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체육정책 평가모형 개발 연구

        진연경(Yeonkyung Ji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학교체육정책의 질적 발전을 도모하고 정책개발 시 체계성 마련을 위해 학교체육정책의 규범적 가치정립을 바탕으로 정책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구성주의 및 다학문적관점에서 정책 수립, 형성, 집행, 결과의 정책 전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학교체육정책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정책학에서의 정책평가의 흐름을 살펴보고, Guba & Lincoln의 제4세대 모형 및 이종재 외(2014)의 동료평가모형과 같은 후기실증주의 철학적 패러다임 중 구성주의의 관점을 기본 바탕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책이 수립ㆍ집행되는 맥락을 현장 중심으로 바라보고 평가할 수 있는 틀을 구성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학교체육 정책 평가에서 간과하고 있던 학교체육정책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교육적 가치를 정책평가의 바탕에 두었다. 정책평가의 단계는 정책내용평가-형성과정평가-성과평가-변동평가의 네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 준거로 정책내용의 정합성, 형성과정에서의 합리성과 민주성, 성과의 설득력, 정책변동에서의 맥락부합 성과 대응성을 설정하였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체육정책 발전을 위해 정책문제해결을 위한 적절한 평가이론과 모형을 찾으려는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 set a policy direc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normative values in physical education policy, ii) promote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policy by developing a physical education policy assessment model which can evaluate the whole process (policy planning, formation, implementation and results) from the constructivist and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and iii) build a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policy. For this, the flow of policy evaluation in general public studies was examined, and a constructivist viewpoint was set in the philosophical paradigm of post-positivism. Then, a framework thorough which policy planning and execution can be viewed and evaluated in a site-oriented approach was formed. Furthermore, policy evalu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educational values ultimately targeted in physical education policy which has been ignored in the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 policy. In this study, policy evaluation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evaluation of policy contents, evaluation of policy formation process, performance evaluation and policy change evaluation. As the references for each stage, policy coherence (evaluation of policy contents), rationality and democracy (evaluation of policy formation process), persuasiveness (performance evaluation) and policy congruence and responsiveness (policy change evaluation) were set. It appears that there should be further efforts to find an appropriate evaluation theory and model to solve policy problems and develop physical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said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기반 체육 수업 운영 구조 설계

        진연경 ( Yeonkyoung Jin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4

        ‘다양성’을 기반으로 체육수업에서의 모든 학생을 다양한 특성을 가진 개인으로 바라보고, 각 학생의 요구에 초점을 맞춘 체육 교육을 실천하는 것은 체육교육의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특수교육에서 주로 사용해 온 보편적 학습설계 이론을 기반으로 교사 차원의 교육과정 설계 과정을 구조화하여 모든 학생을 위한 체육교육 실천을 위한 수업 설계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체육수업 실천에서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개인차를 고려한 맞춤형 체육수업, 역량중심 체육 교육과 과정중심 교육과 평가를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으로써의 보편적 학습 설계를 강조하였다. 또한, 체육수업 계획 과정에서 교사수준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기반 한 분석 - 설계 - 실행 - 반성의 체육수업 운영 구조를 설계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학습자 특성, 시설 환경, 교육과정 분석하고, 설계단계에서는 학습 목표, 학습에서의 장애, 학습 변형, 학습 동기 유발, 개인별 학습 활동 선정, 평가의 방법을 고려하며, 실행에서는 설계된 내용을 실천하고 평가하고, 반성 단계에서는 학생 및 교사의 반성을 거치며 수업을 재구조화하는 순환적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노력은 신체활동을 ‘다르게’ 배우는 모든 학생들을 고려하는 체육수업 실천의 새로운 접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an important task of physical education to view al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individual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based on 'diversity' and to practice physical education focusing on each student‘s needs. This study aims to devise a teacher-level curriculum design process framework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ory mainly used in special education, and to specifically present physical education plans for all students. To this end,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as emphasized as a new approach to realize personalized physical education, competency-oriented physical education, and process-focused education and assessment, considering the individual difference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in physical education practice. In addition, by the analysis of the comprehensive spectrum, FAMME motel, and checklist for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e curriculum operating framework emphasizing analysis - execution - assessment - feedback was devis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planning process based on teacher-level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se efforts could be a new approach to practicing physical education that respects all students.

      • KCI등재

        평생체육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 교육학의 기여와 한계

        진연경 ( Yeonkyoung Jin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1

        본 연구는 평생체육교육으로서 생활체육의 미래를 살피고,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 교육학의 기여와 한계를 선행연구물과 관련 이론을 바탕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법적 근간을 살피며 평생체육으로서의 생활체육의 개념적 정의를 시도하였고, ’스포츠비전 2030‘에서 생활체육의 미래 발전방향을 탐색하여, 생활체육 정책에서 스포츠 교육학의 학문적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스포츠 교육학은 생활체육 현장의 학습자, 지도자, 교육과정 이해를 도울 수 있음을 강조하고, 생활체육의 주요 주체인 지도자를 스포츠 교육자로 성장하도록 교육방법을 체계적으로 도입하고, 체육지도자 자격 제도 개선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체육지도자의 전문성에 관한 사회적 인식, 광범위한 생활체육 영역에서 스포츠 교육학 독자적인 내용 정립의 한계, 정책 주도적 특성이 강한 생활체육 현장, 학문적 연구에의 낮은 접근성 등이 스포츠 교육학이 생활체육에 관심을 갖는데 있어 한계점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향후에는 평생체육교육현장에서 실천적인 연구물이 스포츠교육학의 관점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관련 정책도 스포츠교육학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수립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future of daily sport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sport pedagogy, and explores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sport pedagogy for the promotion of sport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related theories. To this end, it looks at the legal foundation and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daily sports as lifelong sports, and explores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daily sports under ‘Sports Vision 2030’, stressing the need for academic efforts of sport pedagogy in daily sports policies. In addition, with an emphasis on sport pedagogy that can help learners, leaders and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in the field of sports, it argues for the need to systematically introduce education methods to help leaders, who are the key players in daily sports, grow into sports educators, and improve the sports leadership qualification system.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it is expected that the social perception of sports leaders' expertise, the limitation of establishing independent contents of sport pedagogy in a wide range of areas of daily sports, the characteristics of daily sports strongly affected by policies and the low access to academic research, etc. would appear as limitations in sport pedagogy turning attention to daily sports. In the future, the study emphasizes that practical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ield of lifelong sport pedagogy from the perspective of sport pedagogy, and that related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sport pedagogy.

      • KCI등재후보

        학교체육 정책 및 교육과정 국제동향 분석 : 미국, 캐나다, 대만을 중심으로

        진연경 ( Yeonkyung Jin ),최윤소 ( Yoonso Choi ),린만루 ( Lin Man Hsu ),이현석 ( Hyunsuk Lee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6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4 No.2

        본 연구는 4개국(우리나라, 미국, 캐나다, 대만)의 학교체육 정책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학교체육에 대한 최근의 세계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학교체육정책 및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각국의 학교체육정책 및 교육과정 문서를 토대로 하여 국가별 학교체육 정책 및 학교체육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교사임용방법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학교체육 교육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the policies and curricula for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of four countries (South Korea, the U.S., Canada, and Taiwan) with the goal of grasping the international trend in physical education and to deduce points of improvement for the policy and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For this, the policy for physical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a as well as the method of selecting teachers were analyzed based on each country`s physical education policy and curriculum documents; though this analysis, points of improvement for physical education in Korea were deduced.

      • KCI등재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진연경(Yeonkyung Ji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학교체육정책의 내실있는 운영을 위해 학교체육정책의 대표적 사례인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교사들의 운영 경험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에 이은 질적 메타분석(Qualitative Meta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최종 9편의 질적연구물을 선정하였으며, 9편의 논문은 나장함(2008)과 정순경, 손원경(2016)이 수행한 질적 메타분석 분석방법 수정·보완하여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스포츠클럽에 관한 교사의 운영 경험은 부정적, 긍정적 측면이 공존하였다. 부정적인 경험은 소통없는 일방통행 식 정책집행으로 인한 교사들의 업무 과중이 주를 이루었으며, 희생강요, 규제를 위한 등록률 평가, 승리를 추구하는 스포츠 문화, 교사의 가정·학부모·교사로서의 전문성과의 갈등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경험은 학생, 지역사회와 협력, 이를 통한 성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의 핵심 요소인 ‘부담’이라는 상위적 개념의 메타포를 도출하였으며, 교사들은 스스로 정책시행에서 경험하는 ‘부담’을 줄이고자 학생, 지역사회와 협력을 시도하고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학교스포츠클럽관련 정책의 질적 발전을 위해서는우선 교사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 지원 노력을 아끼지 않아야 하며, 교사로부터 시작된 협력의 움직임을 주목하여 정책 현장과 소통하는 정책으로의 전환을 위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teachers’ experience of operating school sports clubs, which are representative case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y,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select ten academic papers for reference, which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a analysis methodologies used in Na Jang-ham (2008) and Jeong Sun-gyeong and Son Won-gyeong (2016. The current study reveals that the teachers’ experience of school sports club operation is composed of both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Negative aspects are mostly composed of excessive workload caused by unilateral school sports club policy execution by the authorities, in addition to registration rate assessments conducted solely for regulation, sports culture focused only on winning, and professional conflicts among the teachers’ roles as homemaker, parent, and teacher. Positive aspects include students,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professional growth. Based on the phenomena that teachers experience, the current study deduces a higher-concept metaphor represented by the term “burden,” which is the key element of school sports club oper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teachers are attempting and practicing cooperation with the students and the local community to reduce such burdens experienced in policy execution. The study suggests that policy support must be provided to the teachers to enhnace the quality of school sports club policies, and that the authorities must make considerations to transition to a policy of communicating with field workers with a focus on cooperations launched by the teachers.

      • KCI등재

        경력 체육 교사의 내용 교수 지식(PCK) 형성 과정 탐색

        진연경 ( Yeon Kyung Jin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3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2 No.-

        이 연구는 수업 실제에서 내용 교수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이러한 내용 교수 지식이 어떻게 형성되는 지를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명의 중학교 교사의 수업을 관찰 및 녹화한 전사본과 반구조화, 구조화된 사전 사후 면담자료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분석 코드에 따라 내용 교수 지식 구성 요소 별로 분류하여 수업 에피소드에 따라 설명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은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 삼각 검증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수업의 실제에서 구현된 각 교사의 내용 교수 지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체육교사의 수업을 분석한 결과 수업은 개인이 가진 6가지의 지식이 모두 융합되면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구현됨을 알 수 있었고 그 중 개인이 중점을 두는 수업의 주제와 내용에 따라 수업의 모습도 재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내용에 따라 체육교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내용 교수 지식 구성요소의 비중은 다르게 나타났다. 2명의 교사에 대한 내용 교수 지식 형성과정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내용 교수 지식에 영향을 미친 요소는 교사가 되기까지의 경험과 연수, 대학원 진학, 연구팀 활동, 대학의 교육내용, 교수 실제 경험, 동료교사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렇게 형성된 지식을 바탕으로 수업 목표에 맞게 수업을 구성하고 전략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체육 교사 전문성 향상과 체육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무엇보다도 예비 및 현직의 교사들은 스스로 자신의 내용 교수 지식 형성 및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하며, 다양한 기관 및 분야에서 교사의 내용 교수 지식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teachers in instructional practi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wo middle school teachers. Data were gathered by observing and videotaping their classes, transcribing the videotapes, and conducting 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pre and post-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elected analysis codes and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different episodes. The authenticity of the data was verified by the members, having a discussion with colleagues and utilizing triangul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constructed their classes using all six types of knowledges. However the classes were expressed in different ways based on topics and contents that the individual teachers considered important.

      • KCI등재
      • KCI등재

        통합체육교육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개발

        유정애(You, Jung-Ae),진연경(Jin, Yeon-Kyung) 한국체육과학회 2016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5 No.5

        As the educational response to social requirement for social integration, alternative educational movement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s being attempted in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area. For the groundwork for field applica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hich pursues the conquest of discriminate attitudes between students, and realization of education for studen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its related literature materials, and conducted experts meetings three times targeting 8 experts in the relevant field. As a result, this study managed to develop the human character, goals,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s regards the content system, this study drew three sorts of content elements, respectively in four sorts of areas covering obesity, sex, disability, and culture, and developed the achievement standard consequent on each content element. Such a study result will be an indicator that makes it possible to consistently maintain the identity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will be theoretical, practical standards of field application to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여학생 체육활성화 선도학교 운영 경험에 관한 셀프연구

        이의재(Euijae Lee),진연경(Yeonkyung Ji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여학생 체육활성화 선도학교 운영 과정에서의 한 개인의 경험과 고민에 관한 셀프 연구이다.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는 한 개인의 경험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개인적‧사회적 변화와 당면한 고민거리 탐구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비판적이고 자기성찰적인 회상을 주요방법으로 하는 자서전적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내러티브 텍스트 서술 형태로 기술 ‧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학생을 체육활동에 참여하도록 이끌어낸 과정과 운영에 대한 한 개인의 경험을 생생하게 담았으며, 이를 통해 개인적 사회적 변화와 고민을 논의하였다.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 노력을 통해 체육활동에 수동적 참여자에서 능동적이고 주체적 참여자로 변화한 여학생, 동료교사와 관리자의 변화, 또 교사인 ‘나’의 변화가 가져온 ‘지혜로운 경험’의 의미를 기술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가 향후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실천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공유되고, 지속적이고 발전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의 지향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elf-study is to address personal experience and concerns about a model school on the promotion of girls’ physical activities.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significant changes as well as concerns, which have arisen from the experience of an individual, as a physical educator, who has been trying to invigorate girls’ physical activ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has been described and analyzed based on a personal narrative text by utilizing autobiography as the main methodology in order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the person with a critical and self-reflective perspective. In conclusion, this study describes some significant changes of; 1) girls’ students who have become an active and interdependent participators in physical activities,; 2) colleagues and supervisors who have become a reliable supporters for the promotion,; 3) myself, as a teacher in physical education, who has been changed by the ‘wisdom’ experience. Finally, this study concludes with an in-depth discussion about the ways in which girls’ physical activities should be constantly promoted by sharing this paper with people who hope to activate girls’ physical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