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분석

        주영효(Joo Young-hyeo)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학교효과성의 영향 요인으로 학교풍토, 수업활동, 조직구조와 운영형식의 매개변인을 설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RMSEA .060, NFI .929, IFI 및 CFI .955로 나타나 현실을 반영하는 좋은 모형이라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표집수를 고려한 χ² 값 및 표준화된 χ² 값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의 적합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수업활동, 학교풍토, 조직구조와 운영형식의 매개변인을 통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각각 .059, .369, .143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전체적인 간접효과는 .572로 산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the school effectiveness. The effect factors of the school effectiveness such as school climate, teaching behavior,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style were fixed as extraneous variables. The results on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br/> First, the goodness-of-fit indices of the effects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the school effectiveness are RMSEA .060, NFI .929, IFI and CFI .955, relatively. Also the χ² value considering the amount of the sample and normed-χ² value correspond to the goodness-of-fit indices.<br/>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school effectiveness through extraneous variables such as teaching behavior, school climat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style was .059, .369, .143, relatively. The overall indirect effect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school effectiveness was .572.<br/> As a result, the model of this study is reflecting our reality.

      • KCI등재

        박근혜 정부의 교육복지 공약 분석

        주영효(Joo, Young-Hyeo),박균열(Park, Kyun-Yeal)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박근혜 정부의 교육복지 공약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복지의 개념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한 후 교육복지 공약 분석을 위한 분석틀을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새누리당이 2012년에 발표한 정책공약집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공약을 식별한 후, 김창환 외(2012)가 개발한 ‘교육정의지수(Education Justice Index: EJI)’를 적용하여 67명의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 공약과 이들 공약의 교육정의지수 부합 정도 및 영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박근혜 정부의 교육공약 30개 가운데 25개(83%)가 교육복지공약으로 나타났다. 이들 교육복지 공약 25개는 교육기회 영역 5개(20%), 교육의 과정 영역 17개(68%), 교육의 결과 영역 3개(12%)로 구분되었으며, 교육정의지수의 하위 소영역에 따라서는 지원적 학습환경 영역 28%, 교육기회 실현, 공정한 경쟁, 취약계층 지원영역에 각각 16%가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ledges on the educational welfare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 This paper went through four-step processes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study aim. After reviewing literatures, this research constructs a conceptual framework to analyze the educational pledges. Next, we categorized educational policies of the election programs, the Saenuri Party published in 2012. Lastly, this study analyzed the election promise of the educational welfare, which is based on a specialist opinion investig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ark Geun-Hye government produced 30 pledges in education, and the number of election promises on education welfare was 25 (83%). These pledges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areas in applying the Education Justice Index (EJI), Kim et al. developed in 2012. In other words,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Access to Education was 5 (20%), 17 (68%) for Education Process, and 3 (12%) for Education Outcome.

      • KCI등재

        학교 조직 이해의 새로운 틀: 비선형 자기조직화

        주영효(Joo, Young Hyeo)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2

        학교 조직에 대한 전통적 관점과 이론은 학교 조직 분석, 단위 학교의 리더십 실행과 정책 집행 과정 이해에 기여해 왔다. 하지만, 학교 조직은 책무성 정책의 도입과 사회경제적 환경 의 급변으로 인하여 복잡성이 점증하고 있다. 복잡·개방 체제로서의 학교가 구조, 개인, 문화, 정치 등의 하위 체제가 상호작용하는 조직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학교 조직이 당면하는 실재와 조직 이론과의 간극을 상쇄하고, 일상적 현상을 보다 면밀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학교 조직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학교 조직 연구와 분석을 위한 새로운 개념적 틀로서 “비선형 자기조직화(nonlinear self-organizing)”를 제시하고자 한다. 비선형 자기조직화는 복잡계 이론의 특징 혹은 주요 요소 중 하나로 제시 되고 있는 개념으로서 시간의 흐름 속에서 복잡다단한 조직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실제적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복잡계 이론, 비선형 자기조직화의 이론 고찰을 통해 비선형 자기조직화의 개념적 틀을 구안하고, 학교 조 직 내 정책 집행, 의사결정 과정과 관련된 질적 사례 연구에 대한 2차 문헌 분석 후 교육행 정학 연구에서 비선형 자기조직화 모형의 의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Traditional perspectives and theories on school organization have contributed to analyzing school organization and understanding of leadership practice and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in schools. However, in recent years, the complexity of school organizations has been increasing due to introduction of accountability policies and sudden change of socioeconomic environment. Considering that the school as a complex and open system is an organization in which the sub-systems such as structure, individual, culture, and politics interact with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offset the gap between reality in school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theory. In addition, a more detailed analysis of everyday phenomena requires a new approach to school organiz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nonlinear self-organizing system" as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tudy and analysis of school organization in Korea. The nonlinear self-organizing system is a concept presented as one of the main features of complex system theory. It has academic and actual value in that it can be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complex multi-dimensional organizational change process over tim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tructe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nonlinear self-organizing system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of complex system theory and analyzed a previous qualitative research related to policy implementation and decision making in school organiza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academic and actual values of the nonlinear self-organizing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directions and tasks of future stud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KCI등재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정책 분석 및 개선 방안

        주영효(Joo, Young Hyeo)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정책 분석 및 개선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는 다양한 법령과 제도를 통해 보장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학교 민주화와 자율화, 지방교육 자치가 확대됨에 따라 시도교육청이 관련 정책 방안 수립과 집행을 주도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와 정책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정책 연구를 제외하고는 학술 연구가 미미하였다. 또한, 분석 접근 방법은 학부모 개인, 학부모 개인을 둘러싼 정책·환경적 요인을 구분하여 수행되어 온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모형에 기초하여 학부모 개인 수준-미시체제-외체제-거시체제를 포함하는 개념적 틀을 구안하고, 문헌 고찰을 통해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정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① 학부모 개인 수준에서는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저조, 자발성과 주체성 결핍, 학부모 개인의 대표성과 전문성 부족을 확인하였으며, ② 미시체제에서는 교원의 복합적인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인식과 직장 내 취약한 휴가 사용 환경 및 인식이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의 직접적인 저해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③ 외체제 분석 결과에서는 정부와 입법 기관의 일·가정 양립, 학부모의 가족돌봄 환경 조성 의지를 파악할 수 있었지만, 현재의 법과 제도는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내실화와 활성화에 충분하지 못하다는 사실을 살펴볼 수 있었다. ④ 거시체제 분석 결과,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국민들의 시선과 문화적 현상이 ‘치맛바람’으로 왜곡되어 표현되고 있으며, 국민들은 학교교육의 주체는 학부모보다는 교사라는 인식이 강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터하여 ① 정책 당국의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의 명확한 개념 정의 및 정책 범위와 내용 규정 필요, ② “가정 내” 학부모 학교교육 활동 지원 정책 강화 필요, ③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활성화를 위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편성·운영 개선 필요 등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licy of Parental Participation in Schooling (PP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devised a conceptual framework including the parental individual level-microsystem-exosystem-macrosystem based on Bronfenbrenner s ecological model, and analyzed the policy of PP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t the level of individual parents, poor participation in schooling, lack of spontaneity and identity, and lack of representativeness and expertise of each parent were confirmed; Second, in the microsystem, teachers complex recognition of PPS and the weak environment were working as an impeding factor for PPS; Thir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exosystem showed that the current laws and institutions are not sufficient to enhance and activate PPS. Finally, the expression of “woman’s aggressive activity” shows the public s distorted gaze and cultural phenomena toward PPS in the macrosystem, and it showed that the public has a strong perception that the subject of school education is teachers rather than par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ree improvement plans. First, the policy authorities need to clearly define the concept of PPS and stipulate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policy. Second, it needs to reinforce the policy to support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home” for par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peration on the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 KCI등재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변화 추이와 영향 요인 분석

        주영효(Young Hyeo Joo),정주영(Joo Young Jung),박균열(Kyun-Yeal Park) 한국교육정치학회 2022 敎育政治學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학부모가 인식하는 마을교육공동체 인지도, 필요성 인식 변화 추이 및 교사와 학교장의 학교조직 영향 요인을 양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 2차년도(초5), 4차년도(중1), 6차년도(중3) 시점의 데이터를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과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초기 인지도가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필요성 초기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인지도 변화 정도 역시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필요성의 변화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② 학부모의 자녀학교 교육만족도에서는 학교가 학생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방과후 프로그램이 다양하면서 창의적일수록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③ 자녀교육 부담 정도에서는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고, 가정의 인성교육이 잘 될수록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인지도가 높았다. ④ 교사의 마을교육공동체 인지도가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인지도에 영향을 주며, 학교장과 교사가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이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필요성 인식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정책 제언으로 학부모, 교사, 학교장 대상의 마을교육공동체 정책 홍보 강화, 학부모의 마을교육공동체 참여 내용과 범주의 명시화, 마을교육공동체 효과 분석 필요, 마을교육공동체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VEC) by analyzing the changes in parents’ perception of the VEC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school organization such as teachers and principals using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o this end, data from the 2nd year (primary 5), 4th year (middle school 1), and 6th year (middle school 3)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initial awareness of the VEC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the parents' need for the VEC, and the degree of change in the parents' awareness of the VEC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level of the parents' need for the VEC. Second, the more diverse and creative the after-school programs were, the more positive the parents' awareness of the VEC was. Third, the less communication with the children and the better character education at home, the higher parents' awareness of the VEC. Fourth, it was found that teachers' awareness of the VEC influenced parents' awareness of the VEC, and that the principal and teachers’ awareness of the VEC had an effect on raising parents'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the VEC. This study suggested to strengthen public relations of the VEC, to clarify the contents and categories of parents' participation in the VEC,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VEC, and to build cooperative governance.

      • KCI등재

        학생부종합전형 정책 분석 및 개선 방안

        주영효(Joo Young Hyeo),김상철(Kim, Sang Cheol)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1

        우리나라 대입전형은 기존의 수능, 내신 등의 성적 위주 선발 방식에서 대학과 사회의 요 구를 반영함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개혁이 진행되어 왔다. 입학사정관 제는 대표적인 대학입시제도 개선 방안 중 하나로써 2013년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따라 학 생부종합전형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 대학입시 전형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를 잡았다. 학생부종합전형 확대는 대학의 학생 선발 자율성을 보장하고, 고교교육 정상화와 대학 신입 생의 출신 지역 및 고교 다양성 확보에 기여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학생부종합전 형에 대한 평가는 관점에 따라 찬반 혹은 긍정과 부정적 의견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공정 사회와 정의 등의 이슈가 공론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언론, 학계, 이익집단 간 논란이 점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의 규범적·구조적·구성원·기술적 등 4차원 교육정책 분석 모형에 터하여 학생부 종합전형 정책 분석을 위한 개념적 틀을 구안하고,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① 규범적 차원에서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이 추구하는 가치는 학생의 균등 한 교육기회 보장, 대입제도의 다양성, 대학의 자율성 지향이지만, 대학의 학생 선발 자율성 보장 의구심, 입학사정관 전문성 및 인력 부족, 취약한 근무조건 등의 문제를 보여주었다. ② 구조적 차원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 정책, 학생부 활용 대입 제도 운영의 확산 지원 체계가 구축된 반면, 정부-대학 간 숙의적인 정책 논의 부족 한계가 나타났다. ③ 구성원 차원에서는 이익집단과 대중은 암묵적인 정책공동체 관계 형태를 취하고 있는 반면, 이들의 행위가 정책 과정의 환류로 작동하지 못하였다. ④ 기술적 차원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의 긍정적 연구 결 과와 대비되는 사교육비 증대와 교육 불평등 조장 우려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에 따 라 본 연구는 학교생활기록부의 관리 및 기록의 내실화,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학생부종합전 형 요소 간 연계 확대, 입학사정관 전문성 강화와 근무 환경 조성을 통한 대학 선발 시스템 의 고도화, 정부의 중장기적 학생부종합전형 정책 마련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mprehensive School Report Policy (CSRP) for the university admission in Korea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developing undergraduate admission policy, high school curriculum, and school report. The Korean university entrance system has been reformed to seek a new paradigm by reflecting the needs of college and societ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OS) was one of improvement plans to reform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focused on a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high school records. The AOS was changed to the CSRP according to the policy of simplifying the admissions system in 2013, and it has become an important axis of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After using the multifocal educational policy analysis framework Cooper et al. (2004) proposed, this research constructed a conceptual framework consisted of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ive, and technical dimensions as well as ethics and social justice as the core of the framework.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directions and plans to improve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as well as the management and records of the High School Report,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admissions officers, to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in high school class, and to expand linkage between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factors of the CSRP.

      • KCI등재

        긍정심리자본 형성을 위한 학교 리더십 개선 방안 탐색

        주영효 ( Young Hyeo Joo ),박균열 ( Kyun Yeal Park ),엄준용 ( Joon Yong Uhm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1

        최근 교사들을 감정노동자로 간주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흔히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대표적 직종으로 서비스직 관련 종사자들을 생각한다. 하지만, 교사들의 스트레스, 우울증, 자살률이 증가 추세이고, 일반 직장인과 비교해 볼 때 우울성과 비관적 사고 정도 모두 높게 보고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학교 조직 내 교사들의 긍정심리자본 (positive psychology capital) 형성을 위한 학교 리더십의 개선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Luthans 외와 Nelson과 Cooper 등이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긍정심리자본의 네 가지 중요 개념을 중심으로 학교 조직 및 학교 리더십 관련 양적·질적 연구 결과와 교육행정학 이외 분야의 긍정심리자본 관련 연구 결과를 고찰하면서 학교 리더십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긍정심리자본의 개념과 아이디어는 국내외 경영학, 상담·심리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인용되고 있으며, 학술적 연구 또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육학 특히 교육행정학 분야에서는 긍정심리자본의 개념을 구성하는 자아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탄력성 등의 개념들에 대한 개별적·부분적 접근이 이루어져 왔고, 최근 에서야 긍정심리자본의 개념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교사들의 감정은 학교행정가들의 리더십 특성 및 행동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반면에 부정적 감정의 해소는 리더 외에 동료 교사들의 지원을 통해서도 경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들의 심리적 부정성을 해소하고 긍정심리자본 형성을 위한 학교 리더십 실행의 주체를 학교 행정가, 보직교사 및 수석교사로 확대하여 긍정심리자본 형성을 위한 학교 리더십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Emotional labor” has been commonly used in the career fields such as telemarketers, salespersons, and call center operators. However, it is claimed th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as emotional workers because their stress, depression, and suicide rates have increased.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constructed an analytical framework drawn from four 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self-efficacy, hope, optimism, and resiliency in order to develop school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cusing on school leadership.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we reviewed theoretical studies in the fields of positive psychology a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findings in educational 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1) that school administrators need to practic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t targeted for resiliency development, to set up favorable organizational conditions influencing teacher emotions, and to minimize teachers`` negative emotions, 2) head teachers of department should play a key role in establishing a horizontal human relationship with school teachers as a transformational leader, which help develop teachers`` hope, and 3) master teachers are asked to serve as an instructional and emotional leader to build an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KCI등재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의 쟁점과 과제

        주영효(Young Hyeo J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교원능력개발평가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교육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온정적ㆍ형식적 평가와 이로 인한 신뢰도 논란, 결과 활용의 제한, 평가제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인식 부족 등 평가 운영상의 문제점이 노정되고 있다. 지금까지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련 선행 연구들은 운영 결과 및 효과 분석 결과에 터하여 제도 및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원능력개발평가 도입 목적 달성의 핵심적 도구가 될 수 있는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 문제점 및 한계 분석을 토대로 개선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도입의 핵심적 내용으로 제시될 수 있는 교사 전문성 개념을 중심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의 쟁점 분석 및 과제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 내용 및 방법, 과정, 평가 결과 활용과 관련된 양적ㆍ질적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의 신뢰도 문제, 조사 내용의 타당도 문제, 조사결과의 활용 문제 등의 쟁점을 분석하고 과제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의 발전 방안으로 ①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의 개념적 틀과 목적의 재확립, ② 평가 운영 과정의 절차적 정당성 확보, ③ 평가 방법의 다양화, ④ 현장 중심 피드백 방안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Student and parent perceptions play a pivotal role in the evaluation of school teachers.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ESPD) in Korea has been evaluated as the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contributes to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 development. However, recent research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effects or the results of the TESP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urrent status on the student and parent satisfaction surveys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PSS). The research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analyze main issues and challenges of the SPSS. In addition, Desimone 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ramework was used to define development strategies. The results showed that issues of the SPSS can be categorized as the survey reliability and validity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the TESPD. The study suggested policy directions to make the SPSS valid and reliable data sources for teacher evaluation.

      • KCI등재

        비선형 자기조직화 모형을 적용한 학교 조직 변화 과정 분석 : 질적 사례 연구

        주영효 ( Joo Young Hyeo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2

        전통적 학교 조직 관점 또는 모형은 일반적으로 횡단적·선형적 입장을 견지해 왔기 때문에 복잡한 학교 조직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기에 한계가 있다. 반면, 비선형 자기조직화 모형은 학교 조직의 다양한 내·외적 요인과 시간에 따른 비선형적 변화·발전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직 변화 과정을 이해 및 분석하고, 조직 개선을 기획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선행 비선형 자기조직화 모형을 적용 및 고도화하고자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가운데 A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 조직 변화 과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A고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6개월의 시차를 둔 종단적 심층 면담 자료와 함께 문서 자료를 수집하고, Merriam의 순차적·순환적 3단계 절차와 방법을 적용하여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① 시간의 흐름 속에서 조직 구조, 행위자, 문화의 역동적 상호작용이 학교 조직 변화의 주요 동인이었으며, 특히 조직 구성원의 인지가 조직 변화와 새로운 질서의 안착(安着)에서 중요한 요인이었다. ② 학교 조직은 혼돈의 가장자리와 임계점 통과, 공진화 및 소산구조 출현 과정을 거쳐 새로운 안정 단계로 접어들었으며, ③ 변화의 촉발과 급진적 조직 변화 과정에서 학교장 및 실무 담당 교사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비선형 자기조직화의 단계별 주요 요소와 특징을 반영한 비선형 자기조직화 모형의 고도화 방안을 제안하고, 학교 조직 연구 및 이론 관련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traditional model of change in school organizations has maintained a transverse and linear stance. However, Joo (2017) proposed a model of the process of change in which school organizations nonlinearly change and develop over time due to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of changing school organization around the case of high school credit research schools to develop the nonlinear self-organization model proposed by Joo (2017). To this end, interview materials and documentation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the A research school for about a year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Merriam's sequential and cyclical three-step procedure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dynamic interaction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ctors, and situations over time were the main drivers of school organizational change; especially the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hip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ccess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the settlement of a new order. Second, school organizations have entered a stable stage of organizational change through chaos edges, critical points, and coevolution. Third, the principal and teacher in charg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iggering of change and radical organizational change. This work proposed a novel nonlinear self-organization model that reflects the existing key elements and features of nonlinear self-organization and presented implications related to school organization research and theory.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감정노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주영효(Joo Young Hyeo)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1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에 대한 질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 해 눈덩이 표집선정을 통해 11명과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면담 자료는 연구 참 여자들의 경험을 통합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감정 노동 경험의 본질과 의미 구조를 분석하였다. 심층면담 자료 분석 결과, 중학교 교사의 감정 노동 경험은 89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추출되었다. 이를 본 연구는 28개의 의미로 형성하고, 7개의 주제를 바탕으로 3개의 주제묶음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중학교 교 사들은 ① 스스로 감정노동자라는 인식을 명확히 하였고, ② 학생 및 학부모와의 교육적·일상 적 관계, 동료 및 학교행정가와의 학교 행정 및 교육 관련 업무 관계 속에서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고 있었지만, ③ 감정노동 상황에서 스트레스, 분노, 괴로움, 불쾌감 등의 부정적 감정 을 억누르고, 의도적으로 “회피” 또는 개인의 성격 탓으로 돌려 “자조적 자세”를 취하거나 학교 내·외의 공간에서 “홀로 자기만의 방식으로 해소”하려는 경향을 뚜렷하게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감정노동 과정에서의 부정적 경험이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형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교 조직과 리더십, 정책 개선 필요 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학교 교사들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을 학술적으로 환기함 으로써 학교 조직 문화 개선, 학교행정가 역량 제고, 조직 구성원 간 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학교 조직 연구의 이론 개발에 중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at a qualitative research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middle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eleven people through snowballing sampling method to analyze the essence and meaning structure of middle 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experience.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Colaizzi.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iddle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were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al labor with colleagues and school administrators in relation to the students in the class scene, educational and everyday relationship with parents, schoo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way to liberate emotional labor can be summarized as a process of deliberate "avoidance" of emotional labor situations rather than exchanges with colleagues, school organization, and policy support, or as "self-helping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school leadership and policy improvement are necessary in that emotional labor experience can induc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negativity and thus hamper the form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