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차수민,Cha, Su-Mi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by conducting a systematic review of domestic research on clinical fieldwork in occupational therapy. From 2000 to 2019, papers registered in the Google Scholar, RISS, KISS, and National Library of Korea databases were searched. The search term was "Occupational Therapy" AND "Clinical Fieldwork", and a total of 8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trend,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 collection method were surveys 6 studies(75.0%), and the most frequent subject wer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as 6 studies(75.0%). The most frequent main theme was satisfaction of clinical fieldwork 4 studies(50.0%). In the future, it was confirmed tha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clinical research related to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is needed. 본 연구는 국내 임상실습 관련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함으로써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임상실습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000년부터 2019년까지 RISS, KISS, Google Scholar,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Occupational Therapy" AND "Clinical Fieldwork"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8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 연구 8편(100.0%) 모두가 Level IV(조사연구)에 해당하여 질적 수준이 낮은 편이었다. 또한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조사가 6편(75.0%)으로 가장 많았으며 작업치료 전공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6편(75.0%)으로 가장 많았다. 주요 주제는 임상실습만족도가 4편(50.0%)으로 가장 많았으며, 임상실습교육체계와 임상실습에 따른 변화가 각각 2편(25.0%)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 관련 연구의 양적, 질적 성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향후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임상실습교육 발전방안을 확립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차수민(Cha, Su-Min)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 관련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연구 선정기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총 20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Level Ⅳ에 해당하는 연구가 17편(85.0%)으로 대부분이었다.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요인과의 상관성 대한 연구가 9편(47.4%)으로 가장 많았으며,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 관련 연구는 미비하였다.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직무요구, 관계갈등, 부적절한 보상, 업무이외의 스트레스, 업무량과 같은 항목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난 연구의 빈도수가 높았다. 결론 : 추후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과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관련 연구뿐만 아니라 질적 수준이 높은 연구들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job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job stress related research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actors related to job stress. Methods : From 2000 to 2019, a total of 20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by searching the articles registe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research selection criteria.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study, 17 studies (85.0%) corresponding to Level IV were mo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trend, there were 9 studies (47.4%) o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studies on job stress coping strategies were insuffici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therapist s job stress, the frequency of significant results was high in items such as job demand, interpersonal conflict, lack of reward, job stress other than work, heavy duties. In the fu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need to actively conduct research with high quality as well as research related to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to prevent occupational therapist s job stress. Conclusion : Through this, if job stress is reduced, it will lead to effects such as increased job satisfaction and improved job involvement, and it is expected that the overall quality of work can be improved, including improving the quality of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휠체어에 앉은 자세에서 두경부 자세가 설골 움직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차수민(Su?Min Cha),김희수(Hee?Soo Kim) 대한인간공학회 2010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craniocervical posture on swallowing and hyoid bone movement with sitting posture in wheelchai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treatment program for dysphagia. A total of sixty healthy adults without a history of dysphagia who were guardians or care assistants of inpatients at Hospital Kunderwent video fluoroscopy performed by physiatrists from April to July 2009. The results of the fluoroscopy were analyzed based on the measurement of hyoid bone movements. The hyoid bone movement(horizontal, vertical, and diagonal)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neutral craniocervical, chin-tuck, and sixty degrees extension postures, in descending order(p<.05). It was found that the neutral craniocervical posture is the most effective posture for hyoid bone movement with sitting posture in wheelchair.

      • KCI등재

        재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차수민(Cha Su-Min),이혜진(Lee Hye-Ji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본 연구는 재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재가 치매노인의 맞춤형 주거환경 디자인 개발, 지역사회 재가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정책 수립에 필요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연구 선정기준에 따라 Google Scholar, KISS, RISS,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총 5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모든 연구가 Level Ⅳ(조사연구)에 해당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가 배우자, 자녀, 며느리 등을 포함한 치매노인의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연구 5편 모두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현황 및 개선요구를 큰 주제로 하였고, 주요 세부 주제는 치매 유형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2편(40.0%), 치매증상 단계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 치매 관련 증상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 주거 공간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으로 나타났다. 결론: 향후 효율적인 재가 치매노인의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안이 도출되기 위해서는 주택개조 지원 제도 및 관련 정책의 변화, 다학제적 접근법에 대한 적용방안 마련 및 검토, 치매노인 주거환경 개선 관련 분야에서의 작업치료사 역량 강화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다차원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thereby presenting the research direc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housing environment desig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a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Methods : From 2000 to 2020, according to the research selection criteria,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searching articles registered in the databases of Google Scholar, RISS, KIS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finally selecting a total of five studies.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research, all of the researches corresponded to Level IV(research study), and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All studies conducted a survey on housewiv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cluding spouses, children, and daughter-in-law. As a result of analysis of main themes, 2 studies(40.0%) of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type of dementia, 1 study(20.0%) on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dementia symptom, 1 study(20.0%) on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dementia-related symptoms, 1 study(20.0%) on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by housing space was found. Conclusion : In order to derive an efficient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tailored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changes in the housing remodeling support system and related policies, preparation and review of application plans for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nd improvement of the hous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strengthen the competence and expertis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ield. Multidimensional research for securing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 지체장애인의 자가운전에 대한 부산지역 일반인들의 인식도 조사

        차수민 ( Su Min Cha ),이지원 ( Ji Won Lee ),오현정 ( Hyeon Jeong Oh ),이수완 ( Su Wan Lee ),이지숙 ( Ji Sook Lee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5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9 No.1

        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자가운전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부산지역 일반인을 대상으로 자가운전의 필요도와 요구도를 조사함으로써 차후 운전재활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4년 5월 10일부터 5월 23일 까지 부산지역의 일반인 150명을 대상으로 지체장애인의 자가운전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해 방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 지체장애인의 경우 안전운전이 어렵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장애인의 자가운전의 필요성 및 욕구에 대해서는 이동권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하였고, 이를 위해 교육이나 훈련시설 및 인력 확충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결론: 일반인들의 장애인들의 자가운전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하고, 지체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운전재활 시스템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관련 법 및 제도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basis for the necessary help enable future driving rehabilitation plan prepared by examining the public awareness of busan on self-driving by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Methods: From May 10th, 2014 to May 23th, 2014 visit to the survey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operation of the self-awareness of the handicapped for the public 150 people in Busan. Results: For most of the physically disabled had to recognize safe driving is difficult. But the move was necessary to secure the rights for the disabled driving needs and desires of the self, and that the expans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facilities and personnel required for this purpose. Conclusion: Driving awareness of the need to improve the public for the disabled and handicapped targeted at professional and systematic driving rehabilitation system activation is required. In addition, laws and institutions will be needed to support this improvement.

      • 한국 재가노인복지서비스체계의 현황 및 발전방향

        차수민 ( Su Min Cha ),정재엽 ( Jae Yup Ju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5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노인복지서비스체계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한 고찰, 문제점 도출, 외국의 재가 노인복지서비스체계에 대한 검토 등을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체계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국, 영국, 일본 등 외국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체계의 유형과 프로그램, 전달체계 등과 같은 현황 파악을 바탕으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한국의 재가노인서비스는 노인복지법에 의한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주간보호, 단기보호, 가정 봉사원 양성사업 등이 있으며,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한 재가복지서비스, 그리고 의료법에 의한 방문 의료서비스 등이 있다. 하지만 재가노인서비스는 노인이나 노인가족의 부양기능의지지 및 보충만이 언급되어 있어 예방적 측면이 제외되어 있는 형편이다. 뿐만 아니라 노인복지는 사회적 서비스나 보건, 의료서비스만을 가지고 충족될 수 없음에 불구하고 복지와 보건의료 서비스 체계간의 연계가 되지 않아 중복지원 등 자원의 낭비가 심화되고 있는 등 다양한 문제점들을 노출하고 있다. 결론: 지금까지 복지 전반에 걸친 국민의 욕구가 증가하고 다양해지면서 복지대상의 확대와 보호수준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노인시설은 수나 특성에 따른 다양성측면에 있어서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현황 파악 및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외국의 선진사례를 바탕으로 최적의 노인복지서비스체계를 확보함으로써 재가노인들이 가족이나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고 더 나아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recognizes about the present situations of Korean home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nd to recognize a direction of Korean home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ctuality of our country. Methods : We reviewed that Korean home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problem, other foreign welfare service system of the United States, Britain, Japan through a study of literature, which is a basis that offers vitalization of Korean home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Results : In health medical treatment policy that is enforced present is elderly health support business, elderly home medical welfare, elderly long term care insurance ect. However, this policies are displaying problem in a lot of places. Conclusion : Therefore, finding solution about these problems, establish policy laying on-time and constant plan, prevention medical care such as health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early diagnosis, early treatment, may offer elderly health care system that is specialized with medical expense curtailment.

      • KCI등재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스마트홈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차수민(Cha, Su-Min)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3 No.1

        연구목적 : 장애인의 스마트홈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스마트홈 관련 제도 및 정책수립, 시스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의 선정기준에 따라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검색하여 총 5편의 연구가 최종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수준 분석, 연구분야 분석, 방법론적 분석 및 주요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의 질적 수준 분석 결과, Level Ⅲ이 3편(60.0%)으로 가장 많았으며, 학술지 연구 분야 분석 결과, 학제간 연구가 2편(40.0%)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은 스마트홈 사용 장애인이 3편(60.0%)으로 가장 많았다. 주요 주제분석 결과, 장애인의 스마트홈 구축 사용성 평가가 3편(60.0%), 장애인의 스마트홈 기술제안이 2편(40.0%)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스마트홈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한 첫 번째 연구로써 현재 관련 연구가 미비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관련 연구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다각적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 : By analyzing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smart home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I intend to establish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smart home related systems and policy establish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Methods :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study, a total of five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by searching the papers registered in the database from 2000 to 2020. For the final selected research, qualitative level analysis, research field analysis, methodological analysis, and major subject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research, Level Ⅲ(Non-randomized one group studies) was the most with 3 articles(60.0%), an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eld analysis of academic journals,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were the most with 2 articles(40.0%). As for the study subjects,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smart homes were 3 articles( 60.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ain topics, evaluations of the usability of smart home construction for the disabled were 3 articles(60.0%) and of smart home technology proposals for the disabled were 2 articles(40.0%). Conclusion :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the first study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smart hom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urrent related research is very incomplet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presenting the necessity and research direction for future multilateral research.

      • KCI등재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차수민(Cha, Su-Min),김형준(Kim, Hyung-Jun),이지원(Lee, Ji-Won),임나현(Lim, Na-Hyun),조혜민(Cho, Hye-Min),황혜영(Hwang, Hye-Young)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1

        목적: 본 연구를 통해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9년 7월 1일부터 2019년 7월 29일 까지 부산, 울산시에 위치한 A, B, C, D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 15명에게는 일반적인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실험군 15명에게는 일반적 작업치료프로그램과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을 동시에 적용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주 5회, 4주간 총 20회 적용하였다.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el Inex: MBI)를 사용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였고, 재활동기척도를 사용해 재활동기를 평가하였다.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프로그램이 기능회복과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윌콕슨 순위합 검정(Wilcoxon Rank-sum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중재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 순위합 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에서는 기능회복(Z= -2.769, p<.05)과 재활동기(Z= -2.367, p<.05)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조군에서는 기능적 회복(Z= -2.527, p<.05)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재활동기(Z= -1.743, p=0.081)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시, 자가 체크 프로그램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재활동기에 유의한 향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홈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s for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rehabilitative motivation and functions of stroke patients. Methods: From July 1, 2019, to July 29, 2019, 30 stroke patients were treated at A, B, C and D hospitals located in Busan and Ulsan. A generaliz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was applied to 15 control members, and a generaliz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and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s were applied to 15 subjects simultaneously.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applied five times a week and a total of 20 times in four weeks.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activities was assessed using Modified Bartel Index (MBI), and the rehabilitative motivation was evaluated using the Rehabilitative Motivation Scale.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 on functional recovery and rehabilitative motivation, Wilcoxon Rank-sum testt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Wilcoxon Rank-sum te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intervention effec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unctional recovery (Z = -2.769, p <.05) and rehabilitative motivation(Z = -2.367, p <.05)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recovery (Z = -2.527, p <.05), but not in the rehabilitative motivation(Z = -1.743, p = 0.081).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s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functional recovery of stroke patients together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performance capabili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ve motivation.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using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s could be checked as part of the home program.

      • 하인두암 환자의 연하재활치료 사례

        차수민 ( Su Min Cha ),박보라 ( Bo Ra Park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하인두암 환자를 대상으로 발병 초기부터 수술,방사선치료,항암치료를 시행하는 과정동안 연하재활치료를 적용하여 연하기능이 향상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고자 하는 바이다. 연구방법: 하인두암 진단을 받은 46세 남자 환자는 2009년 3월 25일 오른쪽 성문위 인후두절제술(Rt. side extended supraglottic pharyngolarygectomy)을 시행하였고, 수술 후 2주 이후인 4월 12일부터 7월 20일 퇴원 이전까지 지속적으로 연하장애 재활치료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환자의 연하재활 치료 전-후의 연하기능점수(Functional dysphagia scale)를 비교해본 결과, 치료 이후에 연하기능점수가 낮아지고, 요플레와 같은 반고형식보다 액체 연하 시 연하기능 점수가 더욱 낮아져 연하기능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답자 모두가 장애아동재활치료사업에 작업치료사가 서비스제공인력으로 필요하다고 답했다. 결론: 현재 중추신경계 질환으로 인한 연하장애에 관련한 연구들은 많이 시행되고 있으나 두경부암으로 인한 연하장애에 관련한 연구들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두경부암으로 인해 발생한 연하장애의 다양한 원인 및 증상에 따른 체계적인 재활치료 프로토콜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치료효과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따라서 추후 이에 따른 보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is study of patients with hypopharyngeal cancer from onset during the process of surgery, radiation therapy, chemotherapy, performed swallowing rehabilitation, swallowing ability improved by applying a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 we report a case of it. Methods : 46-year-old man was diagnosed with hypopharyngeal cancer patients was performed Rt. side extended supraglottic pharyngolarygectomy on March 25, 2009, Later than two weeks after surgery from April 12 until discharged on July 20 continued difficulty swallowing rehabilitation was performed. Researchs : The swallowing rehabilitation of patients before treatment - after swallowing scores (Functional dysphagia scale) compares the results to the functional dysphagia scores after treatment is reduced, such as semi solid type yopeulre lower than the liquid the more fallen upon swallowing, swallowing ability scores showed improved results. Conclusion : Currently a lot of studies about dysphagia associated with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have been conducted, but dysphagia associated with head and neck cancer studies is incomplete. Therefore, the systematic rehabilit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tocol for treatment need to b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head and neck cancer caused by a variety of causes and symptoms of dysphagia. Therefore, further complementary research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