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수유 중 약물 복용에 따른 불안과 수유율

        차선화 ( Sun Hwa Cha ),한정열 ( Jung Yeol Han ),김해숙 ( Hae Suk Kim ),전선영 ( Seon Young Jeon ),허윤희 ( Yoon Hee Huh ),이경자 ( Kyong Ja Lee ),안현경 ( Hyun Kyong Ahn ),최준식 ( June Seek Choi ),김경아 ( Kyung Ah Kim ),신손문 ( 대한주산의학회 2003 Perinatology Vol.14 No.3

        목적: 수유부에서 약물 노출의 종류와 빈도 및 이들 약물에 노출시 수유아에 어느 정도 우려되는 영향을 미치는지 느끼는 정도와 이러한 우려가 모유 수유율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2003년 4월 15일부터 2003년 5월 15일까지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 외래에 출산 후 8주에 내원한 산모 중 설문에 답했던 9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출산력, 분만방법, 모유수유 여부, 약물 노출의 빈도와 종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10cm Visual analogue scale를 이용하여 수유부가 복용했던 약물에 의해 영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31세였으며, 평균 출산 아기 수는 1.3 명이었다. 이들의 출산 후 8주에 수유율은 65.9%(60/91)이었다. 모유수유를 선택하지 않고 분유를 선택한 이유는 젖이 잘 나오지 않아서가 38.7%(12/31)이었으며, 직장 12.9%(4/31), 함몰유두 6.5%(2/31), 약물복용 3.2%(1/31), 유방울혈 3.2%(1/31), 순이었으며, 기타는 35.5%(11/31)이었다. 모유 수유율과 관련된 변수들 중 산모의 나이와 출산아이의 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출산 방법에 따른 모유 수유율은 정상자연분만은 76.9%(30/39), 유도분만에 따른 정상질식분만 70.0%(14/20), 그리고 제왕절개술 50%(16/32)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수유 중 약물 사용율은 50%(30/60)이었으며, 복용한 약물의 종류는 단일 노출로는 한약이 가장 많아 36.7%(11/30)이었으며, 영양제 10%(3/30), 감기약 6.7%(2/30)순이었고, 복합적으로 처방 받은 예를 포함하면 한약은 46.7%에 이른다. 수유 중 약물 노출 후 수유부가 느끼는 영아에 미치는 나쁜 영향의 정도는 약 49%이며, 출산방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면 자연질식분만이 46.5±6.6%, 유도분만 48.9±8.6%, 그리고 제왕절개술 51.2±8.2%으로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분만과정에서 중재가 심할수록 산모가 느끼는 약물이 신생아에 미치는 우려의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결론: 대부분의 수유부는 수유 중 모체의 약물 복용이 수유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실제 이는 모유 수유율을 감소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Objective: To determine the type and frequency of medication taken by breast-feeding women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ternal anxiety related to medication during lactation on the breast-feeding rate. Methods: From April 15 to May 15 2003, we conducted a survey with a prepared questionnaire on ninety-one mothers who visited the obstetric clinics of Samsung Cheil hospital at eight weeks after delivery. The questionnaire contained information about parity, mode of delivery, whether to feed breast-milk, and the type and frequency of medicinal exposure. We also asked the degree of perceived adverse effects on her baby associated with maternal medication using 10cm visual analogue scale. Results: The mean age of respondents was thirty-one years and the mean number of children born to the respondents was 1.3. At the eighth week after delivery the breast-feeding rate was 65.9%. The breast-feeding rate was not related to maternal age or the number of children but rather, the mode of delivery, which was 76.9% in NSVD, 70.0% in vaginal delivery with labor induction and 50% in cesarean delivery(P<0.05). The frequency of maternal medication intake during lactation was 50%. The most frequent type of medicine was herb medicine (36.7%). The average score of perceived adverse effect on a respondent`s baby during breast-feeding was about 49% in total, which was 46.5% in NSVD, 48.9% in vaginal delivery with labor induction, and 51.2% in cesarean delivery. Conclusion: Most nursing mothers think that their medications during lactation affect adversely their babies, who, in turn, may be associated with the decrease of breast-feeding rate.

      • KCI등재

        폐암환자에게 발생한 기침실신 3예

        김가영 ( Ka Young Kim ),차선아 ( Seon Ah Cha ),김영운 ( Young Woon Kim ),유효경 ( Hyo Kyeong Yu ),임예지 ( Ye Jee Lim ),류시영 ( Si Young You ),김성경 ( Sung Kyoung Kim ),김치홍 ( Chi Hong Kim ),김훈교 ( Hoon Kyo Kim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72 No.2

        Cough syncope is characterized by the loss of consciousness occurring after vigorous coughings. There are approximately 90 reported cases of cough syncope within the medical literature. Most cases involving middle aged, overweight and chronic bronchitic male smokers.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published in the medical literature, the mechanism and pathophysiology for cough syncope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Cough syncope is treated by correcting the underlying cause when identified, or by avoiding conditions that may cause the cough syncope. In addition, cough suppression modalities can also be used. We herein report 3 cases of cough syncope presenting in lung cancer patients.

      • KCI등재

        딸기 ‘설향’ 및 ‘매향’의 관비재배 시 질소 및 칼리의 공급원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김승유(Seung Yu Kim),장윤아(Yoon Ah Jang),문지혜(Ji Hye Moon),이준구(Jun Gu Lee),이상규(Sang Gyu Lee),차선화(Seon Hwa Cha)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8 No.4

        본 실험은 국내육성 딸기 품종인 ‘매향’ 및 ‘설향’의 관비재배 시 질소와 칼리의 비종이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체 생육 중 생체중 및 건물중은 두 품종 공히 요소 + 황산가리 혹은 유안(황산암모늄) + 황산가리 처리에서 높았으며 기타 초장, 엽수, 엽장, 엽폭, 관부 직경 등은 처리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딸기의 수량 역시 생육과 같은 경향으로 특히 ‘설향’에서 요소 + 황산가리와 유안 + 황산가리 처리에서 수량이 높았다. ‘매향’에서도 같은 경향이었으나 처리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과실의 품질을 나타내는 당도, 경도 비타민C 등은 처리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험 종료 후 토양분석을 한 결과 토양의 EC는 요소 처리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반대로 유안 처리에서는 크게 높아졌는데 이는 금후 시험에서 식물체에 염류농도 장해를 일으킬만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딸기 관비재배 시 생육, 수량, 토양 EC 농도, 비료의 용해도 등을 고려하였을 시 질소질 비료로는 요소가 칼리질 비료로는 황산가리가 적합한 것으로 추천되었다.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trogen and potassium sources on growth and yield of strawberry ‘Seolhyang’ and ‘Maehyang’ in fertigation culture. The plant fresh and dry weight were higher in urea + potassium sulfate and ammonium sulfate + potassium sulfate as nitrogen and potassium sources than others in both varieti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nitrogen and potassium sources in other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height, no. of leaf, crown diameter etc. Also, the marketable yield of fruit were higher in urea + potassium sulfate and ammonium sulfate + potassium sulfate in ‘Seolhyang’ than other treatments. ‘Maehyang’ was better in both treatm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fruit qualities, such as total soluble solid, hardness, acidity, vitamin C content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The acidity of soil was tended to decrease but EC was tended to increase highly in ammonium sulfate treatments as a nitrogen source. As above results, the urea and potassium sulfate were recommended as nitrogen and potassium sources for the fertigation culture of strawberry ‘Seolhyang’ and ‘Maehyang’.

      • KCI등재

        폐쇄형 육묘시설 내에서 몇 가지 광원이 토마토와 오이의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

        엄영철(Yeong Cheol Um),장윤아(Yoon Ah Jang),이준구(Jun Gu Lee),김승유(Seung Yu Kim),정승룡(Seung Ryong Cheong),오상석(Sang Seok Oh),차선화(Seon Hwa Cha),홍성창(Seong Chang Ho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8 No.4

        폐쇄형 육묘시설 내에서 균일한 품질의 플러그묘를 주년으로 생산함에 있어서 LED 광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토마토와 오이의 육묘기간 동안에 광원을 달리하여 묘소질을 비교하였다. 적색, 청색, 혼합(적색 2 +청색 1) LED 및 형광등을 40~60μmolㆍm?²ㆍs?¹ 로 광도(PPF)를 조사하여 30일간 온도조절이 가능한 폐쇄형 육묘시스템에서 육묘하였다. 토마토와 오이 모두 형광등에 비해 적색 LED와 혼합 LED 처리에서 배축의 신장이 작으면서 튼튼한 묘을 생산할 수 있었다. 토마토와 오이의 생체중은 적색 LED에서 가장 무거웠는데 형광등에 비하여 각각 74% 증가하였다. 토마토의 1화방 착과절위에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2화방의 착과절위는 혼합광 처리에서 낮았다. 화방별 착화수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오이의 20절 까지의 암꽃 착생률은 적색 LED 처리에서 52%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혼합광 처리로서 44%였다. 과실 착과수와 수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폐쇄형 육묘시설 내에서 토마토와 오이의 묘생산에는 적색 및 적색 2 +청색 1의 혼합 LED가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To produce uniform seedlings of tomato and cucumber with inexpensive way, their seedling quality by different light sources was investigated. The raising of seedling was performed by red LED (light emitting diodes), blue LED, red-blue mixed LED or fluorescent light with a fixed PPF(photosynthetic proton flux) level, about 40~60μmolㆍm?²ㆍsec?¹. In the both tomato and cucumber, the rapid extension of hypocotyledonary axis was observed in Blue LED than fluorescent light, but opposite result was found in Red and mixed LED. During the nursery period of tomato and cucumber, the fresh weight was the highest in Red LED as 74% increasement in tomato and 74% in cucumber. In the case of seedling quality after the tomato nurser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ositions of 1st flower cluster and the number of bearing-flower per flower cluster by each light source. In case of cucumber, until 20th node, the setting ratio of female flower was higher in LED than fluorescent treatment, and also more healthy fruit setting was found in LED. Therefore, we assume that the Red or mixed (Red 2 + Blue 1) LED is more favorable to produce high quality tomato and cucumber seedlings in closed nursery facility.

      • KCI등재

        적색/청색광의 비율 및 수확 전 광질변환이 어린잎상추의 생육 및 안토시아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이준구(Jun Gu Lee),오상석(Sang Seok Oh),차선화(Seon Hwa Cha),장윤아(Yoon Ah Jang),김승유(Seung Yu Kim),엄영철(Young Chul Um),정승룡(Seung Ryong Cheo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9 No.4

        식물공장 내 생육과 안토시아닌 함량을 동반 제고시킬 수 있는 최적 광조사 방법을 구명하고자 적색광과 청색광의 비율 및 단기간 광질변화 조건을 달리하여 어린잎 상추의 생육 및 안토시아닌 색소발현 양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적색광 단일파장에서 어린잎 상추의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혼합광, 청색광 및 형광등의 순으로 생육이 억제되었다. 어린잎 상추의 엽내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청색광과 적색광의 혼합광(R57-B43) 처리에 의해 적색광 단일광원 조건에 비해 4.1배, 형광등(FL) 조건에 비해 6.9배 각각 증가되었다. 청색광의 혼합비율이 43%까지 순차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생육은 억제되었으나 상대 엽록소 함량과 적색도의 발현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확전 9일간 적색 단일광으로의 광질변환시 생육은 크게 증진된 반면 색소는 급격하게 소실되었으며 반대로 혼합광으로의 광질변환시에는 생육속도는 감소한 대신 안토시아닌 색소함량은 형광등과 적색광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따라서 수확 전의 단기간 광질변환 시 적색광의 비율이 높은 광원조건에서 생육을 촉진시킨 후 적색과 청색의 동등 혼합광원으로 변환할 경우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고품질의 고색도 상추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o establish the optimum artificial light illumination method for baby leaf lettuce in closed plant factory system, the effects of red/blue light quality and short-term light quality conversion on growth and anthocyanin content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of 'Hongha' lettuce was most favorable under red single wavelength LED light after 23 days of treatment, sequentially followed by the growth under red/blue mixed light, blue light, and fluorescent light. Total anthocyanin content in the mixed red/blue light (R57-B43) was 4.1-fold and 6.9-fold increased compared to the red LED and fluorescent light,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the blue light ratio to 43%, the growth of lettuc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relative chlorophyll content and Hunter's a* value was increased, indicating that the red/blue light ratio inversely affects on growth and anthocyanin pigment development. By changing light quality from red to red/blue mixed light source (R57-B43) for 9 days before harvest, the growth rate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inuous red light illumination, while the anthocyanin content dramatically increased compared to either red LED or fluorescent light. Whereas, when the light source was changed to red light, the growth rate was increased but anthocyanin content was reversely decreased.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both growth and anthocyanin expression could be effectively regulated by shifting of light quality between red and red/blue mixed light source at a specific growth stage of lettuce in a plant factory.

      • KCI등재

        증례 : 감염 ; Streptococcus dysgalactiae의 침습적 감염 2예와 emm 유전자형 분석

        허주연 ( Joo Yeun Hu ),김은희 ( Eun Hee Kim ),이혜원 ( Hye Won Lee ),차선아 ( Seon Ah Cha ),최준영 ( Joo Young Choi ),김윤정 ( Youn Jeong Kim ),김상일 ( Sang Il Kim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7 No.5

        Streptococcus dysgalactiae Subspeciesequisimilis는 인후염, 봉와직염을 일으키지만, 심내막염, 균혈증과 같은 침습적인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의 병원성에는 emm유전자에 의해 발현된 M단백질이 큰 역할을 하며 emm유전자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저자들은 Streptococcus dysgalactiae Subspecies equisimilis에 의한 심내막염와 봉와직염으로 인한 균혈증이 발생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한 증례 2예와 균주의 emm유전자 염기 서열 분석 결과를 보고한다. 최근 국내에서Streptococcus dysgalactiae에 의한 침습성 감염이 출현하는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주의 및 추후 이 균에 대한 유전자형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Recently, invasive infections with the human pathogen Streptococcus dysgalactiae subspeciesequisimilis (SDSE) have increased around the globe. Typing of the emm gene of SDSE, which encodes a virulence factor (M protein), has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Here, we report two cases of invasive SDSE infection that presented with endocarditis and bacteremia, and their emm gene types. (Korean J Med 2014;87:630-63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