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자 수학사 특강'의 학습효과

        차인숙,한정순,Cha, In-Sook,Han, Jeong-Soon 한국수학사학회 2006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9 No.4

        본고에서는 수학사의 교수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에게 적합한 수학사 특강 자료 3차시(120분) 분량을 개발하여, 이를 수학자가 직접 학생들에게 강의함으로써 수학사 내용 및 수학자로 인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수학사 내용뿐만 아니라 수학자와의 만남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 형성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athematics history lecture on elementary students' math learning. Pre- and post-tests were done for 33 6th grade students before and after 3-units of mathematics history lecture by a mathematician. The results show that the lecture improved students' interests and confidence on math. Especially, the tests present a positive change in students' attitudes on math and results in an increased curiosity on and willingness to study math. This study shows a consistent result with previous studies of teaming effects of introducing mathematics history in math.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at even 3-units of math history lecture can significantly improve students' attitude and belief on math learning. Given the positive effects of math history lecture on students' math loaming, it is implicated that math history be included in the formal elementary math curriculum and more participation of math history experts in math.learning processes is needed.

      • KCI등재

        Wajsberg hoops와 가환 BCK-대수

        차인숙,Cha, In-Sook 한국수학사학회 2007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0 No.1

        본 논문은 Wajsberg hoops, BCK-대수와 MV-대수의 도입과 그 발전과정을 간단히 소개하고, Wajsberg hoops, MV-대수, 그리고 가환 BCK-대수의 관계를 살펴본다. 특히 모든 Wajsberg 대수는 가환 BCK-대수가 됨을 규명한다. This paper delineates some history and developments of Wajsberg hoops, MV-algebras and commutative BCK-algebras. It also discuss some relations on them. Finally, it shows that every Wajsberg hoop is a commutative BCK-algebra.

      • KCI등재
      • KCI등재

        학교교육의 책무성 제고를 위한 학교평가지수 산출모형 비교: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강상진(Sang-Jin Kang),차인숙(In-Sook Cha),김성연(Sung-Yeon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our generic types of accountability models(i.e., status model, growth model, value-added unconditional model, value-added conditional model) in terms of “consistency”, “fairness”, and “feasibility” by analyzing th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2005~2007 which is a national sample of 6,908 students and 150 middle schools. The results show that (1)the four models reached inconsistent evaluation for each of the schools, but value-added conditional and unconditional model produced highly close evaluation indices, and(2) the school indices produced by the value-added model showed the lowest correlation with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value-added unconditional model is a credible and feasible model that can be used to identify effective and ineffective schools. 이 연구는 학교교육 책무성 모형에서 학업성취도를 준거로 사용하는 다양한 학교평가지수 산출모형을 경험적 관점에서 비교한 것이다. 학교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모형인 지위모형, 성장모형, 부가가치 기초 및 연구모형을 수리모형, 적용방법, 모형 간 합치도, 모형적용의 용이성과 평가의 공정성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으며, 한국교육종단연구(한국교육개발원, 2005-2007)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평가지수는 모형에 따라 상이(相異)하게 산출되어 지수간 합치도가 낮았다, 따라서 어떤 모형을 적용하는가에 따라 학교평가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의 공정성 측면에서 부가가치 연구모형이 산출한 학교평가지수는 학생의 배경변수와 가장 상관이 낮았으며, 부가가치 기초모형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학교평가지수의 학교간 서열 순위에서도 두 모형 간에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수학과 교육과정 실제 및 분석

        김민경,노선숙,유현주,조성민,차인숙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1 교과교육학연구 Vol.5 No.1

        21세기 지식기반사회는 자기 주도적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해석하며 판단하는 능력과 지적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학교수학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수학교육과정에 담겨져야 할 수학적 지식의 구조․내용․범위, 지식기반 사회에 적합한 수학과 교수-학습, 평가, 교사역할 등 역시 새로운 관점에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는 학교 현장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하고 개인의 필요성과 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것이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의 기초 단계로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현장 설문 조사를 전국 규모로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Goodlad의 학교 교육과정 탐구의 개념적 구도를 바탕으로 한국 교육의 실정을 반영하여 설계되었다. 수학 교육과정 실체의 다양한 국면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 내용은 목적 및 목표, 교과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수학적 지식의 성격, 교육정보화, 교사교육, 사교육, 교육과정일반으로 구성되었다. 본 고에서는 Goodlad의 교육과정 탐구모형과 그 모형에 기초하여 작성된 본 연구의 수학교육과정 탐구모형, 실시된 설문조사의 방법 및 절차를 소개하였고, 설문조사의 주된 결과를 토대로 수학교육과정 개발연구에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mathematics curriculum model of Korea based on a national survey of teachers (527), students (1314), and parents (638). It is our belief that understanding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ose involved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education needs to be the first priority in any effort to explore better mathematics curriculum model. For the study, Goodlad's conceptual system for curriculum inquiry has been used, but modified to take into account Korean context and the nature of mathematics curriculum.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Goodlad's curriculum inquiry model and mathematics curriculum inquiry model based on the Goodlad's conceptual system as well as the survey process. We made few recommendations from the main results of the survey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model in Korea.

      • KCI등재

        창조적 지식기반사회의 수학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 수학교육목표에 대한 교사 , 학생의 인식 A Foundational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Model for a Creative Knowledge - based Society

        김민경,차인숙,노선숙,유현주 한국수학교육학회 2001 수학교육 Vol.40 No.2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students want to learn and what mathematics teachers should teach in their classrooms. 1314 students and 527 mathematics teachers were randomly selected to administer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shows that their is a considerable mismatch between students' learning desires and teachers' teaching practices in classrooms. What students want to learn is creative knowledge; however, what they learn in the classroom is 'imitative' knowled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overall educational goal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should emphasize (1) learning to communicate mathematically, (2) learning to reason mathematically, (3) becoming confident in pupils' own ability, (4) learning to value mathematics, and (5) becoming mathematical problem solv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