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장 기간에 따른 사과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변화

        진소연,심기현,이은지,구혜진,김명현,한영실,박정수,김용훈,Jin, So-Yeon,Sim, Ki Hyeon,Lee, Eun Ji,Gu, Hae Jin,Kim, Myung Hyun,Han, Young Sil,Park, Jung Su,Kim, Yong-Hoo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6

        $20^{\circ}C$에서 15일 동안 저장기간별 사과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과의 중량과 수분은 저장기간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사과의 저장 중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저장 4일차까지 최고치로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사과의 저장 중 유기산 산도는 저장 5일차에 급격히 감소하다가 완만히 감소하였으며, pH는 저장기간에 따라 완만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중 사과 껍질의 색상을 측정한 결과, L값은 저장기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a값은 저장 3일까지 감소하였고, 저장 5일에 증가되었다가 그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b값은 저장 6일에 최저치를 보인 후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과의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사과의 경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저장 기간에 따른 사과의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 함량은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저장 3일차에서 저장 4일차에 큰 폭 감소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변화 결과, 1일차에 비교적 크게 감소하였고, 실험 7일차에서 8일차 사이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저장 기간에 따른 사과의 DPPH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DPPH 전자공여능은 감소하였으며, Vit. C 함량의 경우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는데, 특히 저장 4일차에 비교적 크게 감소하였다. 사과의 관능평가 수행 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관의 좋은 정도는 0일차에 6.75에서 15일차 2.83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신맛의 좋은 정도는 저장 기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단맛의 좋은 정도와 아삭함의 좋은 정도에서는 0일차에 각 6.25, 5.33으로 가장 높았으며, 15일차에 각 3.92, 2.83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7일차와 8일차 사이에 5.00에서 3.50으로 비교적 큰 폭 감소하였으며, 15일차에 2.00으로 저장 기간에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사과 저장 시 3~4일차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저장 8일 이후에는 모든 항목에 있어 측정감이 크게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0{\sim}1^{\circ}C$에서 장기 저장한 사과를 $20^{\circ}C$ 전후에서 저장 및 판매할 경우, 최고의 품질을 위해서는 3일 내에 판매할 것을 권장하며, 8일 이내에 재고를 소진할 수 있도록 유통 기간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Korean apples' quali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20^{\circ}C$, for fifteen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eight, moisture content, soluble solid content, acidity, and hardness levels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However, pH and color value L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Total 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s content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vit. C contents of appl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storage period. Sensory parameters, such as appearance, sweetness, sourness, crunch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apples, also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if, the apple are being stored around $20^{\circ}C$, then, to have the highest quality, the apples should be sold within three days, We also suggested that it is desirable not to store the apples fore more than eight days.

      • KCI등재

        솔잎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진소연,Jin, So-Yeo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6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ne needle powder on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jakgwa (Korean traditional cookie). Majakgwa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pine needle powder (in ratios of 0, 3, 6, 9 and 12% to the flour quantity).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by the total phenol content in pine needle powder and Majakgwa. For analyz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bulk density and pH of the dough, moisture content, volume, color,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measured. The bulk density, volume, total phenol content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ajakgwa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pine needle powder (p<0.001), whereas the pH of the dough, L values and b values of the Majakgwa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pine needle powder content (p<0.001).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 for the 6% pine needle Majakgwa ranked significantly higher (p<0.001)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in overall preference, flavor, taste, crispiness and color.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was lower in Majakgwa with pine needle powder than control. From these results;we suggest that pine needle powder is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consumer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Majakgwa.

      • The Effects of Custom Orthotics on Posture, Balance, Pressure, and Pain

        Jin So Yeon(진소연),Yi Kyung Ok 대한인간공학회 2007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stom orthotics on asymmetry. Methods Twenty-five female college student volunteers used the custom (triple Pod System) orthotics with forefoot varus / vulgus wedge to correct posture, asymmetry, and relieve pain. These orthotics were used for at least one hour a day over a eight week period. Posture, balance, pressure, and pain were all used as indicators for body asymmetry. An angulometer (Biomechanics Co., Korea) was used to measure anterior / posterior pelvic tilt, and upslip, while an angle finder was used to calculate resting calcaneal stance position (RCSP). Balance was evaluated through the use of a balance board. Foot pressure was measured using a pressure plate (Biomechanics Co., Corea.) Pain was measured via a questionnaire. Differences in pretest and post-test measurements were evaluated via the paired t-test, using SAS programming with repeated measure desig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ure, balance, pressure, and pain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Conclusion The use of custom orthotics positively influenced posture, balance and foot pressure, and helping to reduce pain for the test subjects. Future studies should utilize a control group in order to more accurately evaluate the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참죽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진소연(So-Yeon J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1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한 참죽을 분말을 첨가(0, 5, 10, 15, 20%)한 매작과를 제조하여 매작과의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고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참죽 분말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16.31±0.93 mg GAE/g이며, 이를 매작과에 첨가한 경우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제조된 매작과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참죽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기능성과 함께 제품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참죽 분말 첨가 매작과의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반죽의 밀도는 참죽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감소하였다. 매작과의 수분함량과 부피는 매작과의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매작과의 색도는 참죽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매작과의 기호도 검사(전반적인 기호도, 향, 맛, 바삭함, 색)에서는 10% 참죽 매작과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참죽을 분말로 가공하여 저장성을 높이고, 매작과에 참죽 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매작과의 기호도를 증가시켜 주고 동시에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어 매작과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죽 분말을 첨가하여 매작과를 제조할 경우, 참죽 분말의 첨가량은 10%가 매작과의 관능적인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장 최적 조건으로 생각되며, 참죽 재배지에서 새로운 향토 특산품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Cedrela sinensis is a Korean traditional wild herb that has a special taste and aroma.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edrela sinensis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Korean traditional cookie). Maejakgwa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Cedrela sinensis powder (in ratios of 0, 5, 10, 15 and 20% to the flour quantity).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total phenol content in Cedrela sinensis powder and Maejakgwa. For analyz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the bulk density and pH of the dough, moisture contents, volume, color,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measured. The bulk density, moisture contents, volume, total phenol content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aejakgwa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Cedrela sinensis powder (P<0.001), while the pH of the dough, L values and b values of Maejakgwa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Cedrela sinensis powder content (P<0.001).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 for 10% Cedrela sinensis Maejakgwa ranked significantly higher (P<0.001)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in overall preference, flavor, taste, crispiness and color.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Cedrela sinensis is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the consumer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Maejakgwa.

      • KCI등재

        뉴스서비스별 전자투표시스템 관련 가짜뉴스가 뉴스 이용자의 이용 태도, 선거 참여 의도, 뉴스서비스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진소연(So-Yeon Jin),이지은(Ji-E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짜뉴스가 크고 작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전자투표시스템 관련 가짜뉴스가 뉴스 이용자의 시스템 이용에 대한 태도, 시스템을 통한 선거 참여 의도, 뉴스서비스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부정적인 내용으로 프레임된 가짜뉴스는 이용자의 태도와 선거 참여 의도 수준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특히 각 뉴스서비스에 따른 가짜뉴스 영향력 차이를 검증한 결과, 이용자가 일반 인터넷신문을 통해 가짜뉴스에 노출되고 해당 뉴스가 가짜임을 인지한 경우에는 태도와 선거 참여 의도 수준이 감소 후 다시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네이버와 페이스북 가짜뉴스에 노출된 이용자들은 가짜뉴스에 담긴 부정적인 내용을 더욱 강하게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짜뉴스가 이용자의 인지적 차원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최초 노출 정보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인식을 강화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fake news is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it causes various social problems. To find out these fake news’ influence, the study conducted the experiment to examine that the fake news related to the electronic voting system affects on the news users’ attitude of using the system,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election through the system and reliability of news service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fake news framed with negative contents reduced users’ attitude of using the system and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the election. Especi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fake news’ influence according to each news services, in the case that users recognized that the news was fake after exposing to the general internet news, the attitude of using the system and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the election have reduced and recovered again. However, users who exposed to Naver, Facebook believed the negative content of the fake news more strongly.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at the fake news has a tendency to exert influence on users’ cognitive dimension and to reinforce awareness in a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initial exposure information.

      • KCI등재

        석류 내피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진소연(So-Yeon J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2

        본 연구는 가식부위가 20~30%로 과즙 착즙 시 주로 버려 지고 있으나 석류의 부위별 추출물 중 가장 항산화성이 우수한 천연식품 소재인 석류 내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천연항 산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석류 내피 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용매에서 극성이 높은 용매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각 측정 방법 별로 항산화 활성에 있어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ethyl acetate 분획의 항산화능이 높게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에서 IC50이 각각 2.40 μg/mL, 2.88 μg/mL로 기준 물질인 ascorbic acid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 타났다.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에서 ethyl acetate과 butanol 분획물의 IC50은 각각 58.94 μg/mL, 61.91 μg/mL로 기준물질인 tannin acid보다 항산화능이 우수하였다. ABTS+ 소거활성에서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의 IC50은 각각 39.26 μg/mL, 40.95 μg/mL로 나타났으며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0.1 mg/mL)의 흡광도가 1.404로 기준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SOD 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SOD 유사활성은 42.88±0.66%(dichloromethane), 15.43±0.85%(butanol), 12.82±0.68%(water)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서 dichloromethane 분획물의 IC50은 115.54 μg/mL로 기준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석류 내피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폐자원으로써 버려지는 석류 내피는 식품첨가물 등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ies of pomegranate endocarp extracts. Pomegranate endocarp extract contains the highest antioxidant function compared to pomegranate extracts from other parts. Pomegranate endocarp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butanol extract, and water, followed by evaluation for antioxidant activity. During this experiment, various antioxidant tests such as nitrite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super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y, ABTS+ scavenging activity, SOD like-activ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conducted on the CH₂Cl₂, EtOAc, BuOH, H₂O fractions of pomegranate endocarp extract. Results showed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 contain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the samples. For SOD like-activity,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For super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y, the ethyl acetate fraction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In the ABTS+ scavenging activity test, the ethyl acetate fraction IC50 was 39.26 μg/mL, whereas that of the butanol fraction was 40.95 μg/mL. In testing reduction power at 0.1 mg/mL, the O.D.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highest at 1.404 and showed higher activity than ascorbic acid at 1.332. The results of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test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SOD like-activity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megranate endocarp extract may have value as a natural antioxidant.

      • KCI등재

        국내산과 이란산 석류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진소연(So-Yeon J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8

        이란산과 국내산 석류를 착즙하여 과즙과 부산물로 버려지는 외피, 내피, 씨의 4부분으로 나누어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석류 부위별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 중총 페놀 함량은 국내산 석류 외피가 210 ㎎/g±8.08로 가장 높았고,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이란산 석류 내피와 이란산 석류 외피가 가장 높았다. Phytoestrogen 함량은 이란산에 비해 국내산 석류 내피에서 96.04 μg/mL로 가장 높게 측정되어 전반적으로 이란산 석류보다 국내산 석류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았다. 부위별 석류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 환원력은 국내산 석류 내피의 활성이 가장 높았고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에서는 이란산 석류 내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ABTS? 소거 활성에서는 이란산 석류 외피의 항산화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국내산 석류 외피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또한 석류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양이 높을수록 항산화성이 높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기능성 성분은 국내산 석류에서 함량이 높았고 항산화활성은 각 항산화 측정방법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국내산 석류의 항산화능이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부위별로 비교해 본 결과 석류는 과즙보다 껍질과 씨 부분 특히 내피에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많고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과즙 착즙 시 버려지는 부산물인 석류의 외피와 내피는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성이 우수하여 식품의 산화방지를 위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omegranate juice and pomegranate husk, endocarp and seed extracts by comparing Korean and Iranian pomegranates. Korean pomegranate husk (KPH) ha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among the pomegranate extracts, and total phytoestrogen content was highest in Korean pomegranate endocarp (KPE). Iranian pomegranate endocarp (IPE) and Iranian pomegranate husk (IPH) showed the highest flavonoid levels. Overall, Korean pomegranate had more functional components than those in Iranian pomegranate. KPE ha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like-activity among all of the extracts, and KPH had the highest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PE showed the highest super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y. The ABTS? assay also indicated that IPH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more total polyphenols, flavonols, and phytoestrogens the pomegranate contained, the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otal polyphenol, flavonol and phytoestrogen leve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pomegranates contained more functional components and ha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ose of Iranian pomegranates. Additionally, pomegranate endocarp and seed extracts were better than pomegranate juice in terms of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megranate husk, endocarp and seed extracts as well as pomegranate juice may have value as natural antioxidants with their high quality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 KCI등재

        트위터 유력자와의 의견일치여부가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진소연(So-Yeon Jin),이숙정(Sook-J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는 트위터 유력자가 이용자의 온-오프라인 의견표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침묵의 나선 이론과 수정 행동 가설에 근거하여 상반된 가설을 도출하였고, 어느 가설이 더 타당한지를 검증해보기 위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은 입양특례법 개정안에 대한 공인 유력자의 찬성트윗, 공인 유력자의 반대 트윗, 일반인 유력자의 찬성 트윗, 일반인 유력자의 반대 트윗이라는 4개의 실험조건에 배치되었다. 입양특례법 개정안에 대한 실험참가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실험집단은 공인 유력자와의 의견일치 집단, 공인 유력자와의 의견불일치 집단, 일반 유력자와의 의견일치 집단, 일반 유력자와의 의견불일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분석결과, 유력자와의 의견일치여부는 이용자의 의견표명 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유력자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인 유력자와의 의견불일치가 이용자들의 온-오프라인 의견표명 의지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트위터 유력자가 이용자들을 침묵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의견표명을 동기화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witter influenctials on users’ willingness on express opinions. Based on the spiral of silence and corrective action hypothesis, the contradictory hypotheses were drawn. The online expeiment was conducted to verify which hypothesis is valid. Participant were assigned to the four experimenatal conditons: a famous influentials twit which agrees with the issue; a famous influentials twit which disagrees with the issue; an ordinary influentials twit to agree with the issue; an ordinary influentials twit to disagree with the issue. Results showed that opinion congruency with a twitter influential did not influence participants willingness to express opinion online and offline, but the interaction effect with the type of influentials was found. Opinion dissonance with an ordinary tiwtterian increased willingness to express opin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witter influentials, particulary an ordinary influentials with differnet opinions, can motivate users to express their own opi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