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접경지역 변화의 관계론적 정치지리학: 북한-중국 접경지역 단둥을 중심으로

        지상현,정수열,김민호,이승철,Chi, Sang-Hyun,Chung, Su-Yeul,Kim, Minho,Lee, Sung-Cheol 한국경제지리학회 2017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0 No.3

        1990년대 이후 정치지리학자들은 경계의 종류와 기능에 초점을 맞추었던 형태론적 경계연구에서 벗어나 접경지역이 구성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러한 변화된 연구경향은, 경계를 영토성(territoriality)의 발현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경계와 접경지역을 다양한 관계들이 중첩되고 경합되는 관계론적(relational) 시각으로 이해하고 있다. 또한 접경지역을 구성하는 다차원의 행위주체와 접경지역 고유의 역사 문화적 과정을 강조하는 시각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최근의 논의를 기반으로 북한-중국 접경지역인 단둥을 사례로 하여 접경지역이 다양한 행위주체와 이들의 전략에 의해 어떻게 구성되어가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따라 여러 차례의 경제제재가 결의되었고 시행되고 있으며, 이는 접경지역에 미치는 다양한 스케일의 행위주체의 전략이 경합되는 "관계로서의 접경"을 이해하기 적절한 사례가 된다. 또한 본 논문은 지정학 연구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담론분석 위주의 설명에서 벗어나 지역이 구성되는 과정과 이로 인해 구축되는 물질성의 특성에 대한 사례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Since the 1990s, political geographers have focused on the study of the process of border construction. They have shifted from the old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approaches to boundary that have focused on the types and functions of boundaries. Recent scholarship on border studies understand boundaries and the border regions as entities with overlapping and competing relationships not as manifestation of territoriality. There has been the emphasis on the multidimensional actors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egacies inherent in the border region as well. Based on these recent discussion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border region has been constructed by various actors and strategies in Dandong China, the border city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Several sanctions including UN Security Council have been resolved and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which is a relevant example to examine the "border as relationships" in which strategies of various actors are competing. In addition, this paper has a significance as a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bord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materiality, which is a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discourse-oriented critical geopolitical research.

      • KCI등재

        The Spatial Diffusion of War: The Case of World War I

        Sang-Hyun Chi(지상현),Colin Flint,Paul Diehl,John Vasquez,Jurgen Scheffran,Steven M. Radil,Toby J. Rider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1

        전통적으로 전쟁의 확산에 관한 연구는, 전쟁에 참여하는 양국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왔으며 국가 간의 관계가 전쟁의 과정에서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에 기반하여 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접근방법이 전쟁 확산의 공간적 측면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함을 보여주고 있다. 네트워크 공간에서의 전쟁확산을 이해하기 위해,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하여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국가의 행위를 분석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기법의 적용은 기존의 갈등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는 물리적 공간과 네트워크의 이분법적 이해를 극복하는 시도가 된다. 연구의 결과는, 국가들이 맺는 관계(지속적인 갈등, 동맹)가 만들어내는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이 개별 국가 간의 관계만큼이나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분쟁의 확산을 이끌어내는 요인이 전쟁이 진행되면서 변화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데, 지리적 인접성은 전쟁 초기에는 중요하지만 전쟁이 확산됨에 따라 동맹관계, 기존에 유지되어온 적대적 관계와 이로써 생성되는 국제관계의 네트워크 구조가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Conventional treatments of war diffusion focus extensively on dyadic relationships, whose impact is thought to be immutable over the course of the conflict. This study indicates that such conceptions are at best incomplete, and more likely misleading to explain the spatial diffusion of war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we examine war joining behavior during World War I. By employing social network analysis, we attempted to overcome the dichotomous understanding of geography as space and network in the discipline of conflict studies. Empirically, networked structural elements of state relationships (e.g., rivalry, alliances) have explanatory and predictive value that must be included alongside dyadic considerations in analyzing war joining behavior. In addition, our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diffusion of conflict involves different driving forces over time.

      • KCI등재

        지명의 정치지리학

        지상현(Sang Hyun Ch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3

        인류는 한 장소를 다른 장소와 구분하기 위해 지명을 사용해왔으며, 지역의 정체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지명 이 선택된다는 점에서, 지명은 인간의 집합적인 의식의 산물이다. 또한 지명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사성을 가지며, 그 변화의 이면에는 사회 집단들의 경쟁과 투쟁 그리고 헤게모니 집단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지명을 관철시키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자리하고 있다. 최근의 지리학계의 지명연구는 이러한 정치·사회적 과정에 주목하고 있으며, 본 논문 은 이러한 연구경향의 연장선상에서, 1990년대 중반 도농통합적 행정구역 개편 당시 시의 명칭을 둘러싼 논쟁을 정치 지리학적으로 살펴보았다. 통합 당시 시·군 주민들은 지명이 가지는 역사성과 인지도를 내세우며 자신들의 주장을 정당화하였으며, 지역의 경제력이 정치적 자원으로 동원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통합시 명칭의 결정은 주로 인구규모나 기초의회 의원의 숫자 등 정치적 자원의 양으로 결정되었으며, 일부 지역은 시의 명칭을 통합의 협상카드 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는 지명의 결정이 정치적 경합관계의 산물임을 보여주며, 이러한 정치적 논쟁속에서 지명은 시·군의 영역성(territoriality)의 상징이 된다. 시명칭의 결정 이후에도 지명은 지역정치에서 지속적인 논란의 대상이 되며, 이는 향후 행정구역 개편과정에서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합리적인 지명 결정의 방법이 고민되어야 한다는 점 을 시사한다. Human being has used place names to differentiate one place from another. Place names are the products of collective human cognition in that a place name is chosen when it successfully represents the identity of a place. In addition, place names have been changed by the competition and struggle between social agencies and the political imperatives of hegemonic groups to impose their identity on the places. Recent geographic studies on place names have focused on the social and political processes behind the change of place names.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debates on the decision of city names in the process of the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in mid 1990s by the lens of political geography. Residents in cities and counties tried to justify their arguments by emphasizing historical backgrounds and popularity of their names. Additionally, economic power and potential were mobilized for the political resources to win over the battle over city names. The result, however, shows that the decision of newly consolidated cities` name was mainly made by the amount of political resources, such as population and number of seats in local assemblies. Several regions tried to use city names to negotiate with counterparts. In sum, the decision of place names is the product of political competitions, and the place name becomes the symbol of territorial identity. Place names have been in the center of disputes in local politics even after the name was decided, which suggest further studies on reasonable solution to mitigate the disputes to be expected when additional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 KCI우수등재

        냉전의 진열과 쇼핑: DMZ 전망대를 통해 살펴본 냉전경관의 구성

        지상현(Sang-Hyun Chi),이진수(Jin-Soo Lee),조현진(Hyunjin Cho),류제원(Jewon Ryu),장한별(Hanbyeol Jang)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5

        국가에 의해 조성된 경관은 국가의 이데올로기를 나타내는 표상이 된다. 본 논문은 한국전쟁 이후 한반도에 조성된 냉전경관을 이해하기 위해, DMZ 전망대를 사례로 하여, 전망대 공간 구성의 특징과 함께 운영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 통제의 방식을 살펴보았다. 전망대의 경관은 국가 이데올로기가 방문객에게 전달되는 과정 속에서 형성되고 있었다. 전망대는 주로 시각을 통해 보여주어야 할 경관을 선택적으로 ‘진열’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방문객의 조망, 즉 경관 소비의 행동은 다분히 수동적이다. 그러나 전망대 경관의 소비는 단순히 전망대의 시각적 조망에 그치지 않는다. 방문객들은 일련의 출입절차를 거치며 전망대에 도착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의 수행과 실천을 통해 한반도의 냉전상황을 체화한다. 전망대 관람 전후의 이동과정, 전망대에서의 경관 ‘쇼핑’의 과정에서 방문객들은 보다 적극적인 실천과 수행을 통해 경관을 받아들이며, 이는 동시에 경관의 일부가 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진행되어온 재현과 비재현의 문화지리학 논의에 기반하여, 한반도의 냉전경관에 접근하는 방식을 전망대 관광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한반도의 냉전경관이 기존의 경관이해의 중심이 되어온 시각적 요소와 동시에 주체의 수행과 실천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Landscapes created by the State represent the ideology of the Stat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ld War landscape in the Korean Peninsular since the Korean War, this paper examines the way of controlling choreography of visitor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MZ observatories. The landscape of observatories have been (re)created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national ideology to visitors. The Landscape from the observatory is selectively chosen and ‘displayed’, which makes visitors’ landscape consumption activity very passive one. However, visitors’ consumption of the landscape is not only limited to what the observatories provide. Visitors have to go through a series of security check to reach the observatories where they experience and internalize the reality of the Cold War in the Korean Peninsula by bodily practices and performances. Through the travel before/after visiting the observatories and landscape ‘shopping’, visitors experience landscape by more active practice and performance, which becomes the part of landscape. By relying on the previous discussions on representational and non-representational cultural geograph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landscape of DMZ observatories and further the Cold War landscape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practices and performances of subjects have to be included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ld War landscape as well as the visual elements that has occupied the center of landscape studies.

      • KCI등재

        연어의 정치생태학: 생태관광에서 나타나는 '자연'의 생산과 보존

        장한별,지상현,Jang, Hanbyeol,Chi, Sang-Hyun 한국경제지리학회 2018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양양연어축제를 통해 생태관광에서 '자연'이 '생산'되고 보존되며 이용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최근 관광지리 논의에서는 관광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의 신자유주의화와 이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재해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양양군을 중심으로 연어보존이 이루어져왔고, 연어축제 역시 연어보존이 나타내는 자연의 복원이라는 상징성을 담고 있다. 그러나 연어축제는 연어의 상품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남대천은 연어의 생태계가 복원된 장소로 인식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연어회귀가 증가하지 않고, 축제의 외연적 확대가 어려워지면서 연어와 남대천 보존에 대한 지역의 관심은 예전과 같지 않다. 즉, 자연의 보존과 복원의 상징성을 강조하는 축제의 주장과는 달리 생태계를 위협하는 부정적인 요인들은 여전히 남아있다. 이로 인해 연어와 남대천의 보존과 관련한 행위자들 사이의 갈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주민들에서부터 지자체, 국가, 국제기구에 이르기까지 복잡하게 얽혀있다. 생태관광에서 이용되는 자연은 다양한 층위의 행위자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의되고, 이용되며, 강조된다. 이는 정치생태학 연구에서 강조되는 '생산되는 자연'의 개념이 본원적인 자연개념보다 축제의 주제로 전용되고 상품화되는 자연의 모습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es of the "Production of Nature" and the preservation and exploitation of nature in the local festival. The recent discussions in tourism geography address the neoliberalization of nature with its political-ecological interpretation. Yangyang-gun has been one of the main regions that have made efforts to make salmon back to the streams. Also, the Yangyang Salmon Festival was organized to celebrate and symbolize the successful restoration of nature. In fact, however, the festival focuses on the commercialization of salmon. Moreover, it is hard to consider Namdaecheon as the successfully restored ecosystem for salmon. As the returning number of salmon h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festival itself has not been successful to attract many tourists, the local people show declining interest on the conservation of salmon. Contrast to the catchphrase of the festival to emphasize the conservation of nature and restoration of ecosystem, there are still many hurdles that jeopardize returning of salmon. This controversy leads diverse actors into conflict over the conservation of salmon and Namdaecheon. The players in the dispute encompass local people, local and national government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Nature appropriated for ecotourism is selectively defined, used and emphasized by the interests of agencies at multiple sca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oncept of "Produced Nature" is more useful than intrinsic or original perspective on nature as long as we try to understand the commercialization of nature that is appropriated for the repertoire of local festival.

      • KCI등재

        접경지역 빛합계 지수의 지정학·지경학적 함의: 중국 단둥시를 사례로

        김민호,지상현,정수열,이승철,Kim, Minho,Chi, Sang-Hyun,Chung, Su-Yeul,Lee, Sung-Cheol 한국경제지리학회 2017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DMSP 위성의 OLS 센서에서 촬영된 Stable Lights 영상자료로부터 랴오닝성과 단둥시의 빛합계 지수를 도출한 후 이 지표와 경제 수준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랴오닝성의 빛합계 지수는 다른 성급 지역의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었고, 지난 20여 년 동안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실질 성장률과 1인당 평균 임금 등 이 지역의 경제 수준 향상을 지시하는 경제 지표 변화를 잘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단둥시의 빛합계 지수는 다른 지급시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었는데, 이는 주요 경제 지표에 기초한 이 도시의 경제적 지위와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전 시기에 비해 1998~2007년 사이 대북무역이 활성화된 단둥시 시할구의 빛합계 지수의 연간 증가율이 높아졌고, 비슷한 기간 동안 북중 교역액과 북한의 대중 수출액도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이 기간 동안 햇볕정책의 영향으로 남 북한 간 긴장 관계가 완화되었던 것을 비추어볼 때, 빛합계 지수는 단둥시의 지정학 및 지경학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공간 대안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derived sum of light (SOL) for Liaoning and Dandong, China, from DMSP OLS satellite images acquired at nighttime during 1992 to 2012 and investigated its potential association with economic status. The SOLs of Liaoning were found to b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higher than those of averages for the other provinces across the time period. The temporal pattern of SOLs would be interpreted to well reflect the economic status of this region based on real growth rate and average wage per capita. Nevertheless, the SOLs of Dandong were lower than the average of the other prefecture-level cities, which indicated the economic status of this city in China. Meanwhile,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SOLs for Dandong turned out to be increase for 1998~2007,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s, and temporal patterns in the trade amount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and the export amount of North Korea to China were similar to those of SOLs in the same time period. The political associ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was improved with 'Sunshine Policy' during 1997~2007. Taking it into account, SOL is expected to be valuable spatial proxy index that could explain the geopolitcal and geoeconomic aspects of Dandong.

      • KCI등재

        탈냉전기 한국의 동아시아 인식과 구상

        박명림(Park Myung-Lim),지상현(Chi Sang-Hyun)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4

        이 연구는 한국의 동아시아 인식과 구상을 대통령 시기의 김대중을 사례로 분석한다. 탈냉전 이후 비교적 선명한 동아시아 인식과 구상을 보여준 김대중에게 한국문제는 곧 지역문제였다. 1971년 대선 때부터 주창해 온 4대국 안전보장론은 지역문제 및 국제문제로서의 한국문제인식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이후 1동맹(미) 3우호(중ㆍ일ㆍ러)체제 구상으로 발전하여 집권 이후 한국과 동아시아 문제를 다루는 기본 틀이 된다. 김대중은 4대 지역강국과 모두 원만한 국제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역협력을 통해 한국문제에 접근하고자 했다. 집권 이후 김대중의 지역인식은 구체적인 구상과 정책으로 나타난다. 먼저 미국을 동아시아 역내 국가로 인식하여 클린턴 정부와의 협력관계를 구축, 한국문제와 동아시아 지역질서에 대한 공동보조를 취하였다. 또한 그는 박정희 이래 가장 적극적으로 일본을 포용한 한국 지도자였다. 오부치 총리와 한일 공동 코뮤니케를 발표하고, 일본문화 개방에 앞장섰을 뿐 아니라 전후 최초로 일본 해상 자위대와 공동 훈련을 실시하는 등 긴밀한 한일협력관계를 구축하였다. 중국과도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공동노력에 합의하고, 경제협력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구축하였다. 건국 이래 최초의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중국의 적극적 지지를 얻는데도 성공한다. 김대중 시기 한국은 외환위기를 맞아 활성화된 ASEAN+3 논의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동남아시아를 중국과 일본과 함께 동북아의 확고한 협력대상으로 인식하고 활용하였던 것이다. 김대중 시기 한국의 지역구상은 비교적 관점에서 몇 가지 특징을 갖는다. 먼저 미국을 역내 국가로 인정하고 활용하려했다는 점에서 역내의 마하티르(말레이시아), 리콴유(싱가포르) 등의 구상과의 일정한 차별성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은 중-일 사이에 위치하고 북한과 대치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지역구상이 경제영역에 한정될 수는 없었다. 즉 김대중의 지역구상에는 안보영역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또 동남아와 동북아를 긴밀히 연결하려 했다는 점에서도 특징적이었다. 그러나 김대중의 지역협력 구상은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였다. 첫째, 다양한 역내 협력 시도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역협력의 제도화나 기구 창설과 같은 뚜렷한 결과물을 만들어내지 못하였다. 둘째, 취임 이전부터 존재했던 4자회담과 같은 틀을 적극적으로 발전시켜 다자주의를 제도화하지 못한채 한미, 남북, 한중, 한일관계와 같은 전통적인 양자접근 방식에 치중했다. 셋째, 한반도 문제의 지역화 구상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김대중 정부가 추진한 한국문제 해결노력 중 가장 중요한 성과물인 남북정상회담과 6.15 공동선언에서 국제ㆍ지역협력을 통한 문제해결 원칙은 배제되었다. 대신에 민족과 자주가 강조되었다. 이렇듯 지역주의 구상을 다자주의 기구나 제도로 발전시키지 못하고 주변 4대국과의 양자관계적 협조와 지지에만 의존한 결과 미국에서 정권이 교체되자 상황은 극적으로 변전되었다. 결국 김대중의 지역협력ㆍ지역주의 구상은 그 선견성과 적극성에도 불구하고 다자주의 대신 양자주의 강조, 한국문제에서의 지역ㆍ국제접근 대신 민족ㆍ남북 우선 접근, 제도화보다는 리더십에 대한 과도한 의존의 특성을 보임으로써 궁극적인 성취에는 이르지 못하는 한계를 노정하고 말았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Kim Dae-Jung’s perception, idea and cooperative strategy of East Asia during the post-cold war period. As a president of South Korea from 1998-2003, Kim suggested very distinctive configurations of regional perceptions and ideas of cooperation relating to the Korean problem. Above all he pursued a ‘de facto’cooperative security system about the Korean question. According to him, the Korean question has been a regional and international problem for a long time. Then, without the cooperation and assurance of the neighboring powers, Korea’s security and development would not be possible and stable. The Korean-American alliance is the key pillar of all the external relations. To him, the USA is an East Asian power. Based on the ROK-US alliance, he strengthened the close cooperation in economics, culture, trade, and security with China, Japan, and Russia, striking distinction from the cold war period. He laid the foundations of security guarantee with China, Japan, and Russia without weakening the strong alliance with America at all. Also, right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East Asia Kim Dae-Jung suggested various governances, structures, and frameworks of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and multilateral solidarity. In doing so, firstly, he tried to embrace the US as an East Asian country in order to check and balance the neighboring countries, secondly to connect North East Asia and South East Asia especially in economics and trade, and thirdly to construct an East Asian community ultimately. However, Kim’s idea showed significant limitations. In spite of suggesting many ideas of regional cooperation, he failed to establish some pertaining institutions or institutionalized templates. Secondly, he definitively preferred and continued the way of bilateral approach rather multilateral one in dealing with the Korean question, also preferred leadership to institution. Then multilateralism would not be institutionalized and stabilized on the Korean issue. Finally, about the North Korean issue, national value and approach was more central than the regional and global ones to h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