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지적장애아동과 특수교사의 AAC 상징인식 비교연구

        채수정(Chae, Sooj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동들과 특수교사들이 감정을 나타내는 그림 상징을 어떻게 명명하는지, 또한 감정을 설명하는 스크립트에 맞는 그림 상징을 선택하게 될 때, 어떤 선택을 하는지 두 집단의 반응을 분석 비교함으로써 감정을 나타내는 그림상징 인식 일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지적장애아동 20명과 특수교사 20명이 참여하였고, 연구도구로 상징인식 설문과제지를 이용하였다. 설문과제에 쓰인 그림 상징은 PCS™ (Picture Communication Symbols)이며, Ekman(1972)이 제시한 기본 감정 6가지 중, 유아기까지 발달되는 4가지 감정, “기쁘다”, “슬프다”, “화나다”, “두렵다”의 인식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신뢰도와 중재충실도를 구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방법과 독립표본 Mann-Whitney의 U 검정을 활용하여 분석,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아동과 특수교사들은 “슬프다”와 “두렵다”의 감정을 나타내는 상징을 명명할 때, “기쁘다”와 “화나다”의 감정을 나타내는 상징을 인식할 때 보다 많은 오류를 나타내었다. 또한 지적장애아동들은 “기쁘다”, “화나다”, “두렵다”를 나타내는 상징을 명명하는데 특수교사들 보다 오류를 유의미하게 많이 보였다. 또한 그림상징을 선택하는 과제에서는 지적장애아동들이 “슬프다”와 “두렵다”의 감정을 나타내는 상징을 선택하는데 유의미하게 많은 오류를 보였다. 두 집단 모두 아무 정보 없이 명명하는 과제보다 감정의 상황을 설명하는 스크립트가 주어졌을 때 목표 감정을 나타내는 상징을 선택하는 수가 늘어났다. 이 연구를 통해 특수교사들이 AAC 상징을 선택하고 훈련을 계획함에 있어 지향해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symbols depicting four emotions. 20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20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two tasks: The task 1 was to name 20 symbols respectively and the task 2 was to select a symbol after listening or reading a script which described an emotion such as happy, sad, angry, and afrai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s to compare the results from the two groups. As results, the emotion of happy and angry was easier to select rather than sad and afraid in both groups. Howeve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lower perception on the symbols depicting four emotions from naming and selecting tasks. Therefore it needs to be cautious to select and use symbols for AAC users and their communication partners because there are some discrepancy on symbol perception of some emotions between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단일 대상 중재 연구 메타분석

        채수정(Chae, Soojung)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장애 학생들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하여 시행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단일 대상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WWC(2017)의 질적지표를 활용해 연구들의 질적수준을 파악하는 것이다. 국내 학술전문검색사이트에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자폐성 장애학생들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해 진행된 사회적 상황이야기 연구들을 파악하여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21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주요 변인별로 연구들을 정리하여 특성들을 기록, 분석하였고, GetData Graph Digitizer 2.26를 활용하여 중재의 결과를 코딩하였으며, Tau-U 값과 Cohens’s d 값을 산출하여 효과 크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는 의사소통 기능 증진에 중간이상의 효과 크기를 나타내어 중재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성별, 학교급, 중재자, 중재기간, 중재자료, 중재장소별로 분석한 결과에서 중간이상의 효과 크기를 나타내었다. 질적수준 분석 결과 16%의 제약 없는 중족, 84%의 제약적 충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에 대한 논의를 하였으며 본 연구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tories interventions focused on communication skill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rough Tau-U analysis and to determine the quality of studies through WWC(2017) criteria. By searching studies on social stories intervention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since 2000, a total of 21 studies were chosen based on the inclusion/exclusion criteria. The chosen studies were analyzed by major variab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ies were examined. The effect size was examined by obtaining the Tau-U and Cohen s d valu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of social stories focused on communication skill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medium. Second, the effect size for each variable (eg. school levels, gender, interventioner, length of intervention, type of materials) was also medium or above. Last, as the qualitative level analysis, 16% of unconstrained midfoot and 84% of constrained satisfactory results were shown. In addition, som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considered.

      • KCI등재

        장애 관련 웹 기반 프로그램의 연구 동향

        채수정(Chae, Soojung),이희연(Lee, Heeyeo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장애관련 웹 기반 프로그램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장애인들을 위한 웹 기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방안과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6개의 학술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문헌을 수집하였으며, 문헌 선정 기준에 따라 1990년 이후 국내 논문 51편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논문들을 연구유형, 장애 유형 별 연구대상, 웹 기반 프로그램의 활용 범위, 웹 기반 프로그램의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발 및 개발 및 적용 연구가 가장 많이 실행되었고, 장애유형별로는 시각장애,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웹 기반 프로그램은 학령기를 포함한 생애 전반에 걸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들에 관한 문헌들이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의 유형으로는 교수-학습, 일상생활 보조, 진단-평가 순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특수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웹 기반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였고, 향후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the web-based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 total of 51 studies published after 1990 was collected via six research data-base.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types of research method, target populations, and web-based programs. The results presented that the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and most programs were developed for individuals with visual or hearing impairment. A large number of the disability-related web-based programs were developed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ross the whole life-span including school-age. The type of the web-based program was higher in the order of the teaching-learning, the daily-life assistance, and the diagnosis-assessment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eds for web-based program development with practical use in special education were recogniz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폐범주성아동과 또래간 감정을 나타내는 AAC 상징 인식 비교 연구

        채수정 ( Soojung Chae ),홍기형 ( Kihyung H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아동들과 그 또래아동들이 감정을 표현하는 그림 상징을 보고 그 상징을 어떻게 명명하는지, 또한 감정이 설명되어 있는 짧은 글을 듣거나 읽고 난 뒤, 그 내용에 맞는 그림 상징을 선택하게 될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지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자폐성장애아동 15명과 같은 학년 또래 아동 15명이 참여하였고, 연구도구로 상징인식 설문 과제지를 사용하였다. 설문과제에 쓰인 그림 상징은 PCS™ (Picture Communication Symbols) 이고, 해당감정으로 Ekman (1972)의 기본 감정 중 유아기까지 발달한다는 ‘기쁘다’, ‘슬프다’, ‘화나다’, ‘두렵다’의 4가지 감정에 대한 인식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로부터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와 중재충실도를 구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방법과 독립표본 Mann-Whitney의 U 검정을 활용하여 분석,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자폐성장애아동들은 ‘기쁘다’를 나타내는 상징에 가장 높은 정반응률을 나타냈고, “두렵다”에 대한 상징에 대하여 가장 낮은 정반응률을 나타내었다. 또래 아동들은 ‘슬프다’에 가장 높은 정반응률을 나타내었고, ‘두렵다’의 감정을 나타내는 상징을 명명할 때 보다 많은 오류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폐범주성장애아동들은 ‘슬프다’와 ‘두렵다’를 표현하는 상징을 명명하는데 또래 아동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오류를 많이 보였다. 또한 그림상징 을 선택하는 과제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이 네 가지 감정을 모두 그 의미를 나타내는 상징을 선택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오류를 많이 보였다. 감정의 상황을 설명하는 스크립트가 제공되었을 때, 두 집단에게 아무 정보 없이 목표 감정을 명명하는 과제보다 목표감정의 그림 상징을 선택하는 수가 늘어났다. 이 연구를 통해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을 위하여 AAC 상징을 선택하고 훈련하는데, 참고하고 지향해야 할 사항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 on symbols depicting four emotions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ir peers. 15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15 their peers did two tasks: The task 1 was to name each symbol respectively and the task 2 was to select a symbol after listening or reading a script which described an emotion such as happy, sad, angry, and afrai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s to compare the results from the two groups. As results, the symbols depicting happy was easiest to name among four emotions in both groups. Howeve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wed lower perception on the symbols depicting four emotions from naming and selecting tasks compared to their peers. Therefore it is cautious for special educators, speech pathologist, or professionals to choose and use AAC symbols at the early stage in AAC training. Also symbol learning sessions are necessary to reduce some discrepancy on symbol perception of some emotions between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ir communication partners.

      • KCI등재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분수 개념 이해도 향상을 위한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의 활용 효과 비교

        신미경(Shin, Mikyung),채수정(Chae, Sooj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분수 개념 이해도 향상을 위한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일제 통합학급에서 수업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4-6학년 경도지적장애 학생 4명을 대상으로 기초선을 가진 교대중재설계를 적용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분수 개념을 학습시키기 위하여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 중재를 실시하였고 두 중재 방법은 무작위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 4명 모두 기초선보다 중재 구간에서 분수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재의 향상 정도 및 통계적인 유의미성은 중재 유형 및 학생별로 상이하였다. 중재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중재의 경우 더욱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적 구성요소에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적인 표상과 가상조작물을 활용한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가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분수 개념을 이해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중재는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에도 기여하였으며, 학생들의 특성 및 선호도를 고려한 교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explicit, systematic instruction with the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and virtual manipulative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fraction concept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We used an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with baseline for fou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grades 4 and 6 in a full-time inclusive classroom at a general school. Participants received explicit, systematic instruction with the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and virtual manipulations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fraction concepts. The order of implementation of intervention was selected randomly for both visual representations and virtual manipulatives. Results: All four participa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grades 4 and 6 showed an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fractions in the intervention phase compared to the baseline phase. However, the degree of improvemen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nterventions differed by intervention types and students. Regarding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 intervention, students generally demonstrated a higher preference in the case of intervention using virtual manipulatives rather than visual representations, and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ith an explicit, systematic instructional componen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xplicit and systematic instruction with the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and virtual manipulatives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fraction concepts. This intervention also contributed to students’ active engagement in learning,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diverse instructional needs and learning preferenc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Three Common Early Indicator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and Their Roles in Screening and Assessment

        Chae, Sooj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2 특수교육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three indicator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which were “response to name”, “joint attention”, and “imitation”. There is a arrangement of social communication parameters that are important early indicators of ASD, particularly deficits in three aspects listed above. In addition, the roles of these indicators in two popular behavior scales, Developmental Profile(CSBS-DP) and the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ADOS) Module 1, were analyzed with a case study of a boy. These scales have high degree of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inter-rater reliability, and high validity among other popular tools for ASD screening. In the case, the boy was 24 months old and recently diagnosed as ASD. Using ADOS, his behaviors were observed and recorded. Based on the observation, he demonstrated deficits in areas of the three behaviors. A summary of the review suggests that these indicators still play important roles in diagnosis and assessment of ASD as well as early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SD.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조기 판별 시 의사소통기능에서 일반적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이름에 반응하기(response to name)”, “응시하기(joint attention)”, “모방하기(imitation)” 기능의 특성과 역할을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 자폐범주성 장애 선별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두 가지 검사도구, Developmental Profile(CSBS-DP)과 the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ADOS) Module 1의 항목 중 위에 열거한 세 가지 지표 중심으로 분석하고 선별의 예(Matthew의 사례)를 첨부함으로써 그 지표들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연구 결과, “이름에 반응하기”, “응시하기”, “모방하기”의 세 가지 지표는 자폐범주성 장애 조기 진단 및 선별, 그 이후에 연결되는 조기중재 결정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