614(0.029~9.257), 3.000(0.252~23.690), 0.182(0.008~1.235), 0.220(0.000~0.420)%로 환(丸)형태 일반가공식품을 통한 중금속 섭취량은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ome heavy metals (Pb, Cd, Cr, Cu, Hg) in 52 commercial herbal pills used as general processed food, to identify weekly heavy metal intakes from herbal pills and to evaluate their potential health risks. The samples were digested with a microwave and determinations of heavy metal residues were carried out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 and mercury analyzer. The mean values of heavy metal contents for herbal pills used as general processed food were Pb 0.421 (0.032~1.630), Cd 0.157 (0.011~0.515), Cr 1.033 (0.112~9.933), Cu 6.923 (1.333~16.755), Hg 0.010 (0.001~0.088) ㎎/㎏. Lead contents of herba and cadmium of algae, herba were high (ANOVA-test, p<0.05). Levels of cadmium concentrations exceeding WHO reference values (0.3 ㎎/㎏) were observed in 10 samples (4 specie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b and Cd (r=0.633, p<0.01). The weekly intakes of Pb, Cd, Cr, Cu, Hg from herbal pills were 1.112 (0.072~5.088), 1.614 (0.029~9.257), 3.000 (0.252~23.690), 0.182 (0.008~1.235), 0.220 (0.000~0.420)%,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the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 (PTWI) established by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for food safety evaluation. Our data suggest regulations limiting heavy metals in herbal pills used as general processed food.

      • KCI등재
      • KCI등재

        서울지역 집단식중독 환자에서 검출된 노로바이러스의 유행양상

        김은정,김무상,채영주,천두성,Kim, Eun-Jeung,Kim, Moo-Sang,Chae, Young-Zoo,Cheon, Doo-Sung 한국미생물학회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2

        Fecal specimens from acute gastroenteritis in Seoul from 2003 to 2007 were collected and then tested for the presence of Norovirus by RT-PCR. Among a total of 4,685 samples investigated, 383 samples (8.2%) were positive. The analysis of outbreaks related norovirus contamination occurred from 2003 to 2007 in Seoul revealed 57 cases happened during investigated period. Seasonal prevalence showed winter season predominant characteristics of pattern of epidemics by long term investigation for norovirus infections. The incidence of norovirus infection in the case of acute gastroenteritis by catering food in school were 32%, by food in general restaurant were 29%. This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in Seoul was strongly needed for control and prevention of outbreaks related with norovirus by forecasting disease epidemics.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서울지역 집단식중독 환자에 대하여 RT-PCR을 이용하여 노로바이러스를 검출하였으며, 총 4,685건 중 노로바이러스가 383건(8.2%)이 검출되었다. 식중독 발생 사례는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7사례가 발생하였다. 계절별 유행양상은 겨울철에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섭취장소별 유행양상은 학교급식 중 위탁경영에 의한 발생이 32%로 나타났으며, 일반음식점에 의한 발생이 29%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노로바이러스성 식중독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서울지역 급성위장관염 환자 및 지하수에서 분리한 A형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

        김은정,김무상,채영주,천두성,Kim, Eun-Jeung,Kim, Moo-Sang,Chae, Young-Zoo,Cheon, Doo-Sung 한국미생물학회 2011 미생물학회지 Vol.47 No.4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한 급성위장관염 환자에 대하여 효소면역측정법(ELISA)을 이용하여 로타바이러스를 검출하였다. 총 1,916건 중 로타바이러스는 354건(18.4%)이 검출되었다. RT-PCR을 이용하여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P6G[4] (35%), P8G[3] (28%), P8G[1] (24%), P4G[2] (10%), P8G[9] (3%)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지하수 70지점을 대상으로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로타바이러스를 조사한 결과 2 지점에서 양성으로 검출되었으며, RT-PCR을 이용하여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P8G[3]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서울지역 로타바이러스 질환의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Fecal specimens from acute gastroenteritis in Seoul from 2009 to 2010 were collected and then tested for the presence of Group A Rotavirus by ELISA. Among a total of 1,916 samples investigated, 354 samples (18.4%) were positive. The predominant genotypes of positive samples were confirmed as P6G[4] (35%), P8G[3] (28%), P8G[1] (24%), P4G[2] (10%), P8G[9] (3%), respectively. Among a total of 70 ground water samples investigated, 2 samples (2.8%) were positive. The genotypes of positive samples were confirmed as P8G[3] (100%). By this molecular investigation, genotypic distribution associated with rotavirus will be used for control and prevention of rotavirus related diseases.

      • SCOPUSKCI등재

        GC-tandem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분쇄원두커피 중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분석법 연구 및 인체노출량 평가

        정소영(So Young Jung),박주성(Ju Sung Park),손여준(Yeo Joon Son),최수정(Su Jeong Choi),이윤정(Yun Jeong Lee),김미선(Mi Sun Kim),박소현(So Hyun Park),이상미(Sang Me Lee),채영주(Young Zoo Chae)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5

        식품 중 존재하는 PAHs를 분석하기 위해 GC-MS/MS를 이용하여 분쇄원두커피를 대상으로 15종의 PAHs를 동시분석 하였다. 전처리법은 soxhlet법, 비누화분해 후 액체-액체 추출법, 초음파 후 고체-액체추출법으로 비교실험하여 재현성과 불순물제거효율이 가장 좋은 초음파 후 고체-액체 추출법을 선택하여 실험하였다. 실험법의 회수율은 PAHs종에 따라 52.6-93.3%, 검출한계는 0.002-0.1 μg/kg, 정량한계는 0.006-0.2 μg/kg로 PAHs분석에 가장 좋은 감도를 나타내는 HPLC-FLD나 GC-MS-SIM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의 검출한계를 나타내었다. 적합한 전처리 방법을 선택한 후 시중 유통되는 원두커피를 대상으로 15종의 PAHs 함량을 조사하였을 때 46종의 총 PAHs농도는 불검출-5.988 μg/kg이었다. 분쇄원두커피를 커피메이커로 추출하여 PAHs의 이행계수를 계산 한 후 WHO와 U.S.EPA에서 설정한 상대독성계수(TEF)를 근거로 음용되는 원두커피의 인체노출량(mg/kg b.w./day)을 구한 결과 5.24×10<sup>-8</sup> mg/kg b.w./day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ing 15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of EU priority using gas chromatography (GC)-tandem mass spectrometry (MS). The PAHs in ground coffee were analyzed after being extracted using methods such as saponification-liquid-liquid extraction, Soxhlet extraction, and solid-liquid extraction. The solid-liquid extraction method showed the greatest repeatability and most efficient reduction of the matrix effect. GC-tandem MS for the quantification of the 15 PAHs showed better resolution and lower limit of detections (LODs) than GC-MS-selected ion monitoring (SIM)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escence detector. LODs of this method for the ground coffee types were 0.002-0.1 μg/kg and limit of quantifications (LOQs) were 0.006-0.2 μg/kg The recoveries ranged from 52.6 to 93.3%. Forty-six commercial types of ground coffee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PAHs contamination levels. PAHs concentration ranged from ND to 5.988 μg/kg.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oxicity equivalence factors, the U.S. EPA recommendation to identify dietary risks for PAHs in different types of coffee. The estimated average daily dose of PAHs was 5.24×10<sup>-8</sup> mg/kg body weight/day.

      • KCI등재
      • KCI등재

        유통되는 코코아함유 가공품의 항산화능과 폴리페놀 함량에 관한 연구

        이은순(Eun-Soon Lee),금진영(Jin-Young Kum),황영옥(Young-Ok Hwang),두옥주(Ock-Ju Tu),조한빈(Han-Bin Jo),김정헌(Jung-Hun Kim),채영주(Young-Zoo Ch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0

        코코아가공품이나 초콜릿은 영양적으로 고에너지 식품이며 간식이나 후식으로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비만이나 다른 부작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에 유익하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코아가공품이나 초콜릿의 건강에 유익성은 코코아가공품, 초콜릿의 코코아로부터 얻어지는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코코아자체의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보다는 실제로 사람들이 날마다 먹는 제품에서의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과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수많은 폴리페놀류가 존재하고, plant-derived product의 폴리페놀류의 정량과 항산화능의 분석에 관한 표준화된 방법이 아직 확립되지 않아 연구에 어려움이 있으며, 더구나 이 연구에서는 코코아함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품이 많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연구 결과의 약간의 불확실한 결론은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코코아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군은 코코아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하는 다크초콜릿이었다. 코코아 추출물의 epicatechin은 정량적으로 catechin보다 높았으며, 다크초콜릿에서 그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크초콜릿에서만 epicatechin gallate, caffeic acid, quercetin 등이 소량 검출되었다. 항산화능은 밀크초콜릿과 다크초콜릿이 코코아믹스와 초코시럽과는 유의하게 높았고, 밀크초코릿과 다크초콜릿의 비슷한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이 결과는 더 정밀하고 확실한 항산화능 실험법의 확립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코코아로 만들어지는 초콜릿이 항산화능이 있음을 암시하며, 건강과의 관련 있음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UV-VIS spectrophotometric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HPLC-DAD) methods were applied in order to identify and quantify the composition of polyphenols in commercial cocoa-containing products. Total polyphenolic contents of cocoa mix, choco-syrup, milk chocolate, and dark chocolate were evaluated using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according to a UV-VIS spectrometric method. Antioxidant capacities of cocoa extracts by methanol were evaluated by 2,2"-azino-bis(3-ethyl 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ssay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ssay. The obtained results show that the poly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cocoa products and chocolates depend on solid cocoa content. Among the tested cocoa products and chocolates, the most abundant phenolic compound was epicatechin.

      • KCI등재

        서울시 수계시설에서 분리된 Legionella pneumophila의 분자역학적 특성

        전수진,정지헌,승현정,김창규,진영희,오영희,최성민,채영주,Jeon, Su Jin,Jung, Ji Hun,Seung, Hyun Jung,Kim, Chang Kyu,Jin, Young Hee,Oh, Young Hee,Choi, Sung Min,Chae, Young Zoo 한국환경보건학회 2013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9 No.2

        Objectives: The genus Legionella is common in aquatic environments. Some species of Legionella are recognized as potential opportunistic pathogens for human, notably Legionella pneumophila that causes, Legionellosis. Thus, we investigated the contamination of Legionella pneumophila on water supply systems in Seoul, including cooling towers, public baths, hospitals and fountains. Methods: The existence of 16S rRNA and mip gene of L. pneumophila was confirmed in the genome of the isolated strains by PCR. Results: During the summer season of 2010 and 2011, Legionella pneumophila were detected from 163 samples (21.1%) out of 772 samples collected. Among the 163 strains of L. pneumophila, eighty one isolates belonged to serogroup 1 (57.4%), 23 isolates were serogroup 5 (16.3%), 21 isolates were serogroup 6 (14.9%), 8 isolates were serogroup 2 (5.79%), and 8 isolates were identified in serogroup 3 (5.7%). Through PFGE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using Sfi I, genetic types of L. pneumophila were classified into five (A to E) patterns by the band similarity with excess of 70% from public baths. Conclusions: The PFGE patterns of the serotypes showed a tendency for diversity of L. pneumophila. Our results suggest the existence of serological and genetic diversity among the L. pneumophila isolates.

      • SCOPUSKCI등재

        RRLC-MS/MS를 이용한 견과류 및 그 가공품과 건조과실류의 아플라톡신 분석

        최수정(Su Jeong Choi),박주성(Ju Sung Park),정소영(So Young Jung),손여준(Yeo Joon Son),이윤정(Yun Jeong Lyi),김미선(Mi Sun Kim),박소현(So Hyun Park),이상미(Sang Me Lee),채영주(Young Zoo Chae)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6

        국내 유통되는 견과류 및 그 가공품, 건조과실류 총 225건을 대상으로 면역친화성칼럼으로 정제한 후 RRLC-MS/MS을 이용하여 아플라톡신에 대한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보다 효율적인 아플라톡신 분석을 위해 RRLC-MS/MS를 이용하여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로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을 하였다. 상관계수(R²)는 0.9999 이상의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고, 아플라톡신의 회수율은 71.1-97.2%였고, RSD는 0.25-4.50%로 우수한 재현성을 나타냈다. 검출한계는 0.02-0.05 ㎍/㎏였고, 정량한계는 0.05-0.10 ㎍/㎏였다. 확립된 분석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그 오염수준은 B₁은 0.10-9.94 ㎍/㎏, B₂는 0.08-1.54 ㎍/㎏, G₁은 0.04-3.21 ㎍/㎏, G₂는 0.06-0.14 ㎍/㎏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오염수준은 국내규격 기준 이하였으나, 곰팡이독소의 생성 특이성을 고려한다면 다양한 식품 유형에 대한 지속적인 아플라톡신 함량조사와 함께 다른 곰팡이독소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occurrence of aflatoxins B₁, B₂, G₁ and G₂ in nuts, their products and dried fruits was investigate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local markets in Seoul and analyzed by rapid resolution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using an immunoaffinity column. The chromatography method was validated for assay of aflatoxins using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and limit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The linearity in the concentration ranged from 0.10 to 20 ㎍/㎏ with R²>0.9999. Sample recoveries ranged from 71.1 to 97.2%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below 4.5% for spiking levels from 1 to 10 ㎍/㎏. The limits of detection ranged between 0.02 and 0.05 ㎍/㎏ and the limits of quantification ranged between 0.05 and 0.10 ㎍/㎏. The levels of aflatoxin B₁, B₂, G₁ and G₂ in nuts, their products and dried fruits were B₁ 0.10 to 9.94 ㎍/㎏, B₂ 0.08 to 1.54 ㎍/㎏, G₁ 0.04 to 3.21 ㎍/㎏ and G₂ 0.06 to 0.14 ㎍/㎏.

      • SCOPUSKCI등재

        LC-MS/MS를 이용한 곡류가공품의 제랄레논 분석과 측정불확도 추정

        최은정(Eun Jung Choi),강성태(Sung Tae Kang),정소영(So Young Jung),신재민(Jae Min Shin),장민수(Min Su Jang),이상미(Sang Me Lee),김정헌(Jung Hun Kim),채영주(Young Zoo Chae)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는 시중 유통되고 있는 곡류가공품 중 zearalenone을 immunoaffinity column 및 LC-MS/MS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표준용액의 검량선은 1, 10, 50, 100, 250 ng/mL농도 범위에서 상관계수(r<sup>2</sup>) 0.999 이상으로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고,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3, 1.0 μg/kg이었다. 회수율은 77.2-107.8%였고, RSD는 1.5-12.8이었다. Product ion 283 m/z으로 정량하여 분석한 결과 과자류 21건 중 1건(4.8%) 2.3 μg/kg, 옥수수가공품 9건 중 2건(22.2%) 1.6-8.5 μg/kg, 기타곡류가공품 14건 중 선식 1건(7.1%)에서 3.4 μg/kg이 검출되었다. 미숫가루가 19건 중 6건(31.6%)이 검출되어, 최고 검출율을 나타냈으며, 1.1-29.7 μg/kg의 검출농도를 나타내어 다른 곡류가공품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총 시료 89건 중 10건에서 제랄레논이 검출되어 11.2%의 검출율을 보였고, 오염수준은 1.1-29.7 μg/kg이었다. 검출시료 12건은 product ion 187 m/z으로 모두 제랄레논임을 확인하였다. 제랄레논을 측정하는 과정 중 불확도 인자를 파악하여 측정 불확도를 추정 한 결과 41.7, 166.7 μg/kg일때 보리차는 각각 44.9±5.0 μg/kg(95% 신뢰수준 약 k=2), 128.7±7.9 μg/kg(95% 신뢰수준 약 k=2), 미숫가루는 각각 30.7±5.8 μg/kg(95% 신뢰수준 약 k=2), 173.7±14.9 μg/kg(95% 신뢰수준 k=2.26), 과자는 37.2±7.4 μg/kg(95% 신뢰수준 k=2.31), 151.0±10.4 μg/kg(95% 신뢰수준 약 k=2)를 나타내었다. A survey of zearalenone contamination was conducted on cereal-based products by using an immunoaffinity column with LC-MS/MS. The calibration curve showed good lineality,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R<sup>2</sup>) of 0.999 in the concentration range from 1 to 250 ng/mL. The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were approximately 0.3 μg/kg and 1.0 μg/kg, respectively. The recoveries in the barley tea, Misutgaru and snack ranged from 73.6-107.8%. Zearalenone was detected in 10 samples (11.2% incidence). The highest zearalenone contamination level was 29.7 μg/kg in the Misutgaru. This survey was conducted with uncertainty of measurement. The expanded uncertainty for zearalenone was estimated to be 44.9±5.0 μg/kg (k=2, 95% confidence level) and 128.7±7.9 μg/kg (k=2, 95% confidence level) for barley tea, 30.7±5.8 μg/kg (k=2, 95% confidence level) and 173.7±14.9 μg/kg (k=2.26, 95% confidence level) for Misutgaru, and 37.2±7.4 μg/ kg (k=2.31, 95% confidence level) and 151.0±10.4 μg/kg (k=2, 95% confidence level) snack at the level of 41.7 μg/kg and 166.7 μg/kg,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