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공원 이용자의 설계개념 인식정도 - 서울숲공원, 여의도공원, 선유도공원을 사례로 -

        주신하,김영희,Joo, Shin-Ha,Kim, Young-Hee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5

        본 연구는 설계자와 이용자 간의 설계개념의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로 공원 이용패턴을 통해 공원의 성격을 구분하고, 이용자들의 설계개념의 인식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서울숲공원,여의도공원,선유도공원을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공원 이용패턴과 설계개념의 인식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술통계분석, 중요도-성취도 분석 등의 통계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 이용패턴을 분석한 결과, 선유도공원은 도시대표공원의 성격, 여의도공원은 근린공원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숲공원은 도시대표공원적인 특성과 근린공원의 특성을 모두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부분 방문빈도가 높을수록 선호도도 높은 경향을 나타났다. 셋째, 각 공원에 대한 전체적인 설계개념 실현정도는 평균 3.51로 비교적 높은 실현정도를 나타났으며, 추상적 개념보다는 기능적 개념의 실현정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공원별로는 선유도공원, 서울숲공원, 여의도공원 순으로 설계개념 실현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넷째, 공원 전체에 대한 설계개념 실현정도에 비해서 장소별 세부 설계개념의 인식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설계개념을 알려준 이후에 그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개별공간에 대한 설계개념 전달 노력이 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지의 제한성, 계절적 변수, 설계개념의 간접적 조사 등의 연구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나, 설계자와 이용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설계의도의 전달 여부에 대해 살펴본 것은 이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parks by park use patterns and the understanding of design concept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ognition of design concept between designers and park users. The literature studies and surveys were performed to analyze park use patterns and understanding of design concepts for Seoul Forest Park, Yeouido Park and Seonyudo Park. Several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used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park use patterns, Seonyudo Park may he qualified as an urban landmark park, while Yeouido Park can he classified as a neighborhood park. Seoul Forest Park bas characteristics of both. Second, the higher frequency of visits generally leads higher preference. Third, the overall cognition of the design concepts of parks shows 3.51 on average, which is comparatively high. The functional concepts are better transmitted to the users compared to abstract concepts. The cognition of the design concepts of each park are evaluated in the higher order of Seonyudo Park, Seoul Forest Park and Yeouido Park. Fourth, the cognition levels of detailed design concepts for each place are lower than the overall design concepts. On the other hand, levels of satisfaction are increased after the design concepts are noticed. It would he necessary make the effort to give information about the design concept of each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in that it covers only three parks in Seoul, and did not consider seasonal variables. Nevertheless, this study may he significant in that it dealt with the cognition of design concepts for urban parks,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designers and visitors.

      • KCI우수등재

        경관제도에 대한 경관담당 공무원 인식조사

        주신하,Joo, Shin-Ha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3

        본 연구는 경관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경관제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경관관련 제도 개선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경관제도에 대한 중요도 및 성취도를 분석하고, 경관계획, 경관사업, 경관협정, 경관심의 및 경관위원회, 경관조례 및 경관행정 등에 대한 경관담당 공무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관법과 경관제도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관심이 높았으며, 경관법이나 경관헌장에 관한 효용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중요도-성취도 분석결과, 경관계획과 경관정책기본계획은 집중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경관계획은 주로 경관심의나 민원 요청에 대응하는 용도로 가장 활용이 많이 되고 있었으나, 거의 보지 않는다는 응답도 10.8% 정도로 적지 않아, 경관계획 내용을 현실화하고,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경관계획 수립기간으로는 18개월 미만이 적정하다는 인식이 많았으나, 이에 대해서는 인식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3. 경관사업이나 경관협정의 개선을 위해서는 예산확보, 전문가, 추진조직 등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4. 경관심의와 경관위원회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주로 경관심의 위원들의 심의에 관한 전문성을 높이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경관조례 및 경관행정에 관한 보완사항으로는 인원보강과 같은 행정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담당자로서 주관적 판단을 하는 것에 상황도 큰 부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관 교육을 위해 모인 공무원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결과에 긍정적 편향은 있을 수 있으나, 경관관련 제도에 관한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향후 경관 제도를 보다 현실적으로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landscape law and institution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landscape systems.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various landscape systems, and examined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government officers in landscape plan, landscape project, landscape agreement, landscape reviews and landscape committees, landscape ordinance, and landscape administr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verall, the landscape administration system was highly interested, and it was also positive about the utility of the landscape law and the landscape charter.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IPA, the landscape plan and the landscape policy plan need to be intensively improved. 2. The landscape plan is mostly used for the purpose of responding to the scenery review or complaint request, but about 10.8%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did not refer it at all, so it is urgent to make the contents of the landscape plan real and improve the performance. Although many officers thought that less than 18 months would be quite enough for landscape plans, bu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is duration issue. 3. In order to improve landscape projects and landscape agreements, it seems that budget securing, experts, and promotional organizations should be improved first. 4. It is urgently necessary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about overall landscape law and systems of landscape review committee in order to supplement the landscape review and the landscape committee. 5.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personnel recruitment is required for landscape ordinance and landscape administration, and it is also found that many officers also have a great burden in making subjective judgment as the person in charge. There could be a positive bia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becau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ly for public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But the result will be helpful to look at the overall tendency of the landscape system. I hope that it will help improve the landscape system in the future much more realistic.

      • KCI등재

        현대 대표 도시공원에 대한 평가 - 만족도 및 경관이미지 특성을 중심으로 -

        주신하,Joo, Shin-Ha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4

        본 연구는 국내 현대조경을 대표하는 공원들을 대상으로 실제 이용자들이 느끼는 만족도, 선호도, 이미지 등을 분석하여 개별 공원의 기능적, 경관적인 차이점과 공통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공원시설 유형으로는 관리상태, 공원활동시설, 편의시설, 동선 및 밀도, 조경 및 휴게시설 등으로 구분되었다. 공원이용행태 만족도에 대해서는 대화, 휴식, 한가로움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학습, 체험, 경험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공원 이용행태의 유형으로는 공원활동, 정서 및 체험, 자연활동 등으로 구분되었다. 공원의 이미지 분석 결과 조사대상 공원은 주로 안정적이고 편안하며 자연적인 느낌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자연/조화성 요인, 개방감 요인, 독특성 요인 등의 요인으로 요약되었다. 선호도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양호한 선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만족도, 이용행태, 경관이미지, 선호도 등을 기준으로 공원을 유형화한 결과 다목적공원(일산호수공원, 여의도공원, 하늘공원, 양재천, 올림픽공원), 자연적 요소를 가진 종합공원(선유도공원, 평화의 공원), 개방된 도시공간(서울광장, 청계천), 상대적 개선필요 공원(파리공원, 서울숲), 생태공원(길동자연생태공원) 등의 5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유형별 특징에 대한 분석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수도권에 위치한 공원을 대상으로 한 계절 동안 설문조사의 결과로 일반적인 도시공원의 유형화를 위한 기초연구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보다 다양한 도시공원에 대한 일반적이고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Korean parks by on-site park users' reactions, such as satisfaction, preference and cognitive image of the park and park facilities. The park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satisfaction: management status, activity facilities, convenient facilities, circulation and density, and landscape facilities. The park users are satisfied with conversation, rest and relaxation in the parks, but not satisfied with studying and nature experience. The behaviors in the park are classified as park activities, emotional and experiential activities, and nature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ages of the parks are stable, comfortable and natural. There are three factors to classifying the park images: nature-harmony, openness, uniqueness. Preferences for each parks are generally good. According to the criteria such as satisfaction of park facility, behavioral satisfaction, images and preference for each park, the 12 parks are divided into 5 different types: multi-purpose park, well-balanced park with natural elements, urban open space, park to be improved, and ecological park.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k was analyzed and categorized. This study dealt with only the parks in Seoul and its environs, and the survey was only done during the summer season.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enlarge and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sidering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s.

      • KCI등재

        국내 경관계획 관련지침 및 계획내용 분석

        주신하,김영희,Joo, Shin-Ha,Kim, Young-Hee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4

        본 연구는 경관법 제정 이후 경관법에 의한 경관계획 관련지침과 경관계획의 내용을 분석하여 경관계획 진행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경관계획의 특정을 살펴보기 위해 경관계획 수립 시 기초가 되는 경관계획수립지침과 경관계획보고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경관계획수립지침 분석은 실제 경관계획을 수립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중요도-성취도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각 단계별 지침 내용의 유효성과 현실적용 정도 등을 분석하였다. 경관계획보고서 분석은 법정계획으로 기본경관계획이 이미 수립된 자치단체 중 광역시, 시, 군별로 각 2곳을 선정하여 총 6개의 경관계획 보고서를 경관계획수립지침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관자원조사 및 분석단계는 가장 체계화된 틀로 진행되고 있었으나,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실제 경관계획 시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있었다. 반면, 경관구조분석은 경관구조분석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과 기법 등의 구체적 방안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관기본구상단계는 기존의 현황조사 결과와 상위계획 등을 반영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지자체 아이엔티티의 확립이 필요하며, 경관계획수립지침에서도 보다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관기본계획단계는 지자체 간의 수준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서, 경관계획수립지침에서 계획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경관계획수립지침 상 경관자원조사 및 분석단계에서는 '경관자원조사 종합 및 과제도출'과 기본경관계획단계의 '조망점 계획'이 추가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uidelines and content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ccording to the Landscape Law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it. Th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s were analyzed and landscape planning reports were reviewed and compared. To analyze th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s, we conducted an expert survey and derived the results through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Both landscape planning reports were selected from among metropolitan cities, medium-sized cities, and counties.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reports with th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age of visual landscape resource survey progressed systematically, but it was not practical for actual planning because of the excessively detailed guidelines. On the other hand, a greater variety of methods and techniques should be suggested for the landscape structure analysis. At the schematic planning stage, establishing contents suitable for the local government's identity and related plans is necessary. In addition, more detailed guidelines should be included in th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s. At the master planning stage, the planning qualities and contents differed from cities and counties, so more substantial and detailed guidelines are necessary for the scope and contents. We suggested that some additional items be included such as the synthesis of landscape resource surveys and the viewpoint plan.

      • KCI등재

        중요도-성취도 분석에 의한 경관계획 작성 단계별 평가 - 개발대상지 경관계획을 중심으로 -

        주신하,백운해,신지훈,목정훈,Joo, Shin-Ha,Baek, Woon-Hae,Shin, Ji-Hoon,Mok, Jeong-Hun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4

        본 연구는 개발대상지의 경관계획 수립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경관계획에서 진행하고 있는 각 단계별 계획항목과 내용 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개발대상지 경관계획 수립 방안을 연구하였다. 각 단계별 계획요소의 중요도와 성취도는 전문가 설문을 바탕으로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 분산분석, t-test, 중요도-성취도 분석 등의 통계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평가결과 계획단계 기존계획에 대한 성취도 평가는 3.813, 계획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평가는 5.648로 나타나, 그 중요도에 비해 기존 경관계획이 미흡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관계획 단계별로는 경관기본계획과 경관기본구상 등은 비교적 잘 수립되고 있으나 경관 디자인가이드라인과 경관자원조사는 경관계획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완해야 할 부분으로 파악되었다. 경관기본계획 단계 중에서는 미시적 경관계획이 중요도에 비해서 잘 진행되지 않아 보완이 필요하며, 경관디자인가이드라인 단계에서는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장소 디자인가이드라인 등의 보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기초로 진행하였으므로 설문응답자의 기존 경관계획에 대한 이해 정도가 다를 수 있다는 점과 경관계획 계부항목 선정에 대한 구분이 다를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연구의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성 도시경관계획과 개발대상지 경관계획의 계획요소 간 중요도 비교와 경관디자인 가이드라인 계획요소 및 작성기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landscape planning projects according to planning phases in a landscape planning system based on landscape law. An assessment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landscape planning elements by planning phases was studied by statistically descriptive analysis, variation analysis, statistical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performance of existing landscape planning projects is 3.813 and the importance of planning elements is 5.648. This means that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landscape planning elements, the performance of existing landscape planning projects is not sufficient to cover the importance of landscape planning elements. In addition, 'site landscape survey' and 'landscape design guideline' sections are not sufficient when they are compared to 'landscape concept plan' and 'landscape basic plan' to complete the landscape planning projects required by landscape law. It means also that the landscape survey and landscape design guidelines should be complementarily practic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andscape planning projects. As the research is practiced by survey methods on landscape planning projects which are only new development sites, the results cannot represent all types of landscape planning projects. Nevertheless, the results can be applied to new landscape planning at new development sites or old cities to increase effectiveness.

      • KCI우수등재

        국내 경관자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

        주신하,신윤지,Joo, Shin-Ha,Shin, Yunji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3

        본 연구는 국내의 경관자원에 대한 유형별 평가 현황과 해외 경관자원 평가사례를 비교분석을 통하여, 경관자원 평가 체계에 있어 평가방법, 평가기준, 활용방안 등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경관자원 평가의 의미와 중요성 등을 파악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경관자원의 정의와 유형을 검토하고, 경관자원에 관한 평가방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12개 국내 경관자원 조사 및 평가 사례 비교를 통해서 우리나라 경관자원 관련 조사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5개의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경관자원 관리체계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국내 경관자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종합하였다. 첫째, 경관자원 조사 기준이나 선정 절차에 있어 보다 객관적인 기준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관자원의 다양한 가치를 포함하고, 지역민들의 참여를 확대하며, 명확한 평가기준 제시가 매우 중요하다. 두 번째로는, 경관자원의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경관자원에 대한 재평가제도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경관자원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조사된 경관자원을 영향평가나 경관계획과 같은 다른 제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유형의 경관자원을 포함한 종합적인 경관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된 경관자원 조사에 대한 현황 파악과 해외사례 검토를 통한 시사점 도출에 그치고 있어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나, 국내외 경관자원 조사현황을 분석하여 경관자원에 대한 평가방법, 기준, 활용방안 등을 파악을 통하여 향후 경관자원관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landscape resources survey and foreign cases in order to determine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it. Several cases are compared based on the evaluation method,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application plan. Twelve domestic cases of landscape resources survey are review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the Korean status, and 5 foreign cases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ystem.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ome implications are drawn for domestic landscape resource system. First of all,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more objective criteria to evaluate and select landscape resources. Various values of landscape resources should be included into the criteria and more people, as well as experts, should participate to reflect local conditions. Secondly, the management for the landscape resources must be implemented continuously.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a periodic reassessment system and to construct and manage a database of the landscape resources. Lastly, the landscape resource system should be integrated into other programs such as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landscape planning. For a better landscape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efficient evaluation, resources should be comprehensively managed including various landscape type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supporting policies and legislation. This research covered only the current status of the landscape resource survey and reviewed a limited number of foreign cases. Despite these limitations, it is meaningful for showing the importance of landscape resource management and to suggest some future tasks for better landscape resources management.

      • KCI우수등재

        경관계획에서 제시된 경관 미래상의 현황 분석

        주신하,Joo, Shin-ha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1

        본 연구는 경관계획 내용 중 경관 미래상의 작성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향후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지자체 경관향상을 위한 실용적인 경관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관 미래상을 작성하고 있는 실무자 대상 인터뷰를 통하여 미래상 작성 방법을 조사하였고, 수도권 32개 지자체에 수립된 경관계획을 조사하여 경관 미래상의 작성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경관 미래상과 유사한 목적과 형태로 작성되고 있는 도시계획 상의 도시 미래상과 지자체 비전을 담고 있는 도시 슬로건을 함께 조사하여 경관 미래상과 작성 경향 및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경관 미래상의 작성 방향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관 미래상은 주로 경관계획 수립을 위해 기본구상 작성에 앞서 조사한 경관자원현황과 관련 상위 계획의 미래상 및 목표를 참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관계획의 세부 내용 간 일치성과 관련 계획 간의 정합성을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을 경관계획 수립 지침에 구체적으로 언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재 경관 미래상은 도시 슬로건과 유사하게 구호 형태로 작성되고 있으나, 경관 미래상은 홍보의 수단이나 응용되어 활용되지 않으므로 일괄적으로 작성되고 있는 구호형 경관 미래상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경관 미래상과 도시 미래상, 도시 슬로건의 내용적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경관 미래상은 도시 슬로건에 비해 도시 미래상과 내용적 일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상위계획과의 정합성을 고려하여 작성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분석 결과라 판단된다. 다만 향후 이러한 정합성이 유지 및 증진될 수 있도록 경관계획수립지침에서 경관 미래상 작성과 관련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ions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it. This study overviews currents methods of making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by group interview with hands-on workers. Thirty-two cases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re reviewed to analyze the forms and contents of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The purpose of urban vision and city slogans are fairly similar to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and compares them. According to this study, we conducted writing direction and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s written by consulting the landscape resources survey and visions of upper plans. These writing methods are able to enhance the consistency of each chapter in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the consistency between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upper plans. Thus, it is desirable to revis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s with this method. The current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s written in the form of a city slogan. But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s not a means of publicity and transformational use. So, the form of the vision needs to be revised.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urban vision, and city slogan. There is a closer correspondence between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urban vision than city slogan. This result means that it is beneficial to write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the upper plan. Henceforward, for maintaining and enhancing consistency detailed contents in landscape planning guidelines are needed.

      • KCI등재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현장 실무자 인식 조사

        주신하,Joo, Shin-Ha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조경도입 40년을 즈음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의 요구에 조경교육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현장 실무자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두 257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조경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교과목 유형별 중요도와 실무활용도, 조경업무 단계별 중요도와 실무활용도 등에 대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조사결과, 전반적인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은 다소 부정적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대학 졸업 직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현장중심의 교육을 보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 교육에 대한 요구로도 현실적인 전문지식, 인접분야에 대한 이해 등의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신입사원 교육을 통해서 실무스킬이나 컴퓨터, 법제도 관련 사항을 보완하고 있었다. 대학 교육 개선을 위해서는 전임교수는 물론이고, 학생과 실무자들의 공동의 노력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과목별로는 식재설계, 조경설계, 조경재료, 조경계획, 조경시공 및 관리 등의 과목이 중요한 과목으로 조사되었으나 부분적으로는 분야별 특성이 나타났다. 업무단계별로는 중요도 측면에서는 계획, 설계, 시공관련 과목이 고르게 중요한 단계로 인식되었으나, 실무활용도 측면에서는 계획과 설계과목으로 한정되어 현대학 교육이 계획과 설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학문연구를 기본으로 하는 대학입장에서 실무자 의견을 그대로 교육과정에 반영할 될 수는 없겠으나, 현실을 반영한 교육에 대한 요구와 계획, 설계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균형감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응답자가 수도권에 집중되었으며 실무자 의견 조사에 한정되어,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방안 제시를 위해서는 교육자나 피교육자의 의견이 포함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actitioners' perception of Landscape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rapidly changing industr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57 practitioners to analyze the overall perception of Landscape Education,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each course in universities, and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each landscape process step. The overall perception of Landscape Education was slightly negative, and more practical education was demanded to improve the students' adaptability on the job. Practitioner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should teach more practical expertise and related fields. They re-educated deficient aspects such as practical skills, computer techniques and legislational knowledge through the new employee training. The survey also showed that professors should be most responsible for a better education; however, students and practitioners have to endeavor together. According to the findings, planting design, landscape design, landscape materials, landscape planning and landscape construction as well as management were important. They are also considered as practical courses. However, practitioners perceived that university education was not sufficient for the constructional process. This means that Landscape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has been more focused on planning and design. Because the universities are essentially for the research and study, changing the curriculum as practitioners suggested is not necessary. Nevertheless, it suggests for more practical education and balanced curriculum includ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hat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practitioners' perception. Many of the respondents were from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fore, it's hard to generalize the findings. A further study should be considered that would include instructors as well as students.

      • KCI등재

        용인시에 대한 경관인식 변화 비교

        주신하,김경인,Joo, Shin-Ha,Kim, Gyung-In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5

        본 연구는 경관관련 법제도적 측면에서 큰 변화가 있었던 최근 10여 년간 경관인식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 수립한 용인시 경관형성기본계획과 2012년 수립한 용인시 기본경관계획 내용 중 경관의식조사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특히 2012년 실시된 경관의식조사는 용이한 비교분석을 위해 2001년 자료를 토대로 재구성하였다. 설문문항은 크게 경관현황에 대한 인식, 경관유형별 경관평가, 경관요소별 인식, 경관에 대한 주민의식, 경관계획방향 제시에 대한 인식, 경관관련 주체들에 대한 인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경관현황에 대한 평가에서는 용인시의 상징요소와 대표장소로 에버랜드가 압도적으로 높은 순위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2012년에는 에버랜드의 그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한국민속촌, 시청, 경전철과 같은 다양한 대상으로 비중이 분산되었다. 전체적인 도시경관에 대한 이미지는 2001년 '개성있고, 다양하고, 웅장하고, 정돈된' 이미지에서 2012년에는 '넓고, 어수선하고, 평범하고, 현실적인' 이미지로 변화하였다. 특히 '개성있는' 항목에서는 가장 부정적으로 변화하여 개발 초기의 기대에 현재 이미지가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의 조망, 관광지 주변, 색채 등 개별 경관유형별 평가에서는 전반적으로 향상된 평가를 보여주고 있어서, 개별 요소 수준에서는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경관요소별로는 간판 및 옥외광고물에 대해서 현재 상태가 더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경관색채 측면에서는 상업 및 광고시설에 대해서는 문제인식이 증가하였으나, 공사시설물, 공장건물 등과 같은 시설에 대해서는 문제인식이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경관과 관련한 주민참여 정도 조사에서는 경관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은 지속적으로 유지한 반면에, 재산권 제한이나 사업에 참여하는 정도 같은 실제적인 참여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계획 방향성은 과거에 비해 보다 재정지원, 야간경관 연출, 경관저해요인 개선 등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행정기관에 대해서는 과거 규제 중심의 역할에서 시민지원의 역할로 변화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졌으며, 사업시행자에 대해서도 자연훼손의 주범이라는 인식에서 건물 조성, 휴식공간이나 광장의 조성 등을 통하여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주체라는 인식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용인시의 지난 10년간의 경관인식 변화는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경관을 인식하는 것으로 변화하였으며, 특히 경관관련 주체에 대해서도 보다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대규모 개발사업의 초기에 형성되었던 용인시 경관에 대한 기대감이 충족되지 못하여 평범한 이미지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시민들의 직접적인 참여정도가 소극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은 지난 10여 년간의 경관관련 정책과 사업에서 재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made in the landscape cognition in Yong-in City for the past 10 years. For the analysis, the landscape plan in 2001, and the survey data collected for the new 2012-landscape plan were used. The questions on the survey covered the cognition of the current landscape status, the evaluation of landscape depending on the types of landscape, the understanding of each element on the landscape, the residents' cognition, etc. In the evaluation of the status on current landscape, Everland was ranked outstandingly high as a symbol and a representative place both in 2001 and 2012. The image of the overall city landscape was changed from the image of unique, diverse, grand-scale and well ordered in 2001, to the image of wide, disordered, common and realistic. As the evaluation of individual landscape types such as the view of the mountain, the surroundings of the tourist attractions, colors, etc, has improved overall. The image of the city has been evaluated to improve gradually, especially in the level of individual element. In the study of participating the willingness of residents, despite the interest in landscape has been continued, the attitude for the actual participation in the action plan or the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 has been changed into a negative side. For the direction of the landscape plan, the residents are more interested in the detailed subjects : such as the financial support, the night landscape pla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etc. During the last 10 years, the changes on the landscape cognition in Yong-in City have changed more in detail and specifically, the cognitions on the local government and developers changed positively. However the reducion of the participants' willingness suggested a review on the policies and the projects of the landscape.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