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산업혁명에 관한 뉴스 빅데이터 활용 토픽 분석: 언론사 유형 및 주요시기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최진호(Choi, Jin-Ho),이해수(Lee, Hae-Soo),진은형(Jin, Eun-Hyeo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6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구성된 4차산업혁명에 관한 뉴스 빅데이터(19,187건)에 대해 토픽모델링을 활용해 언론사 유형(보수지, 진보지, 경제지)과 주요시기에 따른 토픽의 차이를 탐색했다. 분석결과, 단어빈도-역문서빈도(TF-IDF)와 단어 공출현 네트워크에 따른 군집, 그리고 토픽에 있어 언론사 유형과 주요시기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보수지는 4차산업혁명 기술에 의한 교육과 기업의 변화, 그리고 노동시장에 초점을 두는 토픽이 두드러진 반면, 진보지는 유사하게 기술변화에 주목하면서도 경제사회적 문제, 특히 대선공약이면서 현 정부의 국정과제인 일자리 정책과 연관을 두고 토픽을 형성하고 있었다. 한편 경제지는 보다 시장주의적 관점을 견지하면서 토픽을 형성했다. 또한 여러 시기를 거치면서 창조경제와 4차산업혁명 기술의 접합에서 기술 및 연구개발로, 그리고 대선국면에서 정치적⋅정책적 논의로, 그리고 일자리와 사회경제적 영향으로 토픽이 변하는 것을 확인했다. 추가적으로 개별 언론사별 토픽 분포의 유사성을 살펴본 결과, 한겨레-경향신문이 가장 유사했고, 이들과 중앙일보-동아일보-조선일보-한국경제 순으로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언론사 유형 분류기준의 타당함을 부분적으로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가 4차산업혁명에 대한 생산적 담론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news topics abou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structed in the political-social context of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media type(conservative/liberal/economic newspaper) and each major period by utilizing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model.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nservative papers emphasized topics related to changes in education and business promot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the labor market. While the liberal paper focused on economic and social issues, especially regarding the present government’s labor policy one of the presidential campaign promises and the national agenda. Economic paper, meanwhile, formed topics with the market-oriented perspective. While going through several time period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topic has changed: the creative economy and articul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 technological change and R&D (Research & Development) → political/policy issues → labor policy and socio-economic impact. We expect that these results will provide rationales to promote a productive discourse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