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애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

        현미나 ( Mi Na Hyun ),채규만 ( Kyu Man Chae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6 No.4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attempted to verify its effect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factor showed that both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for married men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hile such correlation was only observed in avoidance attachment for married women. Emotional dysregula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Secondly, a t-test was performed to find ou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nd it showed that women experienced more emotional dysregulation than men, and men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than women. Thirdly,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indicated that only the married men, but not the married women, demonstrated such effect.

      • KCI등재후보

        한국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Gottman의 이론을 중심으로

        홍순건 ( Soon Kun Hong ),채규만 ( Paul Kyu Man Chae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0 人間理解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부부의 결혼생활 만족도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변인을 살펴보았다. 경험과학적인 부부치료 연구를 시행한 Gottman의 이론의 주요 변인 중, 기존의 부부치료 연구에서 강조된 요인을 선택하였다. 부부 관계에서의 인지적(서로를 아는 정도, 의미를 공유하기), 정서적(좋아하고 존중하는 마음), 행동적(의사소통의 악화요인, 회복 시도하기, 배우자의 영향력 수용하기)인 측면과 결혼 만족도와의 관계, 결혼 만족을 가장 많이 예측하는 변인, 남편과 아내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자료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부부에게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으며, 총 490명의 부부(245쌍)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 악화요인(비난, 경멸, 방어, 담쌓기)의 정도가 결혼 만족도의 60%를 설명하는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서로를 좋아하고 존중하는 마음, 의미를 공유하는 것, 서로에 대해 아는 정도가 결혼 만족의 73%를 예측하였다. 남편과 아내의 결혼에 대한 만족 및 지각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 측면은 남편은 아내에 비해 대체로 결혼생활 만족, 배우자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가 높았다는 점이다. 또한 남편은 좋아하고 존중하는 마음, 아내는 의미를 공유하는 정도를 각각 더 중요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South Korean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John Gottman`s theory. Married couples (N = 245)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asked to fill out Global Distress subscale of the K-MSI and 6 scales developed by Gottman (i.e., Love map, Shared meanings, Fondness and admiration, Communication barriers, Accepting influence, and Repair attempts).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ir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as best predicted by perceived communication barriers; Fondness and admiration, Shared meanings, and knowledge about one`s spouse were also significant predi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Additionally, husbands reported more marital satisfaction and showed more positive feelings toward their spouses. Fondness and admiration was found to be the second largest predictor for husbands, whereas it was Shared meanings for wives.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부적응 도식과 경계선 성격 성향의 관련성에서 부적응적 방어의 매개효과

        김성륜 ( Sung Yoon Kim ),채규만 ( Kyu Man Cha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부적응 도식과 경계선 성격 성향의 관련성에서 부적응적 방어의 매개효과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성인남녀 420명이었으며, 한국판 도식질문지(Young Schema Questionnaire), 한국판 방어유형 질문지(Korea-Defense Style Questionnaire),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Borderline Features Scale; PAI-BOR)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 도식의 성향이 강하게 나타날수록 경계선 성격 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적응적 방어(미성숙, 자기억제, 갈등회피)를 많이 사용할수록 경계선 성격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적응 도식과 경계선 성격 성향의 관련성에서 부적응적 방어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부적응적 방어는 부적응 도식과 경계선 성격 성향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적응 도식은 경계선 성격 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부적응적 방어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의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의 모형적합성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maladaptive schemas, and maladaptive defense. For this reserch, four hundred twenty nine male and female adults over eighteen years old were administered with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 Korea-defense style questionnaire and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borderline features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schemas and maladaptive defense.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by using variables such as maladaptive schemas and maladaptive defense showed significant accountability for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Second, maladaptive defens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ladaptive schemas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directly or indirectly. Further, the path model showed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defense styles through Bootstrap test.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esented.

      •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민선 ( Min Sun Park ),채규만 ( Kyu Man Chae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3 人間理解 Vol.34 No.2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419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RAAR),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척도(SADS), 역기능적 신념 척도(DBT),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SSES)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16.0과 AMOS 16.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상관분석에서 사회불안은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과 역기능적 신념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 자기효능감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두 개의 매개변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본 연구의 연구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경쟁모형과 적합도지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역기능적 신념의 경우 완전매개모형인 경쟁모형의 모형적합성이 검증되었고,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경우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의 모형적합성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beliefs and soci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419 students recruited from universities in theSeoul and Gyeonggi areas in South Korea. The Adult Attachment Scal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Dysfunctional Beliefs Test, and Social Self- Effica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anxie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secure adult attachment(anxious attachment) and dysfunctional beliefs, while social self-effica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dysfunctional beliefs. Second, dysfunctional belief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Third, social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result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반사회적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 효과

        박서현 ( Seo Hyun Park ),채규만 ( Kyu Man Chae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1 人間理解 Vol.32 No.2

        본 연구는 반사회적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성인 609명을 대상으로 반사회성 척도, 공격성 척도, 초기 부적응 도식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반사회성과 초기 부적응 도식은 공격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전체 집단을 분석한 결과, 초기부적응 도식은 반사회성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매개한 도식은 불신, 특권의식, 유기, 위험, 고립, 부족한 자기 통제, 정서적 억제, 결함, 융합, 엄격한 기준, 의존, 정서적 결핍, 복종, 실패 순이었다. 셋째, 성별로 검증해 본 결과, 남성 집단에 매개한 도식은 불신, 특권의식 다음으로 설명량이 큰 것이 고립 도식이었으며 남성 집단에서만 정서적 결핍, 복종, 실패 도식이 나타났다. 여성 집단은 위험 도식이 가장 큰 설명량을 보였고, 남성 집단과 달리 엄격한 기준 도식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의 초기 부적응 도식을 파악하여 심리 치료에 활용하는 것은 물론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the relation between antisocial personality and aggression. A total of 609 participants filled out the MMPI-2 Psychopathic Deviate scale, the Aggression Question-Korean version, and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Short Form.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antisocial personali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were positively related to aggression. Additionally, results from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s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antisocial personality and aggression. For male participants, schemas regarding mistrust, entitlement, and social isolation accounted for the variance in aggression the most, whereas schema regarding harm was the case. The findings imply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 should be a variable to consider, especially in designing a program whose main purpose is to reduce aggression.

      • KCI등재후보

        성폭력 피해 아동의 진술에 대한 준거기반 내용분석의 활용 가능성 연구

        고은영(Ko, Eun-young),채규만(Chae, Kyu-man) 한국범죄심리학회 201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7 No.3

        Criteria-Based Content Analysis(CBCA) is one of the most popular statement analysis methods to asses for the credibility assesment used for the sexually abused victims. CBCA consists of 19 content criteria. Each criterion is an indicator of truthfulness of a statement, and is more frequently present in truthful statements rather than in fabricated 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pplicability of CBCA for video recording of children's interview regarding their sexual abuse experiences. It was hypothesized that CBCA scores for the sexually abused children's statement about their sexual abuse would be higher than those of children's statements who have not experienced sexual abuse. The numbers of subjects under thirteen years old children with sexual abuse were 24, and the numbers of subjects with no sexual abuses were 15. The twenty four children with sexual abuse were screened and positively identified as sexual abuse victims by the other six sexual abuse indicators such as the medical evidences, confession of suspects,eyewitness, physical/material evidences, behavioral symptoms and parent reports/psychology t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hildren who experienced sexual abuse receiv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CBCA scores than those of the children who have not experienced sexual abuse. In addition, 13 criteria of CBCA were able to significantly discriminate the sexually abused children's statements from the non-sexually abused children's statements about truthfulness of their testimon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conducted. Finally,som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준거기반 내용분석(Criteria-Based Content Analysis: CBCA)은 성폭력 피해 아동 진술의 신빙성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진술분석 방법이다. CBCA는 19개의 내용 준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별 준거들은 진술의 진실성 지표로써 허위로 꾸며낸 진술보다 진실한 진술에서 더 많이 나타날 것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 아동의 진술녹화 영상자료에 대한 CBCA의 활용 가능성 연구를 위해 실시되었으며,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의 진술이 성폭력 피해를 경험하지 않은 아동의 진술보다 CBCA점수가 더 높은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 연구대상자는 24명이고, 성폭력 피해를 경험하지 않은 아동 연구대상자는 15명이었다.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 연구대상자는 의학적 증거, 용의자 자백, 목격자 진술, 물리적 증거, 전문가 행동관찰, 그리고 부모보고 및 심리검사를 고려하여 선별되었다. 연구결과,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의 진술은 성폭력 피해를 경험하지 않은 아동의 진술보다 CBCA 총점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13개의 준거가 두 집단을 유의미하게 구별해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CBCA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CBCA를 통한 성폭력 피해 아동의 진술분석이 활용 가능함을 지지해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

        김신연 ( Shin Yeon Kim ),채규만 ( Kyu Man Chae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3 人間理解 Vol.34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및 기타 지역에 소재하는 남녀 대학생 414명을 대상으로 자살사고척도(Suicidal Ideation Questionaire: SIQ),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척도, 지각된 사회적지지 척도, 삶의 의미 척도(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MLQ)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SPSS 17.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지지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가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자살사고를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높을 때 지각된 사회적지지가 높거나, 삶의 의미 수준이 높다면 자살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임상적 함의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meaning of life in a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414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filled out Life Stress, Suicidal Ideation, The meaning of Life,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relationship between an undergraduate student`s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the meaning of life had the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an undergraduate student`s life stress and undergraduate student`s suicidal ideation. The results have an implication in prevention of, and intervention in an undergraduate student`s suicidal ideation.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were made at the 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