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valuation of Resistance in Hot Pepper Germplasm to Phytophthora Blight on Biological Assay

        김정순,김원일,지형진,곽재균,김정곤,심창기,Kim, Jeong-Soon,Kim, Won-Il,Jee, Hyeong-Jin,Gwang, Jae-Gyun,Kim, Chung-Kon,Shim, Chang-Ki Korean Society of Horticultural Science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5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is the most economically important disease in the world cultivation regions. We investigated the phytophthora blight resistance of 300 accessions of Korean landrace of hot pepper germplasms collected from 83 local regions. The disease incidence rate was checked from 7 days to 28 days at an interval of 7 days after inoculatio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Among 300 accessions, the disease incidence rate of phytophthora blight of 67 accessions of pepper germplasm was more than 60.1%, while no disease was observed in 37 accessions at 7 days after inoculation. At 28 days after inoculation, five and eleven accessions of pepper germplasm were resistance and moderate resistance to $P.$ $capsici$, respectively. Two hundred forty four susceptible accessions (81.3%) of pepper were scored as having more than 60.1% of disease incidence of phytophthora blight. This result suggests that five candidate pepper germplasm might be used as breeding resources for the phytophthora blight resistance breeding program. Also, further genetic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to verify this result, with the overall focu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pepper germplasm. 역병은 세계적으로 고추에 발생하는 병 중 가장 문제시 되는 병해로 국내 83개 지역에서 채집한 재래종 고추 유전자원 중 300개를 선발하여 공시하였다. 파종 후 온실에서 70일간 육묘하였고 공시한 역병균의 유주자낭 농도를 $10^5/mL$으로 하여 주당 5mL 관주접종 후, 습실 처리하였고 1주 간격으로 4주간 이병주율을 조사하였다. 접종 7일 후 이병주율을 조사하였더니, 공시한 300개 고추 자원 중 67개 자원에서 이병주율이 60.1% 이상으로 높은 감수성을 보였으며, 37개 자원은 접종 후 7일까지 전혀 발병하지 않았다. 역병균 접종 28일 후, 공시한 300점의 고추자원 중 244개 자원은 60% 이상의 이병주율을 보여 역병에 대해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며, 11개 자원은 20% 미만의 이병주율을 보여 중도저항성을 보였고, 5개 자원은 전혀 발병하지 않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5개 자원의 저항성 고추유전자원은 역병저항성 고추 품종 육종에 유용한 중간모본으로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분자마커를 활용한 추가실험이 진행된다면 고추유전자원의 역병 저항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식물추출물의 채소류 주요 해충에 대한 살충력 평가

        박종호,류경열,지형진,이병모,고현관,Park, Jong-Ho,Ryu, Kyung-Yul,Jee, Hyeong-Jin,Lee, Byung-Mo,Gho, Hyeon-Gw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1

        Insecticidal activity of 20 plant species against adults of Myzus persicae, female adults of Tetranychus urticae, and $2^{nd}\;or\;3^{rd}$ instar larvae of Plutella xylostella was evaluated in this study. Thirteen plant extracts showed over 80% acaricidal activity to T. urticae at the concentration of 1 %, while Capsicum annuum (hot-pepper seed), Inula helenium, and Acorus calamus revealed 82.8-86.2% acaricidal activities at 0.5%. Insecticidal activities of the plant extracts to M. persicae and P. xylostella were relatively low compare to the mite. Among the plant extracts, C. anuum and Brassica juncea revealed 48.6% and 42.9% respectively insecticidal activities to the aphid at the concentration of 0.5%. Extracts of C. anuum and Jeffersonia dubia provided 55% and 50%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P. xylostella at 1%. And, the highest antifeeding activity of the insect was observed in the J. dubia extract as 79.4%. Results indicated that some plant extracts including hot pepper seed could be used as potential botanical pesticides for organic farming. 유기재배 농가에서 해충방제용으로 이용하거나 해충에 살충력이 보고된 식물추출물 20종을 점박이응애, 복숭아혹진딧물 및 배추좀나방에 대해 살비, 살충 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들 중 13종의 식물추출물은 1% 농도에서 점박이응애에 대해 80%이상의 높은 살비력을 보였다. 그러나, 0.2% 농도에서는 모두 50% 미만의 살충율을 보였고, 0.5% 농도에서는 창포, 목향 및 고추씨 추출물이 각각 82.8%, 82.8%, 86.2%의 높은 살비력을 나타내었다.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해서는 고추씨와 겨자 추출물이 0.5% 농도에서 48.6%와 42.9%로 가장 높은 살충력을 보였다. 배추좀나방의 경우 1% 농도에서 황련과 고추씨 추출물이 50%와 55%의 살충력을 보였고 나머지 추출물의 살충효과는 50% 미만으로 낮았다. 하지만 여러 식물추출물이 배추좀나방 유충의 섭식을 저해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황련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유충의 섭식저해율이 79.4%로 가장 높았다. 본 실험을 통해 천연살충제로서 고추씨와 같이 사용이 용이한 식물체추출물이 유기농업에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난황유의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방제효과

        박종호,류경열,이병모,지형진,Park, Jong-Ho,Ryu, Kyoung-Yul,Lee, Byung-Mo,Jee, Hyeong-Ji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3

        점박이응애의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을 개발하기위해 식용유와 계란 노른자를 재료로 한 난황유(COY)를 이용하여 점박이응애 성충에 대한 살비효과를 실험실과 유리온실에서 검정하였다. 해바라기유, 콩기름, 카놀라유, 올리브유를 재료로 한 난황유를 사용하여 살비력을 비교 검정하였으나 식용유의 종류에 따른 살비효과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난황유를 점박이응애에 살포하였을 때 식용유의 농도가 0.1%에서 1%까지 증가할수록 살비율은 17.6%에서 94.1%로 높아졌으며 난황유의 처리 방법도 처리량이 많을 경우 살비력이 더 높았다. 점박이응애의 알을 난황유에 침지 처리했을 경우 살란율은 95%였다. 점박이응애가 발생한 장미재배 온실에 0.3%의 해바라기유로 제조한 난황유를 3회 살포 후 69.0%에서 93.9%의 높은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organic control method of two spotted spider mite(Tetranychus urticae) by using cooking oil and yolk mixture(COY) through evaluating its acaricidal activity in laboratory and green house. In laborator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ricidal activity against T. urticae within the COY including soybean, canola(rape seed), sunflower and olive oil. The acaricidal activity against T. urticae. increased from 17.6% to 94.1% as the COY became concentrated between 0.1% to 1%. The COY acricidal activity was effected by the quantity of treatment according to application methods. The COY dealt with T. urticae eggs presented 95% of the ovicidal activity. In rose greenhouse damaged by T. urticae, the COY(0.3%) was sprayed three times and resulted in the high control value of mites between 69.0% to 89.6%.

      • KCI등재

        난황유를 이용한 단감 흰가루병 방제

        권진혁,이흥수,최성태,심창기,지형진,Kwon, Jin-Hyeuk,Lee, Heung-Su,Choi, Seong-Tae,Shim, Chang-Ki,Jee, Hyeong-Ji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1 No.2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 동안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포장에서 단감 흰가루병(P. kakicola)을 방제하기 위하여 난황유를 3회 지상부에 살포한 다음 5일 후 병해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난황유 처리구에서 병반 면적율을 조사한 결과 13.4%였으며, 단감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율은 80.5%이었다. 무처리구에서 68.6% 발생하였다. 난황유를 처리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흰가루병의 균사는 형태적으로 세포가 원형질막이 파괴되어 세포내용물이 소실되어 쭈그러졌다. 이것은 난황유가 흰가루병의 세포벽이나 세포막을 파괴하여 생긴 것으로 사료된다. Cooking oil and yolk mixture (COY) was applied to control the powdery mildew of sweet persimmon at the research field of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from 2010 to 2011. COY was sprayed three times with 10 days interval on foliar parts of sweet persimmon and the disease development was monitored after 5 days of final spray. Diseased leaf area rate was 13.4% and the control efficacy of COY against powdery mildew was 80.5%. Disease rate was 68.6% on negative control.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powdery mildew fungus on the leaf surface were observed. On COY-treated leaves, fungal mycellia were morphologically characterized by a loss in cell volume, shriveling, plasma membrane rupture, and subsequent loss of intracellular contents. It may due to the destruction of fungal cell wall or membrane structure.

      • KCI등재

        유기농법과 관행농법에 의해 재배한 '신고'배 과원 토양의 물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비교

        최현석,이웅,김월수,이연,지형진,Choi, Hyun-Sug,Li, Xiong,Kim, Wol-Soo,Lee, Youn,Jee, Hyeong-Ji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1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9 No.2

        최근에 소비자들의 안전 농산물에 대한 관심과 정부의 정책적인 친환경농업에 대한 지원은 유기농 재배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다. 본 연구는 유기농 재배 과원과 관행 과원간의 토양 물리성과 화학성 및 미생물성에 대한 시기별 비교분석을 통하여 변화양상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토양 가비중과 고상 및 경도는 유기농 과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낮게 나타났다. 토양 pH와 유기물 함량은 3월에서 8월까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유기농 과원에서 관행과원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질소와 유효인산은 처리구에 상관없이 3월에서 8월까지 각각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기농 과원에서 관행과원보다 전질소는 높았으나 유효인산은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토양 미생물 탄소 생체량은 처리구에 상관없이 3월부터 8월까지 증가(유기농 36%, 관행 15%)하였고, 미생물 질소생체량은 6월에 가장 높았고, 유기농 과원에서 관행과원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미생물 생체량을 나타내었다. 토양중 dehydrogenase와 chitinase activity는 3월과 8월보다 6월에 가장 높았고, ${\beta}$-glucosidase activity는 시기적으로 점차 감소(유기농 38%, 관행 48%)하였으며, acid phosphatase activity는 증가하였다. 유기농 배 과원토양에서 관행재배에 비하여 6월에 조사된 acid phosphatase activity를 제외하고는 모든 효소활성이 시기에 상관없이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Consumers' interest and government's support for the fruits rapidly increased organic fruit productions. This study was examined to compare the soil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orchards soil in conventionally and organically management systems. Organic cultivation had lower soil bulk density, solid phase, and penetration resistance than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Soil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s increased from March to August, and the values were greater in the organic cultivation than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Total nitrogen (N) and phosphorous concentrations decreased from March to August, and the organic soils had greater N but lower phosphorous concentrations than the conventional soils. Soil microbial carbon biomass increased 36% and 15% for organic and conventional cultivations, respectively, from March to August. Soil microbial N biomass was greater in June than March or August, and the organic cultivation had a greater biomass 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Soil dehydrogenase and chitinase activities were greater in June than in March or August. ${\beta}$-glucosidase activity declined in both cultivations, while the phosphatase activity increased. Organic cultivation had greater enzyme activities in March, June, and August, except for the acid phosphatase activity in June.

      • KCI등재

        맥주와 담배 혼합액을 이용한 민달팽이 방제

        윤종철,박종호,심창기,류경열,지형진,Yoon, Jong-Chul,Park, Jong-Ho,Shim, Chang-Ki,Ryu, Kyung-Yul,Jee, Hyeong-Ji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2

        다양한 엽채류에 발생하며 특히 상추에 피해가 큰 민달팽이는 여러 가지 식품자재 중 맥주와 오이즙액에 가장 효과적으로 유인되었다. 하지만, 이들 재료는 민달팽이를 유인할 뿐 살충효과는 전혀 없었다. 민달팽이 유인재료에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들을 첨가하였을 때 맥주와 담배가루 혼합액의 민달팽이 유인 포살효과가 가장 높았다. 맥주 50ml에 담배 1개비 가루를 혼합하여 작은 플라스틱 용기에 담고 지표면에 매몰한 결과 하룻밤 사이에 평균 25 마리의 민달팽이가 유인 포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민달팽이 유인효과가 높았던 오이즙액에 담배가루를 혼합한 처리구에서는 평균 4.3마리만 유살되었다. 맥주와 담배 혼합액을 민달팽이가 심하게 발생된 상추 재배하우스에 3일간 연속으로 처리한 결과 68.4%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상추 육묘상에서는 58.3%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트랩은 매일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민달팽이의 피해가 큰 친환경 유기농 채소 생산농가의 육묘장이나 본포장 등 제한된 면적에서는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Among various food base baiting materials, beer and macerated cucumber were the most effective to induce slug that is a troublesome pest on leafy vegetables, especially on lettuce. However, the baits attracted only but did not kill the pest. When the baits were combined with various insecticidal organic materials, a few combinations such as beer and cigarette mixture successfully induced and killed the slug in the field test.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 of beer 50ml and a cigarette contained in a small plastic box killed 25 slugs per night. While macerated cucumber 50ml and a cigarette mixture killed only 4.3 slugs. The bait of beer and cigarette mixture revealed 68.4% control value against slug damage when treated for 3 consecutive days in a lettuce cultivation greenhouse. The bait also effectively reduced the slug damage in a lettuce nursery showing 58.3% control value. The method seemed highly useful for the control of slug in the organic farming system in which application of pesticides are strictly prohibited.

      • KCI등재

        농가 자가제조 액비의 발효과정 중 이화학성 및 미생물상 변화

        안난희,김용기,이 연,지형진,박종호,홍성준,한은정,An, Nan-Hee,Kim, Yong-Ki,Lee, Yeon,Jee, Hyeong-Jin,Park, Jong-Ho,Hong, Sung-Jun,Han, Eun-Jung 한국유기농업학회 2011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9 No.3

        본 실험에서는 유기재배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액비의 특성을 과학적으로 구명하고자 발효기간 동안 액비의 화학성, 미생물상의 변화, 그리고 액비 처리가 무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액비의 pH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7.2에서 4.3로 감소하였고 EC는 액비제조 직후 13.9 dS/m에서 계속 상승하여 70일에는 99.3 dS/m에 도달하였다. 액비내 서식하는 세균 밀도는 발효 과정 중 $8.2{\times}10^5$ cfu/ml에서 $3{\times}10^4$ cfu/ml로 감소하였으며, Bacillus 속은 제조 직후 $2.1{\times}10^2$ cfu/ml에서 $4.2{\times}10^3$ cfu/ml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액비로부터 분리한 세균은 지방산 분석을 통한 동정 결과, 발효가 진행될수록 Bacillus 유사속들이 액비내 우점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DGGE profile을 통해 발효과정 동안 액비내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액비처리에 의한 무 유묘 생육을 살펴본 결과, 줄기보다는 뿌리 발달을 촉진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during fermenting process of farm-made organic liquid fertilizer made of the mixture of organic materials such as blood meal and molasse during fermenting process. The pH level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during the ermentation decreased from 7.2 to 4.3. The EC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was increased from 13.9 dS/m to 99.3 dS/m during the fermentation. The total population of aerobic bacteria decreased from $8.2{\times}10^5$ cfu/ml to $3{\times}10^4$ cfu/ml, but Bacillus spp. increased from $2.1{\times}10^2$ cfu/ml to $4.2{\times}10^3$ cfu/ml during the fermentation. Bacterial isolates were obtained from organic liquid fertilizers and identified by fatty acid-base typing. The Genus Bacillus was dominant as fermenting proceeded. Th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profile showed changes of bacterial communities in organic liquid fertilizers.

      • KCI등재
      • KCI등재

        간.혼작을 이용한 유기농 배추 주요해충 발생경감 효과

        김민정,심창기,김용기,지형진,윤종철,박종호,한은정,홍성준,Kim, Min-Jeong,Shim, Chang-Ki,Kim, Yong-Ki,Jee, Hyeomng-Jin,Yun, Jong-Chul,Park, Jong-Ho,Han, Eung-Jung,Hong, Sung-Ju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1 No.4

        본 연구는 유기농 배추재배를 위한 주요 해충 방제를 위한 push-pull 전략 수립을 하고자 유인 또는 기피식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2012년 충남 서산의 유기농 배추재배농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 배추잎벌레, 진딧물, 비단노린재 및 갈색노린재에 대한 메리골드, 호밀, 부추, 상추, 치커리, 농우-치커리, 쑥갓, 트레비소 및 겨자채 등, 9가지의 식물에 대한 유인 또는 기피효과를 평가하였다. 10종의 유인 및 기피식물 중에서, 호밀과 치커리는 갈색날개노린재와 비단노린재를 각각 강하게 유인하였다. 진딧물은 다른 식물보다 호밀에 선택적으로 유인되었다. 겨자채는 비단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순으로 유인하였다. 비단노린재는 상추와 부추 혼작처리에 유인되었다. 유기농 배추포장에서 쑥갓, 트레비소, 청겨자의 단독 또는 혼합처리는 배추잎벌레, 배추좀나방, 비단노린재, 진딧물, 갈색날개노린재의 발생을 강하게 기피하였다. 상기 결과들은 선발한 해충 유인 및 기피식물은 배추의 종합적 해충방제를 위한 인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effect of attractant or repellent plants for establishing push-pull strategy for insect pest management of organic Chinese cabbage cultivation. The attractant or repellent effect of Ten plants, marigold, rye, Chinese chive, lettuce, chicory, Nongwoo-chicory, crown daisy, Treviso, green leaf mustard, and red leaf mustard were evaluated against diamondback moth, striped flea beetle, aphids, brown-winged stink bug and cabbage stink bug in organic Chinese cabbage field in Seosan in 2012. Of the ten repellent or attractant plants, rye and chicory attracted significantly brown-winged stink bug and cabbage stink bug, respectively. Aphids ate attracted significantly to the rye rather than the other plants. Leaf mustard was attracted cabbage stink bug and brown-winged stink bug in order. Cabbage stink bug was attracted by only a combination of lettuce and Chinese chive. Diamondback moth, striped flea beetle, aphid, brown-winged stink bug and cabbage stink bug were significantly repelled by single or combined cultivation of crown daisies, Treviso, and leaf mustard in organic Chinese cabbage cultivation. The results above-mentioned indicate that selected insect-attractant and -repellent plants can be used as tools for integrated pest managements of Chinese cabb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