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view of the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 in U.S.

        주현준(Joo, Hyun-Jun),이진(Lee, J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2

        2001년 The No Child Left Behind [NCLB]법이 제정된 이후, 자유경쟁의 시장원리에 기반한 학교선택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 중 하나인 보충교육(the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에 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NCLB법에 따라 보충교육을 이행하고 있는 캘리포니아주, 일리노이주, 뉴욕 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보충교육 자격을 사교육 영역까지 확대하여 허용, 2) 행정규칙과 규정에 근거한 모니터링 실시, 3) 학생의 학력향상에 근거한 보충교육 공급자의 적합성 판단등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미국 사례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국가수준학업 성취도 평가와 관련된 보충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보충교육 제공자에 대한 제한성과 다양성 측면과, 현행 교사 중심의 공적인 방식과 사적인 영역으로의 확대 등을 논의 하였다. Despite the vast research on The No Child Left Behind [NCLB], little is argued about the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 provisions [SES]. This study investigates state efforts to manage SES provider’s quality so a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a supplemental education for a nation-wide standard test policy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dministrative codes, regulations and policy guidelines concerning SES providers of three states; California, Illinois, New York.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ligible applicants for SES are involving more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private business, 2) to monitor SES providers follows the due process based on regulations and administrative codes, 3) the termination of contract with SES providers depends largely on students’ test scores. As a result, the study discussed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a supplemental education for a nationwide standardized test policy in Korea.

      • KCI등재

        학교장 리더십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주현준(Joo Hyun-J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의 리더십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설계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실제 우수한 성과를 보인 학교장을 대상으로 행동사건면접 (BEI)을 실시하고 관련 교사 및 행정직원과 추가 면접을 실시하였다. 행동사건면접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학교장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한 McBer사(McBer & Company)의 역량사전을 이용하여 리더십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개 역량군 중에서 성취 및 행동 역량군의 상대적 중요도는 42.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개 역량 중에서는 성취지향성 역량이 34.5%로 가장 높은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장의 리더십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있어서 성취 및 행동지향 역량군의 중요성과 다양한 리더십 역량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curriculum design of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excellent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competencies by conducting Behavioral Event Interview(BEI) of nine school principals, related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ive staffs. The data were analyzed by reorganized the competency dictionary of McBer and Company.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weighted scores and relative importan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cellent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competencies, ‘achievement and action' w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cluster and ‘achievement orientation' was the core competency. The relative importance of ‘achievement and action' was 42.6% and ‘achievement orientation' was 34.5%. However, the relative importance of ‘personal effectiveness' was 4.7% and ‘conceptual thinking' is 0.2%. The suggestions to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drawn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mportance of ‘achievement and action' and ‘'achievement orientation' should be reflected on the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2. The curriculum of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must be designed to train diverse leadership competencies.

      • 미국과 영국의 교원성과급제도 운영 사례와 시사점

        주현준(Joo Hyun Jun),전제상(Jeon Je Sang)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3

        1980년대 이래로, 교원성과급제도는 교원의 질을 확보 및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시행 10년차로 접어든 우리나라 경우는 학교직무수행과 관련한 교원성과급 제도를 운영해 오고 있으나 아직까지 학교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교원성과급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제도 운영의 핵심 요인인 조직구조, 조직문화, 구성원 관계, 외부 환경을 분석 틀로 정리하고, 우리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제도 운영을 하고 있는 미국과 영국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원의 직급 세분화에 따른 차등지급, 교원의 자발적인 참여 유도, 단위학교 자율성 확대, 관련 주체들과의 협력체제 구축 및 지속적인 효과성 연구, 교원평가 체제의 단일화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Since the 1980's, a performance-based reward system has potentially been an important tool for attracting and retaining quality teachers. In case of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awarded teachers pay incentives based on school performance. However, our understanding of a performance-based pay system's contribution to the teachers' motivation is quite limited.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based pay for school teachers remains inconclusiv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 the tasks of performance-based pay for school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of a performance-based pay for school teacher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U.S. and England cases using an examination frame from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culture, relationships, environmental factors. The analyses found that establishing a pay policy based on career ladder, making an institutional effort to stimulate teachers' initiatives, building a strong networks among stake-holders,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based pay, strengthening school-based autonomy, unifying the programs for teacher evaluations.

      • KCI등재

        초등학교장의 리더십 딜레마에 관한 연구

        주현준 ( Hyun Jun Joo ),김태연 ( Tae Yeon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장이 경험하는 리더십 딜레마를 탐구하고, 리더십 딜레마에 대한 인식과 대응을 분석하기 데 있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장은 ‘전체 구조와 개인적 신념의 불일치’, ‘의례적인 것과 새로운 도전 사이의 갈등’, ‘자율 확대와 책무증가의 스트레스’, ‘관리적 방식과 민주적 방식의 모순’과 같은 리더십 딜레마를 경험하였고, ‘무력감’, ‘부담감’, ‘긴장감’, ‘의구심’으로 인식하였다. 학교장은 ‘방임하기’,‘재해석하기’, ‘타협하기’, ‘개입하기’ 등으로 대응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인식과 대응의 이면에는 ‘교육전문가’, ‘학교문화 창조자’, ‘책임자’, ‘균형조정자’라는 자기 인식이 자리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장의 삶에 대한 이해, 분권화 및 자율화에 기초한 학교개혁 방향의 재음미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school principals are experiencing and responding to leadership dilemmas. This study, based on qualitative interviews conducted between 2013-2015 with 10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nationwide, details leadership dilemma situations, principals`` cognitive processes, and their responses. The findings suggest that principals have experienced leadership dilemmas such as: ‘a holistic system and an individual in the system’, ‘traditional stability and pursuing changes’, ‘extending autonomy and increasing accountability’, and ‘monitoring management and democratic empowerment’. In these situations, principals felt ‘helpless’, ‘overwhelmed’, ‘tense’, and ‘doubt.’ It was found that principals have the following adapting strategies in response to leadership dilemmas, which include ‘laissez-faire’, ‘reinterpreting’, ‘compromising’, and ‘intervening’.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how principals recognize themselves as “an educational professional”, “a school culture creator”, “a guarantor”, and “an equator” is analyz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in-depth understanding of real lives as a principal and re-examination of school reform grounded on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are need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육전문직 선발제도 개선 방안 탐색

        주현준(Hyun-jun Joo)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3 지방교육경영 Vol.17 No.2

        본 연구는 교육전문직 선발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17개 시도교육청의 2013년 교육전문직 선발계획의 특성을 인적자원행정의 핵심인 선발대상, 선발내용 및 선발방식, 선발주체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교육전문직 선발제도 개선을 위한 방안의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토한 후 향후 추가적으로 필요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선발대상은 추천, 교육경력, 근무평정, 응시횟수 등을 주요한 선발 자격으로 제시하였고, 선발내용 및 선발방식은 다단계 전형, 다양한 전형요소 활용, 기본 소양과 전문적 역량 평가 등의 특성이 나타났다. 그리고 선발주체는 외부 인사를 포함한 자체 선발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일부 지역에서는 민간위탁 방식을 도입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개선방안은 대체로 타당성이 높지만 실효성에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추가 개선 방안으로 ‘승진’을 대체할 유인가 마련, 교원 승진제도 개선 구 능력 조건 강화, 교육감의 리더십 개선, 장학과 연구 수행 중심 독립 기구(부서) 신설, 감사제도 법제화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on how to improve the selection system of educational supervisors. The content anaylsis was conducted on the 2013 plan for selecting educational supervisor in the offices of Education in 17 different cities and provinces, focusing on candidates, selection process and criteria. In addition, the study reviewed the validity and effects of improvement plan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later it concluded with additional improvements. Details are as follows. Requirements for candidates were recommendation, educational experienc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history of previous application. Selection process included multistep process, various selection methods, and tests for basic knowledge and professional capability. Outside experts were invited to become members of the selection committee. This study concluded with additional improvement plans, such as the alternative plan for promotion, enhanced requirements for professional capability, improved leadership of superintendent, the independent agent for supervision and research, and enactment of inspection system.

      • KCI등재후보

        교육리더십에 관한 질적연구의 문제와 과제

        주현준(Hyun-jun Joo)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2 지방교육경영 Vol.25 No.3

        한국 교육행정학에서 질적연구방법은 2000년대를 기점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증가 추세에 따라 질적연구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함께 연구논문의 질 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으로 수행된 교육리더십 논문의 연구경향과 질을 평가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논문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기준(연구설계, 연구방법, 자료수집, 표집, 자료분석, 분석결과)과 평가 척도(미충족 0점, 부분적 충족 1점. 충족 2점)를 개발하고, 2000년부터 2021년까지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교육리더십 관련 논문 가운데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한 총 16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질적연구방법 가운데 사례연구에 편중된 문제, 연구대상 논문 간 질적 수준 차이의 문제, 연구방법에서의 동일한 오류가 반복되는 문제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연구자와 연구현장 간 네트워크 구축, 대학원 간 연계 방안, 학술지 심사 과정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thodological challenges and offer recommendations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leadership.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the study identified 16 research of educational leadership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etween 2000 and 2021. The author applied analytical standards for conducting systemic review. Data were analyz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an analytical standard.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s was a strong tendency to preponder case study overwhelmingly. The study identified the disparities among the research in educational leadership. Also, the problem of repeating the same error in the research method was identified. The author discusses recommendations for overcoming the challenge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leadership.

      • KCI등재

        국내 A교육대학교 조직역량 진단 도구 개발

        주현준(Hyun-Jun Joo),김정원(Jungwon Kim),조대연(Daeyeon Cho),정지유(Jiyu Jeong),고남선(Namsun Ko),김은경(Eunkyung Gi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1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A교육대학교의 조직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고, 조직역량과 핵심 요소를 도출하여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과 신뢰성 높은 조직역량 진단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연구, 초점집단면접,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해서 조직역량의 정의와 구성요인을 확인하였고, 진단 도구를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는 교육대학교 학교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유효 설문 100부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예비 문항 상관관계 분석, 구성타당도, 신뢰도 검증, 판별타당도 검증, 준거타당도 검증을 차례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역량의 구성요인은 공유가치와 전략, 구조와 제도, 구성원과 기술, 리더십, 관계성의 5개 요인이며, 델파이 조사를 통해 총 39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증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총 26개 문항이 도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과정을 통해 5개 요인의 26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어 준거타당도 검증을 통해 정서적 몰입과의 통계적으로 정적인 영향 관계를 검증했으며(ß= .842, p< .001), 정서적 몰입의 선행변인으로써 조직역량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값을 활용하였으며, 전체 조직역량 진단 도구의 Cronbach α값은 .965, 5개 요인 역시 각 각 .8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조직역량 진단 도구를 활용한 종단적 연구와 학교구성원 지원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으며, 주기적으로 실시되는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과 같은 평가를 보안하는 대안으로서 활용 가능함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diagnostic tool for measuring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 other key factors. The definition and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petency we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focus group interviews, a Delphi survey, and a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faculty and staff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ll 100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result, a total of 26 questions from five factors were confirmed, and the five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petency are shared values and strategies, structure and system, staff and skills, leadership, and relationship. Subsequently, examining the convergent validity the tool, it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measuring emotional engagement (ß= .842, p<.001). Finally, the Cronbach α value of the diagnostic tool was found to be .965.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d the need for long-term research using the organizational competency diagnostic tool and providing support programs for staff members at the university.

      • KCI등재

        서울시교육청 학교선택권 확대 정책의 실효성 분석

        주현준(Joo Hyun-Jun),정성수(Jung Sung-S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4

        Although the empirical research for the school choice is not completed, policy makers have not waited for research findings. Among the various types of school choice, one widely recommended form of public school choice is open enrollment. Since the early 1990’s, Korean has attempted to adopt some form of school choice. Recentl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s seriously considering school cho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school choice policy of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operating cases of high school choice program 2010 using an examination lens from the US open enrollment perspective.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and students showed the passive action in choosing schools. Second, parents and students tend to be remain in neighborhood schools. Third, parents and students showed the strong preferences for some schools. The school choice policy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needs to get more affirmative strategies for increasing students’ selection and mobility, decreasing the gap between schools and school districts, and according with the related policies.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교육수요자의 학교선택권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교육수요자의 학교선택권 보장에 있어서 미국은 오랜 역사와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교선택권 정책 중에서 개방형등록제의 분석 준거를 활용하여 서울시교육청의 학교선택권 확대 정책 시행 첫해의 실효성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개방형등록제의 이론 검토 및 실효성에 관한 선행연구 탐색과 함께 실제 사례를 분석하여 분석틀을 설정한 후, 2010학년도 서울시교육청 고교선택제 지원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육수요자들은 서울시교육청 고교선택제도 참여에 소극적이었고 지역별 선호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교선택제에서 학교군 또는 자치구 간 활발한 교차 이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특정 학교에 대한 교육수요자들의 선호가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서울시교육청 학교선택권 확대 정책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학교군 및 지역 간 교차 이동 실현을 위한 전략, 지역 및 학교 간 경쟁력 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유사 정책과의 조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장의 다면적 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주현준 ( Hyun Jun Jo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장의 다면적 리더십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연구와 표적집단면담을 통해 초등학교장 리더십의 4가지 구인(개인, 양자, 집단, 조직) 및 14개 하위척도를 확인하고 128개의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한 전문가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98문항을 구안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1·2차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으로 최종 70문항을 선정하였다. 셋째, 본 검사는 초등학교 교사 6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통해 양호한 모형 적합도와 높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는 초등학교장의 다면적 리더십을 측정하는 기초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s for muliti-level leadership inventory for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First, the factors of multi-level leadership were made up for four factors(individual, dyadic, group, organizational level) and 3-4 sub-scales per factor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s and focus group interview. Second, the scales were consisted of 128 items total for the preliminary examination. Total of 1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ses were analyzed to obtain sound items through the two preliminary examinations. After content valid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tal items were reduced to 70 items. Third, another 6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ses to final scales were collected to examine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reliability of scale was generally appropriate and acceptabl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inventor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