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취업모의 사회적, 교수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심리‧사회적 행동문제 간의 관계 분석

        차민정(Minjung Cha)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취업모의 사회적, 교수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심리․사회적 문제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양육태도의 유형이 자녀의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미취학 자녀를 가진 직장인 기혼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교수적 양육태도, 자녀의 심리․사회적 행동문제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취업모의 사회적 양육태도는 교수적 양육태도보다 자녀의 불안, 우울과 더 큰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사회적 스킬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녀의 심리․사회적 행동문제에 대해 교수적 양육태도보다 사회적 양육태도가 더 큰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맞벌이 자녀의 심리․사회적 행동문제 감소 방안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others social and didactic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 s behavioral problem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ype of parenting styles on their psychological health. For this purpose, 200 working mothers‘ social and didactic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first, social parenting of working mothers had a greater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anxiety and depression,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kills, compared to didactic parent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parenting styles were mor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children’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than didactic parenting. The findings reframe current concep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tyle and children’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 KCI등재

        BERTopic을 활용한 불면증 소셜 데이터 토픽 모델링 및 불면증 경향 문헌 딥러닝 자동분류 모델 구축

        고영수,이수빈,차민정,김성덕,이주희,한지영,송민,Ko, Young Soo,Lee, Soobin,Cha, Minjung,Kim, Seongdeok,Lee, Juhee,Han, Ji Yeong,Song, Min 한국정보관리학회 2022 정보관리학회지 Vol.39 No.2

        Insomnia is a chronic disease in modern society, with the number of new patients increasing by more than 20% in the last 5 years. Insomnia is a serious disease that requires diagnosis and treatment because the individual and social problems that occur when there is a lack of sleep are serious and the triggers of insomnia are complex. This study collected 5,699 data from 'insomnia', a community on 'Reddit', a social media that freely expresses opinions.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ICSD-3 standard and the guidelines with the help of experts, the insomnia corpus was constructed by tagging them as insomnia tendency documents and non-insomnia tendency documents. Five deep learning language models (BERT, RoBERTa, ALBERT, ELECTRA, XLNet) were trained using the constructed insomnia corpus as training data. As a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RoBERTa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with an accuracy of 81.33%. In order to in-depth analysis of insomnia social data,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the newly emerged BERTopic method by supplementing the weaknesses of LDA, which is widely used in the pa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8 subject groups ('Negative emotions', 'Advice and help and gratitude', 'Insomnia-related diseases', 'Sleeping pills', 'Exercise and eating habits', 'Physical characteristics', 'Activity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uld be confirmed. Users expressed negative emotions and sought help and advice from the Reddit insomnia community. In addition, they mentioned diseases related to insomnia, shared discourse on the use of sleeping pills, and expressed interest in exercise and eating habits. As insomnia-related characteristics, we found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breathing, pregnancy, and heart, a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zombies, hypnic jerk, and grogg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sunlight, blankets, temperature, and naps.

      • KCI등재

        개인피드백과 집단피드백이 과업 수행의 양과 질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검증

        문광수(Kwangsu Moon),차민정(Minjung Cha),이계훈(Kyehoon Lee),오세진(Shezeen Oah)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최근 많은 기업들이 팀제를 활용하고 있지만 팀의 업무 수행 향상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피드백 제공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팀 수행 상황에서 개인 피드백과 집단 피드백이 과업 수행의 양과 질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실험 과제는 영어 문서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것이었고 수행의 양은 입력된 단어의 수로, 수행의 질은 올바르게 입력된 단어의 비율로 측정되었다. 혼합설계(mixed design)가 적용되었고 총 48명의 참가자들은 개인과 집단 피드백 집단에 무선적으로 할당되었다. 각 팀은 3명으로 구성되었고 총 4회기 동안 함께 과제를 수행하였다. 개인피드백 조건에서는 각 참가자에게 개인의 수행에 대한 정보만 제공되었고, 집단 피드백 조건에서는 팀의 전체 수행 합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였다. 참가자들의 타이핑 속도를 통제한 공변량 분석결과, 두 가지 피드백 모두 수행의 양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효과크기는 집단 피드백이 더 높았다. 수행의 질에 있어서는 집단 피드백 조건에서만 올바르게 입력한 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개인 피드백 보다는 집단 피드백이 과업 수행 증가에 좀 더 효과적,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후속연구에서는 문화 차이, 과제 종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Recently, many organizations are utilizing the team system. However, researches on a technique for efficient and effective feedback to improve a team performance is few. This study compared the relative effects of individual and group feedback o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ork performance. The task was to type English documents on a PC computer and both the number of words typed (quantity)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ly typed words (quality) were measured. Mixed design was adopted and 48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individual or group feedback condition. Each group consisted of three participants and completed four sessions together. Under the individual feedback condition, each participant wa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his/her own work performance, while under the group feedback condition, three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ir total work performance. Results showed that both feedback were effective to increase the quantity of performance. However, the effect size of treatment was more high under the group feedback than individual feedback. In addition, the accuracy of typed words was significantly improved only under the group feedback condition. Therefore, the group feedback was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than individual feedback to increase team performance. However, more studies are needed to generalize these result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type of task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제품의 가시성 및 가격과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이 소비자 구매의도와 구매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심미성․기능성이 상충되는 상황을 중심으로

        나다혜(Na, Dahye),정재은(Chung, Jae-Eun),차민정(Cha, Minju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제품의 심미성과 기능성이 상충하는 상황에서 제품의 심미성/기능성, 가시성 및 가격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때 심미적인 제품의 선택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과 이러한 선택을 하는 소비자의 구매 후 평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미성이 높은 제품의 구매의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으로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centrality of visual product aesthetics; CVPA)을 고려하였다. 20~40대의 298명의 여성 소비자 자료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여, 분산분석,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미성과 기능성이 상충하는 두 제품 간의 선택 상황에서, 고심미성/저기능성 제품의 구매의도가 저심미 성/고기능성 제품의 구매의도보다 더 높으며, 이러한 경향은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이 높은 경우에 한해 나타났 다. 둘째, 제품의 가시성에 따라 고심미성/저기능성 제품 및 저심미성/고기능성 제품의 구매의도 간에 극명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가시적 제품의 경우에 한해 고심미성/저기능성 제품의 구매의도가 저심미성/고 기능성 제품의 구매의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격(고가격vs. 저가격)에 상관없이 고심미성/저기 능성 제품의 구매의도가 저심미성/고기능성 구매의도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과 구매 후 평가 간의 관계는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이 높을수록 더욱 긍정적인 구매 후 평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곧 구매 후 제품만족도가 더 높은 동시에 구매 후 후회가 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써 본 연구는 제품의 심미성과 기능성이 상충하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구매결정 및 구매 후 평가의 양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하 여, 소비자들이 보다 만족적인 구매를 행하도록 돕는 소비자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ffect of product aesthetics, functionality, price, and product visibility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in aesthetic versus functional trade-off contexts and to explore postpurchase evaluations of consumers who are more design oriented than other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entrality of visual product aesthetics(CVPA) were posited as a consumer trait relating to design. An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and research questions. Data were gathered from 420 female subjects from 20s to 40s, and those of 298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ANOVA and t-test. Stud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purchase intentions of a high-aesthetic/ low-functioning op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a low-aesthetic/high-functioning option in aesthetic versus functional trade-offs, and this tendency was found to apply exclusively to high CVPA consumers. Secondly, the relative weight of aesthetic and functionality placed in trade-offs differed sharply according to product visibility. As such, for visible goods, purchase intentions of a high-aesthetic/low-functioning op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a low-aesthetic/ high-functioning option, while for non-visible goods, purchase intentions of a high-aesthetic/ low-functioning op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a low-aesthetic/high-functioning option. Thirdly, regardless of price, purchase intentions of a high-aesthetic/lowfunctioning op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a low-aesthetic/high-functioning option in aesthetic versus functional trade-offs. Lastly, high CVPA consumers reported more positive postpurchase evaluations than low CVPA consumers; that is, high CVPA consumers were found to experience lower postpurchase regret as well as higher postpurchase satisfaction than low CVPA consumers. This study has broadened insights into the purchase decisions and postpurchase evaluations of consumers in aesthetic versus functional trade-off contexts. It will help launch education programs or social campaigns for encouraging consumers to aim for more satisfactory purch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