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교육의 내용으로서의 ‘관용’

        차미란(Cha Mi R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5

        현행 초등도덕교육에서 ‘관용’은 다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새롭게 추가된 단원에 서 다루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관용’은 ‘문화의 다양성과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리키며, 이런 의미에서의 관용은 타인의 자유와 동등한 권리를 인정하는 시민적 덕목으로서 의 성격을 가진다. ‘관용’의 가치를 다문화윤리와 시민적 덕목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전 통윤리의 관점에서 해석되는 ‘관용’과 여러 가지 면에서 대비된다. 종래의 초등도덕교육에서 ‘관용’은 ‘다른 사람의 실수나 잘못을 너그럽게 받아들이는 마음’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유교 윤리에 기반을 둔 전통적 덕목으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민적 덕목으로서의 관용과 전통적 덕목으로서의 관용은 무엇을 관용하고, 누가 관용하는가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 만큼, 양자를 명백히 구분하지 않은 채 직접적으로 관련짓는 것은 관용의 의미와 관용교 육의 방향에 대한 오해와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전통적 관용과 시민적 관용은 그 개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갖추어야 할 윤리적 태도로서의 공통된 의미를 가진다. ‘관용’이 도덕교육의 내용, 즉 윤리적 가치와 도덕적 덕목으로서 가지는 정당성은 사회적 필 요나 정치적 전략과는 구분되는 윤리학적 이유와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파악될 필요가 있다. Tolerance' is presented as the term which means 'the attitude to understand and respect cultural diversities and differences' in one new unit of our present primary school moral curriculum. It is evident that the unit was introduced for responding to increasing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our society, and tolerance in this sense must be regarded as an important civic virtue which has its origin in ideals of liberalism and has been developed through history of democracy striving for people's freedom and equality of human rights. In contrast to this civic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the sense of 'tolerance' in our confucian ethical tradition can be defined as 'the generous mind to accept and forgive others' mistakes and wrongness' which has been taught as one of traditional virtues. Considering the obvious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senses of tolerance especially in the subject and object of tolerance behavior, the attempt to relate them directly without conceptual clarification might lead to misunderstanding and useless confusion about tolerance education. However, in the basis of civic tolerance and traditional tolerance, we can find common point as a moral virtue or an ethical attitude to treat other people as equal humans. The significance of 'tolerance' as a subject matter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interpreted on the reason of its educational and ethical value as a moral virtue prior to social needs and political utility.

      • KCI등재

        위기지학(爲己之學): 성리학의 인성교육론

        차미란(Mi-Ran Cha) 한국도덕교육학회 2018 道德敎育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설명을 ‘위기지학’(爲己之學) 이념으로 대표되는 성리학의 교육적 문제의식과 지향점에 비추어 해명함으로써, 성리학이 어째서 그 자체로 교육이론인지를 드러내기 위한 시도이다. 위인지학(爲人之學)과 대비되는 위기지학의 의미에 관한 성리학 특유의 해석은 ‘자기 자신의 수양’을 위한 공부가 ‘바깥 세계의 완성’으로 귀결된다는 것에서 찾아지며, 이 관점의 특징은 ‘수기(修己)가 곧 치인(治人)’이라고 보는 성리학의 입장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개인의 개별적 자아 내면의 도덕적 수양을 실천하는 것이 어떻게 그 자체로서 개인 바깥의 사회적 현실을 개혁하고 세계의 질서를 실현하는 근본적인 방안이 될 수 있는가? 성리학의 핵심적 아이디어인 ‘性은 곧 理’라는 명제는 마음과 사물의 동일성을 형이상학적 차원에서 해명하고 자아와 세계의 간극을 해소함으로써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제시한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이, 성리학의 이론은 ‘위기지학’이라는 교육적 실천의 정당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면서, 그 교육적 실천을 설명하는 일 그 자체가 위기지학의 실천이라는 점에서 메타프락시스로서의 교육이론을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오늘날의 ‘인성교육’ 또한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한 올바른 공부의 추구라는 점에 있어서 성리학의 ‘위기지학’과 다르지 않다. 다만, 성리학적 의미의 인성교육은 마음의 보편적 본성을 함양함으로써 보편적 자아를 확립하는 과정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인성교육 본연의 성격과 올바른 방향에 대하여 돌아보게 한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veal that Neo-Confucianism itself is a coherent educational theory, by interpreting its metaphysical explanation in light of its educational concern of learning for one s self (爲己之學). According to Neo-Confucian viewpoints, learning for one s self results in completion of things, and self-cultivating(修己) is in itself governing-others(治人). How can the individual s inner moral cultivation be the fundamental way to realize social improvement and the change of the world, without depending on anything else? The significance of the Neo-Confucian main thesis the Nature is the Principle (性卽理) lies in that it answers this question, which elucidates how the discrepancy between inner self and outer world can be resolved on the basis of the identity of mind and things in metaphysical dimension. Thus, Neo-Confucianism is a typical example of educational theory as metapraxis, in that it is a theoretical system developed for explaining the educational practice of learning for one s self , and to do explaining the practice is itself the practice of learning for one s self . Today s character education is consistent with learning for one s self in its aspiration to the pursuit of learning for one s moral cultivation. However, character education in the Neo-Confucian sense means the process of cultivating the nature of mind at the metaphysical level and establishing the universal self in an individual, and this leads us to reflect upon what the true nature and right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is.

      • KCI등재

        근대 개화기 서양 윤리학의 수용과 유교윤리의 지속 : 1900년대 수신(修身) 교과서를 중심으로

        차미란(Cha, Mi-R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9

        개화기에 민간이 주도한 사립학교에서 이루어진 ‘수신’교육은 이 시기에 일어난 근대적 전환 과정과 외래 문명의 수용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인가를 알아볼 수 있는 훌륭한 준거가 된다. 특히, 1905년 을사늑약 이후 1910년 한일합병 직전까지 발간된 수신 교과서들은 일제 강점기 기간의 수신 교과가 황국신민화와 우민화의 도구로 작동한 것과는 달리, 국권상실의 위기에 능동적으로 맞서는 자세와 태도를 배양하고자 하는 의도로 편찬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시기 수신 교과서를 대표하는 「윤리학교과서」, 「고등소학수신서」, 「초등소학수신서」 등에는 한 편으로는, 유교적 수신 교육의 전통을 독립된 수신 교과의 형태로 계승하면서, 다른 한 편으로는, 서구의 근대적 사회 사상과 민주주의 이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치열한 노력이 잘 나타나 있다. 이 교과서들은 유교적 전통의 지속과 서양 윤리학의 수용 사이의 긴장과 충돌 속에서 양자의 조화와 공존을 모색하는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지만, 그 조화의 방식은 심신의 수양을 위한 유교적 덕목에서 시작하여 국가 차원에서의 시민적 덕목으로 나아가는 순서를 제시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유교적 가치와 민주적 가치 사이의 긴장과 갈등은 근대화 이후에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개화기 수신 교과서가 제기하고 있는 ‘유교윤리와 시민윤리의 조화’라는 교육적 과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e “self-cultivation(修身)” education led by private schools during the enlightenment era in Korea is an excellent criterion for examining the ways how the modern transformation process took place and foreign civilizations were accepted in this period. In particular, it is noted that the textbooks of self-cultivation published by private schools from the Japan-Korea Treaty in 1905 until just before the merger of Korea and Japan in 1910 aimed to cultivate active attitude of overcoming the crisis of national power loss, contrary to the fact that the textbooks and school subject of the same tit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served as tools for imperial rule. The 「Ethics Textbook」(倫理學敎科書), the 「High school So-Hak Textbook of Self-cultivation」(高等小學修身書) and the 「Elementary school So-Hak Textbook of Self-cultivation」(初等小學修身書), which represent the textbooks on self-cultivation during this period are the result of the fierce effort, on the one hand, to continue the Confucian tradition of education for self-cultivation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subject matter, on the other hand, to actively accept the Western modern social thoughts and democratic ideas. These textbooks have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y show a direction to seek harmony and coexistence which surpass the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the sustainment of the Confucian tradition and the embracement of Western ethics. However, the way to harmonize these two things has a limitation in that it only suggests the order of starting with Confucian virtues for the cultivation of mind and body and moving toward civil virtues at the national level. Since the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Confucian virtues and democratic values are still not resolved after modernization, the educational task of "harmony between Confucian ethics and civic ethics" raised by the textbooks of self-cultivation during enlightenment period is still valid today.

      • KCI등재

        오우크쇼트의 ‘시민성’(civility) 개념과 시민교육적 함의

        차미란(Cha, Mi-R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3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도덕과 교육의 지향점으로 제시된 ‘도덕적인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이라는 중첩된 인간상’은 인간과 시민의 구별, 인성교육과 시민교육의 관계에 관한 해명을 요청한다. 본 연구는 오우크쇼트의 정치철학과 정치교육론을 중심으로, 루소가 『에밀』에서 제시하는 ‘자연인’으로서의 인간과 ‘사회인’으로서의 시민 사이의 대비를 해석하고, 인간교육과 시민교육의 모순적 관계를 해소하는 대안적 관점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근대 국가의 성격을 설명하는 두 가지 결사체 형태로서의 ‘시민적 결사체’와 ‘기업적 결사체’, 그 두 가지 결사체에 각각 상응하는 ‘시민’과 ‘대중’의 구분에 관한 오우크쇼트의 논의는 ‘시민성’개념이 ‘개인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 오우크쇼트의 정치교육론에 따르면, 모든 진정한 교육은 개별적 인간의 내면에 인간다움과 도덕성을 갖추도록 하는 인성교육인 동시에 시민적 결사체의 정당한 구성원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하는 시민교육이다. 훌륭한 시민은 획일화된 대중이 아니라 지성과 자율성을 갖춘 주체적 개인이라는 점에서, 정의로운 시민을 기르기 위한 시민교육은 진정한 ‘개인성’을 함양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특히, 기업적 결사체로서의 국가에서 시행되는 ‘시민교육’이 다수의 이익 실현에만 관심을 두는 ‘대중’을 양성할 위험에 대한 오우크쇼트의 경고는 심각한 의미를 가진다. The ‘overlapping ideals of a moral human being and a righteous citizen’, presented as the direction for moral studies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asks for an explan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s and citize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This study is an attemt to find an alternative perspective that resolves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ducation for ‘human’ as natural being and positive educstion for ‘citizen’ as social being in Rousseau’s 『Emile』, focusing on Oakeshott"s political philosophy and his views on political education. Oakeshott"s discussion on the distinction between ‘cive’ and ‘mass’ corresponding to the two associations, ‘civil association’ and ‘enterprise association", as two forms of association explaining the nature of the modern state, shows that the concept of ‘civility’ is based on ‘individuality’. According to Oakeshott"s views on political education, all true education is character education that equips each individual with humanity and morality, and at the same time, civic education that enables them to qualify as just members of a civil association. Since a good citizen is not one of mass but a free individual with intelligence and morality, civic education to raise righteous citizens should be an education cultivating ‘individuality’. In particular, we need to take Oakshott"s warning seriously that ‘citizenship education’ implemented in the state as an enterprise association could result in nurturing the ‘mass man’ who only cares about the realization of the common interests of the majority.

      • KCI등재

        헤겔과 라캉의 「안티고네」 해석 : 비극의 윤리적 의미

        차미란(Mi-Ran Cha) 한국도덕교육학회 2016 道德敎育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헤겔과 라캉의 「안티고네」 해석을 비교하여 고찰하면서, 「안티고네」에 나타나 있는 비극의 의미에 관한 양자의 논의가 어떻게 연결되고 또한 대비되는가를 드러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헤겔과 라캉은 크레온과 안티고네 사이의 비극적 갈등을 ‘인간의 법’과 ‘신의 법’이라는 용어로 표현되는 두 가지 윤리 사이의 딜레마에 비추어 해석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공통되며, 헤겔은 그 윤리적 딜레마를 ‘국가의 윤리’와 ‘친족의 윤리’ 사이의 갈등으로, 라캉은 ‘선의 윤리’와 ‘욕망의 윤리’ 사이의 대립으로 파악한다. 헤겔의 해석에서 형제간의 본능적 사랑을 따르는 안티고네의 행위는 공동체의 안전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되고, 국가의 법 또는 공동체의 이익을 지키고자 하는 크레온에게 정당성이 부여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라캉은 크레온이 따르는 선의 윤리를 기존 체제의 현실적 이익에 봉사하는 권력의 윤리로 규정하면서, 선과 악의 이분법을 넘어서서 순수 욕망을 실현하고자 한 안티고네를 그 작품의 유일한 비극적 영웅으로 간주한다. 크레온에 대한 헤겔의 지지는 개인의 내면적 양심이나 인격은 국가의 법으로 대표되는 공동체의 윤리와 분리되어서는 정당성을 가질 수 없다는 그의 철학적 입장에서 비롯된다. 라캉이 안티고네를 통하여 드러내고자 하는 정신분석의 윤리는 국가의 법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윤리적 기준 그 자체에 대한 대안적 윤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크레온과 안티고네의 윤리적 갈등에 대한 헤겔과 라캉의 해석은 「안티고네」가 제기하는 질문이 자연과 문명, 개인과 국가, 종교와 정치, 인간의 욕망과 신적 법칙 사이의 관계에 관한 해명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Hegel s interpretation of Antigone with Lacan s from a viewpoint of ethical dimension in the Greek tragedy. They interpret Antigone commonly, in the sense that they regard the tragic conflict between Creon and Antigone as an ethical dilemma between the laws of humans and the laws of gods . While Hegel regards the opposition of Creon and Antigone as a historical collision of ethics of kinship and ethics of state shown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bsolute reason of mankind, Lacan insists that Antigone s disobedience to Creon embodies a radical resistance of ethics of desire(or beauty) against ethics of goodness . According to Hegel, Creon s commends for protecting common interests of state are to consider as based on more legitimate ethics than Antigone s one. In contrast with this, Lacan is eager to concentrate on Antigone who is qualified as the only true heroine because she goes beyond the boundary dividing the good and the bad and realizes herself as a beautiful character. Hegel s favoritism toward Creon is to interpret as predetermined by his philosophical position that individual s inner conscience can be justified only in connection with the laws of community. Compared with this, Lacan s praise for Antigone plays a symbolic role in exemplifying the ethics of psychoanalysis as an alternative ethics. These contrasting approaches to Antigone are finally to estimate in relation with the topics such as nature and civilization , individual and society , ‘religion and politics , and human desire and divine laws .

      • KCI등재

        선(善)의 실현과 메타프락시스 : 종교, 정치, 교육

        차미란(Mi-Ran Cha) 한국도덕교육학회 2019 道德敎育硏究 Vol.31 No.1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치와 교육의 세속화에 따르는 가치 상대주의는 보편적 가치에 대한 의문과 교육의 자율성의 진정한 의미에 관한 질문을 불러일으킨다. 본 연구는 가치의 실현을 위한 실천으로서의 종교와 정치와 교육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를 밝힘으로써 이 문제를 해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통상적 관점에 따르면, 종교가 초월적 차원에서의 자아의 변화를 지향하는 것과는 달리, 정치는 현상적 차원에서의 세계의 변화를 지향하며, 교육은 현상적 차원에서의 자아의 변화를 담당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성리학 이론과 메타프락시스의 관점에서 시사되는 바와 같이, 교육은 현상적 차원과 초월적 차원의 관련으로 성립하며, 초월적 차원에서 자아의 변화는 곧 세계의 변화를 의미한다고 보아야 한다. 종교와 정치와 교육은 모든 가치를 포괄하는 표준으로서의 ‘선’(善)의 실현이라는 동일한 이상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별개의 영역으로 분리될 수 없지만, 보편적 가치의 확립은 교육적 실천에 의하여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교와 정치와의 관련에서 교육은 근본적 위치를 차지한다. 오우크쇼트의 사상은 교육과 정치와 종교를 심성함양에 동원되는 매체의 성격에 의하여 규정하는 메타프락시스 3부론의 논의에 비추어 그 의의가 새롭게 조명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alue relativism accompanied by the secularization of politics and education in modern democratic society raises quest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ty of values and the true meaning of the autonom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is problem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 and relation between religion, politics, and education as three distinct modes of practice for actualization of values. According to the ordinary point of view, politics is aiming at the change of the world at phenomenal level, whereas religion is oriented towards the change of the self at transcendental level, and education is responsible for the change of the self at phenomenal level. In contrast to this, as implied by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in view of metapraxis, the true meaning of education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relation of the phenomenal dimension and the transcendental one, and the change of self in the transcendental dimension is itself the change of the world. Religion, politics and education pursue the same ideal of the actualization of the goodness as the unmanifested standard of all values, this is the reason why they should not be regarded as separate spheres. However, education has a fundamental status in relation to religion and politics in that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 values is possible only through educational practice. The thoughts of Michael Oakeshott could be newly illuminated in light of the discourse of metapractial triology which defines and relates education, politics and religion by elucidating three different types of media for cultivating human mind-nature.

      • KCI등재

        오우크쇼트의 政治敎育論 : 性理學理論과의 關聯

        차미란(Cha Mi-Ran) 한국도덕교육학회 2000 道德敎育硏究 Vol.12 No.2

        오우크쇼트의 정치교육론은 정치와 교육에 관한 이른바 합리주의적 관점에 대한 대안적 견해를 제시한다는 데에 그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오우크쇼트가 말하는 背文의 追求 로서의 정치에서 정치활동의 원천과 기준은 정치 이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정치 습관이나 전통에 있으며, 이런 뜻에서의 정치는 이데올로기의 훈련이 아닌 행위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정치교육을 훌륭하게 받은 사람에 의해서만 올바르게 수행될 수 있다. 행위전통에의 입문, 즉 행위전통에 관한 지식의 획득 과정은 그 초기 단계에서는 전통적 행위방식의 습득 ( 社會化 )이라는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그것은 행위전통 이면의 背文에 대한 탐색 ( 敎科敎育 )으로 연결되지 않으면 안 된다. 정치교육의 성격과 목적에 관한 오우크쇼트의 견해는 교육을 기준으로 하여 교육과 정치의 관련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플라톤의 哲學者-君主 의 아이디어, 修己와 治人의 관계에 관한 성리학의 입장과 일관된다. 특히 성리학의 교육이론은 교육과 정치의 의미, 그리고 그 양자 사이의 관련은 사실의 세계 또는 경험적 마음의 위층 에 그것의 기준이 되는 논리의 세계 또는 형이상학적 마음이 있다는 것을 인정할 때에 비로소 올바르게 파악된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이 점에서 정치교육론으로 대표되는 오우크쇼트의 교육이론은 마음의 구조와 형성에 관한 성리학의 이론에 비추어 면밀히 해석될 필요가 있다.

      • SCIEKCI등재
      • KCI등재

        블라지의 ‘도덕적 통합’ 개념

        차미란(Cha, Mi R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7

        도덕성은 밖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인가, 아니면 안으로부터 ‘발현’되는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한 상반된 입장은 도덕사회화론과 도덕발달론의 대립에서뿐만 아니라, 도덕발달을 설명하는 도덕심리학 분야 안에서도 나타난다. 피아제로 대표되는 인지발달적 접근이 도덕성의 자연적 발현에 중점을 두는 것과는 달리, 정신분석학과 행동주의적 접근에서 도덕성의 발달은 ‘사회화’ 또는 도덕적 규범의 ‘내면화’ 과정으로 설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덕발달을 도덕성이 성격에 통합되어 가는 ‘도덕적 통합’의 과정으로 규정하는 블라지의 ‘도덕적 자아’ 이론은 ‘도덕적 내면화’ 개념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적 관점을 담고 있으면서, 도덕발달을 성격발달의 사회적 맥락과 분리하여 연구하는 인지발달론적 접근의 한계에서 벗어나고자 한다는 점에서 특별히 주목된다. 블라지의 ‘도덕적 통합’이라는 아이디어는 객관적 기준으로서의 도덕적 가치와 개인의 성격 내면의 주관적 동기 사이의 분리와 단절을 전제하면서, 자아의 의식적 노력과 의도적 실천을 통한 양자의 연결과 통합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데에 특징이 있다. 이것은 곧, 도덕발달은 내적 발현과 외적 형성이라는 상반된 방향 중의 어느 한 가지 방향으로 설명될 수 없다는 것, 도덕적 통합을 위한 의도적 노력으로서의 도덕교육은 도덕성의 ‘발현’과 ‘형성’을 위한 파라독스적 실천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블라지의 이론이 도덕발달에 관한 심리학 이론으로서뿐만 아니라, 도덕교육의 파라독스적 성격을 해명하는 교육이론의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Is children’s morality formed from the outside or generated from the inside? The contrast between ‘moral socialization’ theory of sociology and ‘moral development’ theory of psychology is well known, but the contradictory position on this issue can be found among various approaches to ‘mora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moral psychology also. On one side, from the standpoint of behavioral approach and psychoanalytic theory of personality, children’s moral development can de described as a process of ‘socialization’ or ‘internalization’ of moral norms, on the other side, the cognitive developmental approach defies the concept of ‘internalization’ and focuses on the ‘development’ process which children’s morality grows along several stages. Blasi’s ‘moral self’ theory is especially noteworthy, which defines moral development as a process of ‘moral integration’ of morality and personality, in that it criticizes the use of ‘internalization’ analogy in psychology and presents its alternative view, while it attempts to escape from the limitations of the cognitive developmental approach to moral development separately from the social context of personality development. Blasi’s idea of ‘moral integration’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connection and unification of moral understanding and individual personality through conscious effort and intentional practice of the self, presupposing the separation and discontinuity between objective moral values and individual’s subjective motives. This implies that moral development can not be explained in any one of the opposite directions of ‘formation’ from without and ‘genesis’ from within, and that moral education as painful endeavour for moral integration is paradoxical practice for both social transmission of moral values and natural growth of individual’s morality. Here is the reason why Blasi’s moral psychology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of educational theory which clarifies the paradoxical nature of moral edu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