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현실주의 기법에 기초한 마르세 반더스 디자인 사례연구 : 의자 디자인을 중심으로

        차승화(Cha Seunghwa),엄기준(Um Kijoon),차승화(Cha Seunghw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4

        20세기 초 기성 사회와 미술에 대한 저항정신 속에서 등장한 초현실주의는 예술분야는 물론 디자인 영역에까지 그 영향력을 미쳐왔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부터 지금까지 오랜 기간을 통해 환상성이나 의외적 참신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많은 디자인들 속에서 초현실주의적 기법의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다. 21세기적 정서와 잘 맞는 이 스타일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초현실주의 기법이 가지고 있는 공식을 디자인 방법론으로 체계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의외적 참신성이 강한 스타일로 국제적 명성을 얻고 있는 마르셀 반더스의 디자인을 초현주의실적 기법의 관점으로 해석해보는 사례연구를 통해 실내 및 가구 디자인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초현실주의적 발상모델을 발굴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범위는 마르셀의 활동영역이 광범위한 만큼 그의 명성을 이끌어준 의자디자인에 국한했고 연구방법은 관련 문헌 및 웹페이지를 기반으로 고찰 중심의 연구로 진행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초현실주의 기법 8가지 유형의 특성을 함축화시켜 내용을 정리한 준거의 틀로 삼아 분석한 결과 데페이즈망 콜라주 몽타주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데페이즈망형은 비상식적인 개념적 조합으로 의외성을 콜라주형은 색다른 재질과 색상의 조합으로 참신성을 몽타주형은 비상식적인 물리적 조합과 합성으로 조화성을 추구하는 공식을 갖고 있었다. 이 발상의 공식들은 마르셀의 감각적 디자인에서도 볼 수 있듯이 기능보다는 감각적 측면의 매력을 발휘할 수 있게 도움을 주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공식의 교육 및 실무적 응용은 감각적 디자인 개발을 위한 훈련에 있어 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창의적 발상을 효과적으로 훈련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론 모델을 추가하는 일은 디자인 분야의 이론적 토대를 확대하는 것에 일조하는 것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Surrealism which had been appeared to resist the traditional society and art in the early 20th century has had a influence on art and design.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techniques have been shown at fantastic and unexpected design styles. Therefore Surrealism techniques need to be developed by a design method to create the fantastic and unexpected design styles as the promising style for the 21st century. For the reason this study was based on Marcel Wanders's design cases which have unexpected and novel style. The object of this case study is to develop the new thinking process that creates a surrealistic style for interior and furniture design. This research focuses on Marcel's chair design series which has made him to be an world-famous designer. It was studied by literature and webpage review. And then the analysis on review resources has been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are three types; depaysement collage montage as unexpected novel harmonious types. Those are attractive points for his sensuous style These types give us shock play richness to enjoy sense. For practicing Marcel's style there are needed the thinking process that is oriented Surrealism techniques. Through this new thinking process model a theoretical basis for design education and field will be expanded.

      • KCI등재

        사용자이득기준에서 조명된 국내 부엌 디자인의 현대화 과정에 관한 연구

        차승화(Cha Seunghw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4

        디지털기술은 또 하나의 역사적 전환점을 마련하며 이 시대를 대표하는 주요기술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이 기술은 오늘날 우리 생활문화 전반에 깊이 침투되어 있고 부엌문화 또한 영향권 안에 있다. 디자인에 있어 기술의 수용은 과시적 측면에서 보다는 현재의 기술수준에 맞는 현실적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성숙된 면모라고 볼 수 있다. 즉 기술에 주도되는 디자인 보다는 기술을 적절히 구사할 줄 아는 디자인이 더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시대에 나타나는 부엌디자인들은 사용자 중심적인 디자인 보다는 기술 과시적 개념으로 접근된 것이 더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국내 부엌디자인에 있어 디지털 기술의 올바른 활용의 개념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사용자이득기준의 관점에서 국내 부엌디자인의 현대화 과정을 조명해보고자 하며 그 맥락 위에서 디지털시대의 사용자 중심적인 부엌디자인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Digital technolog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this ear. Today's life including kitchen culture is based on this technology. In design processes there are many cases that high technology as like digital technology leads the design concept without enough human informations. This is pronounced even in the recent kitchen design. For the reason this research aims to find the important design factors for the user centered design of kitchen in the Digital era. To find the factors Martha & Lee theory has applied for classify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Kitchen Design Style in Modernization The main finding are as follows. 1960s style focused on Behavioral Facilitation in Martha and Lee s User Benefit Criteria. 1970s style added Physiological Maintenance to Behavioral Facilitation. 1980s style added Social Facilitation to Behavioral Facilitation Physiological Maintenance 1990s style added Perceptual Maintenance to Behavioral Facilitation Physiological Maintenance Social Facilitation 2000s style focused on the synergy among the all factors of Martha and Lee s User Benefit Criteria. The User centered design for kitchen is very valuable approach in the Digital era. In the future we have to consider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and then apply the digital technology in the kitchen design process. Therefore the user centered design of kitchen in the Digital era needed to create the idea considered the future trend which was analyze on the basis of Martha and Lee's User Benefit Criteria in korean kitchen modernization.

      • KCI등재

        U-Korea'를 추구하는 도시디자인의 조건에 관한 연구

        차승화(Cha Seunghw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4

        최근 급변하는 세계정세와 기술 환경 속에서 경제적 자립 기반을 마련해야하는 국내 도시들은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마케팅 기법을 정책적으로 수용하기 시작하였고 그 전술적 수단으로 도시디자인을 활용해오고 있다. 아직 초보적 단계에 있는 국내 도시디자인이 유비쿼터스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도 그 발전을 지속해 나가기 위해서는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필요한 도시디자인의 조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비전으로서 한국적 유비쿼터스를 추구하는'U-Korea'전략을 준거의 틀로 삼아 우리가 주목해야 할 새로운 도시디자인의 조건을 조명해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논의 전개를 위해 이 논문은 첫째 국내 도시디자인에 관한 고찰과 둘째 유비쿼터스에 대한 국가 비전에 관한 고찰을 위해 문헌조사를 진행하였고 마지막 단계에서 그 고찰 결과들을 종합하여'U-Korea'를 추구하는 도시디자인의 조건을 조명해보았다. 그 결과 국내 도시디자인의 측면에서는 현실적으로 장소성을 핵심요소로 규정하는 디자인 지침 마련이 요구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고,'U-Korea'는 우리 고유의 생태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그 기반 위에 고유의 유비쿼터스 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을'U-Korea'를 추구하는 도시디자인의 관점에서 종합해본 결과,'U-Korea'에 담겨있는 한국의 생태적 인프라 위에 우리 고유의 유비쿼터스 도시문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정서와 문화가 도시 공간과 융합되는 한국적 장소성에 대한 정의와 모델이 필요하고 이것을 지원하기 위한 한국의 생태적 유비쿼터스 인프라 활용방안의 모색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이 오늘 우리 도시디자인의 새로운 조건으로서 이 조건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서는 한국형 라이프스타일과 밀착된 지능화 도시환경을 추구하는'U-Korea적 장소 서비스'개발이 시급하고 이에 따른 차세대 도시디자인의 비전 또한 새롭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In these days the importance of urban design have come to the fore front in this country. We need to plan it that the design keeps develop in ubiquitous era. For the reason Korean urban design have to find the needs of ubiquitous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Korean urban design for the next generation based on 'U-Korea'. To do so the references were reviewed on the status of Korean urban design the national vision of Korea. And then the prerequisite of urban design for 'U-Korea' was analyzed with the results of the reviews. In this process we find the role of place in urban design which is relationship building between human being nature and culture and also the vision of U-Korea which is the Korean identified ubiquitous. Through the synthesis of the results. this paper is able to propose a'U-Korea place' as the fundamental design factor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urban design.

      • KCI등재

        디자인박물관의 웹기반 디자인교육

        최정아(Choi Jeongah),차승화(Cha Seunghw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4

        21세기 문화경제시대에 디자인 경쟁력 강화에 관한 논의는 시대적 화두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디자인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국가차원의 웹기반디자인교육인프라 구축을 위한 제언을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박물관 교육에 관한 문헌조사를 통해 산업시대에서 정보시대로 변화하며 박물관 교육이 기술의 발전과 함께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사례조사로서 연구대상을 디자인선진국인 영국과 미국의 국립디자인박물관 웹사이트로 선정하여 이곳에서 제공 중인 디자인교육콘텐츠를 크게 축적형 콘텐츠인 데이터베이스 및 알카이브와 쌍방향형 콘텐츠인 교육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인교육자원의 집적화와 연계화속에 디자인교육을 활성화하는 디자인박물관의 웹기반디자인교육의 가치와 필요성을 밝힘으로서 관련분야의 학문적 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한국 디자인 경쟁력 강화와 디자인저변인구 확대를 위한 디자인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uilding a web-based educational design infrastructure as a method in strengthening Korean design competitiveness one of the critical design issues in the 21 century the cultural economic era. To conduct this research references were reviewed to comprehend the change of museum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rom Industrial era to Information era. Website analysis of select national design museums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were developed by dividing the design educational contents provided on the websites into databases and archives accumulated contents and educational programs interactive contents. In this study the value and the necessity of web-based design education of design museums are discussed for the development and further reinforcement of design education and Korean design competi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