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경제에 관한 경제지리학의 연구 주제

        주성재,노경란,Choo, Sungjae,Roh, Kyeongran 한국경제지리학회 2018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1 No.2

        Taking note of growing tendency of academic interests and policy applications with regard to social economy, this study aims to suggest economic geographical agenda for social economy. It is presumed that the orientation of social economy toward pursuing social value will exhibit unique spatial characteristics. Elements containing spatial implication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a review of hierarchial concepts including social innovation, social economy organization and social enterprise. Three approached are suggested as tools of understanding the spatial context of social economy: spatial characteristics inspiring social entrepreneurship, place-based context of decision-making by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nd spaces formulated by interactions between the demand for solving social problems and the supply of economic resources. The investigation of social innovation clusters is required to focus on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from normal industrial cluster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embeddedness be applied in the search of the essence and elements of social economy's ties with local community. 이 연구는 사회적 경제에 관한 학술적 관심과 정책적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주목하여 사회적 경제를 공간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지리학의 연구 주제를 정리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사회적 경제가 갖는 사회적 가치의 추구라는 지향성은 독특한 공간 특성을 나타낼 것이라 보았고, 이를 위해 사회혁신, 사회적 경제조직, 사회적 기업 등 관련 개념을 통해 공간적 의미를 갖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사회적 경제의 공간적 맥락을 이해하는 방법으로서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발현되는 공간의 성격, 사회적 경제조직의 의사결정이 갖는 장소기반의 맥락, 사회적 문제 해결이라는 수요와 사회적 경제조직의 활동을 지원하는 공급의 특성이 상호작용하며 만들어가는 공간의 특성에 주목할 것이 제안된다. 사회혁신클러스터에 대해서는 기존의 산업클러스터와 차별화되는 특성을 밝히는 것이 중요함을 지적한다. 지역사회와 갖는 밀착의 본질, 당위성, 요소에 대해서는 착근성 개념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 KCI우수등재

        중량(中良, 中梁)과 중랑(中浪) - 지명의 변화와 공존, 지명 사용의 지리적 맥락 -

        주성재(Sungjae Choo),장현석(Hyeonseok Jang)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6

        이 연구는 서울 동북부의 지명 ‘중랑(中浪)’과 ‘중량(中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 또는 공존하며 사용되었는지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사료 조사의 결과, 고유 명칭은 이 두 가지 이외에 매우 다양한 형태의 한자어로 사용되었고, 지칭하는 지형물의 종류도 포구, 하천, 마을, 교량 등으로 파생되며 발전해나간 것이 발견된다. 이렇게 다양한 지명 사용의 역사는 각 명칭이 가졌던 지리적 맥락과 함께 이해해야 함이 제안된다. 지칭 대상의 공간영역, 영역별로 차별화된 장소 인식, 왕조 통치의 상징성과 위상, 행정관리를 위한 명칭 지정과 지명 표준화의 효과 등이다. 사료 조사에 기반한 통시적 지명 사용 연구의 방법론 정립, 다양한 한자어 채택에 관한 언어학적 연구는 추후 과제로 제시된다. This study was motivated to reveal how the name Jungnang (중랑, 中浪) has been historically used and established with relation to the name Jungnyang (중량, 中梁). An investig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and maps has shown that a wide range of specific terms with various hanja (한자, 漢字) characters were used besides these two names. Objects of naming derived from port to stream, village and brid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istory of this toponymic use should be understood with the geographical context in which each name was situated, including territorial nature of geographical features to be named, perception of place differentiated by territorial segments, symbolism and status related to the dynastic government, adoption as an administrative name and its effect on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Two future research topics are addressed; establishing a methodological framework to study diachronic toponymy use in reliance on historical literature and extending into linguistic focus, particularly on the process of adopting various hanja characters.

      • KCI우수등재

        지명의 역 브랜드 가치 - 지명 낙인 개념의 도입 -

        주성재(Sungjae Choo),김찬호(Chanho Kim)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4

        이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명칭 부여에서 제기된 지명 배제의 원칙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하였다. 지명이 유해한 시설, 나쁜 사건이나 사고, 또는 안 좋은 이미지와 연관될 때 브랜드 가치가 손상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 이를 ‘지명의 역 브랜드 가치’라는 가설적 개념으로 설정하였다. 질병의 명칭에 지명이 사용된 사례, 장소의 부정적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사례, 특정 지명을 회피하거나 장소와 지명을 통한 낙인 효과가 형성되는 사례 등을 통하여 이 개념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장소의 부정적 정체성은 사회경제적 상황에 의해 점진적으로, 또는 우연한 사고, 재해, 질병에 의해 급진적으로 형성되며, 위험지각에 의해 발전하고 여기에는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작용한다. 장소 낙인은 지명 가치에 손상을 입혀 ‘낙인찍힌 지명’을 생산하며, 반대로 지명이 받은 낙인 효과는 장소에 실질적인 손실을 발생시키는 ‘낙인찍는 지명’을 만든다. 이 두 가지 과정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지명 낙인’을 제안한다. 지명의 역 브랜드 가치는 지명 낙인이라는 형태와 상호작용하면서 존재한다. This study started out of interest in the practice of excluding geographic locations for the naming of infectious diseases, as exemplified by COVID-19. It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damaging brand value of place names when they are associated with toxic facilities, dangerous incidents, or detrimental images. A hypothetical concept of the negative brand value of place names was investigated for its validity through the cases of place names adopted for diseases, avoided or given stigma effect for negative symbolism or meanings, and of negative images given to places. It is found that the negative identity of places is developed either gradually by a socio-economic situation or radically by accidental incidents, disasters or diseases. In this process, risk perception is involved and accelerated by way of risk communication. The place-based stigma produces stigmatized toponyms by damaging the brand value of place names. In contrast, the stigma effect that place names have received makes stigmatizing toponyms, which bring substantive losses to places. The toponymic stigma is proposed as a collective term which embraces these two concepts. It is regarded that the negative value of place names exists in interaction with the practices of toponymic stigma.

      • KCI등재

        한국 영화산업의 발전과 공간적 집적 특성

        주성재(Sungjae Choo)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3

        본 연구는 서울 강남지역이 영화산업의 새로운 집적지로 등장하고 있는 현상을, 한국 영화산업의 독특한 성장과정과 최근의 부흥 특성, 관련업체와의 협력, 인력 및 재원 조달 등의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사업체총조사보고서를 이용한 입지변화분석과 영화제작사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인터뷰조사를 주요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분석의 결과, 전국 영화제작 업체의 80%가 집중해있는 서울 내에서 충무로에서 강남지역으로 대거 이동, 또는 강남지역에 새로운 업체가 신설되는 뚜렷한 현상이 발견된다. 그 집적지는 다양한 계층의 전문화된 기능과 노동시장으로 구성된 탄탄한 생산체계보다는 영화관련 인력 간 비공식적 네트워크가 강조되는 ‘느슨하게 형성된 집적지’의 특성을 갖는다. 서울 강남에 영화제작업체가 집중하는 데에는 오히려 생산의 환경으로서 이곳이 제공해주는 혜택, 즉 정보 획득과 트렌드 파악의 이점, 사람들이 쉽게 만날 수 있는 다양한 공간과 분위기, 창조성과 아이디어가 배태될 수 있는 환경 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영화산업이 이렇게 특정지역을 지향하는 특성은 영화제작이 갖는 원천적 불확실성, 프로젝트 기반의 팀 운영, 영화제작세대의 차별화의식, 대기업의 참여와 자본투자의 거대화 등의 특수성과 연결하여 설명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emergence of Gangnam Region of Seoul as a new cluster of the Korean film industry in the context of its history of growth, recen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its production system. Statistical analyses of Korean industries and in-depth interview surveys to film producer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there has been obvious tendency of film makers’ move from Chungmuro, a traditional cluster of the Korean film industry, to Gangnam and many births of new film makers in Gangnam. This new cluster, however, is operating on informal networking between film makers and related personnel, not on formalized production system composed of specialized functions and labor market. Therefore, it can be called as loosely-articulated cluster. This form of cluster has much to do with production milieu of Gangnam, such as advantages of obtaining information and consumer trend, diverse atmosphere which makes it easier to meet diverse people, favorable environment to embed creativity and fresh idea, etc. This trend of the film industry to orient a specific area can be explained in conjunction with the uniqueness of the film industry, such as uncertainty, project-based work, generation gap between film makers, participation of large companies or increasing size of investment.

      • KCI등재

        유엔의 지명 논의와 지리학적 지명연구에의 시사점

        주성재(Sungjae Choo) 대한지리학회 2011 대한지리학회지 Vol.46 No.4

        이 연구는 유엔지명전문가그룹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명 논의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지리학 분야의 지명 연구에서 향후 보완, 확대, 발전할 수 있는 연구 분야와 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지명연구는 지명의 창출자와 소유자의 관점에서 지명의 생성과 변화에 나타난 지역의 인문적, 사회적, 자연적 특성을 밝히는데 주력해왔다. 반면, 유엔의 지명 논의는 지명 사용의 주체와 그 형태, 각 언어집단의 역할, 가치 있는 지명의 보존 등 지명의 사용자 측면을 강조하면서 지명 표준화의 목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유엔의 논의를 수용한 보다 확대된 지리학적 지명연구의 분야를 정립하기 위한 연구방향으로 서, 우리 언어의 외래지명과 토착지명 사용, 지리적 실체의 본질과 인식, 국제적인 지명소통을 위한 표기법의 문제, 무형문화유산으 로서 지명에 대한 연구 등이 제안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research fields and topics to complement, extend and develop the geographical toponymy in Korea, largely based on a summary of topics discussed in the United Nations Group of Experts on Geographical Names (UNGEGN). The Korean toponymic research has generally focused on revealing human, soci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by investigating the creation and change of the geographical names, with the perspective of creator and owner of the toponyms. Toponymic researches in the UNGEGN, in comparison, have put forward with the mission of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and with specific emphasis on the users of toponyms. The topics include diverse forms of toponyms by user groups, roles of language groups, preservation of toponyms with specific value, etc. As research directions for an establishment of extended geographical toponymy accommodating discussions in the UNGEGN, further research topics are suggested; use of exonyms and endonyms in the Korean language, the nature of geographical feature and perception over it, writing systems for inter-language communication, and geographical names as intagible cultural heritage.

      • KCI우수등재

        지명에 담긴 기억과 기념의 다원성과 장소성의 축적: 볼고그라드-스탈린그라드 명칭 사례

        주성재(Sungjae Choo),진수인(Suin Jin)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4

        이 연구에서는 러시아 볼고그라드(스탈린그라드)를 사례로 하여, 지명에 담긴 기억과 기념의 다원적 특성이 전개되는 양상과 이에 따라 축적되는 장소성의 인식을 비판지명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위대한 지도자 스탈린과 승리한 애국전쟁 스탈린그라드전투의 기억을 동시에 함축하고 있는 스탈린그라드 명칭에 담긴 상징성, 트라우마와 승리가 교차하는 기억의 양면성, 하나의 지명에 담긴 두 가지 기념 대상, 그리고 각 기억과 기념으로 인한 장소성의 축적이 그 분석의 대상이다. 스탈린그라드에 대한 차별화된 시각은 지난 60년간 사용된 볼고그라드의 장소성이 더해져 개칭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담론으로 발전하고 있음이 발견된다. 러시아 사회를 구성하는 각 정치, 사회 집단이 이 문제에 대해 갖는 입장과 그 정치적 배경에 대한 상세한 분석은 추후 연구과제로 제안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luralism of memories and commemoration and the subsequent accumulation of placeness contained in place names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toponymy. Volgograd in the Russian Federation, which was called as Stalingrad from 1925 to 1961, was chosen as the case of study. Four elements have been set up for the analysis; parallel symbolism connoted in the name Stalingrad, namely the great leader Stalin and the triumphant patriotic Stalingrad Battle; contrasting memories crossing the trauma and the victory; two different objects of commemoration by one name; and placeness accumulated through each memory and commemoration.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tiated perspectives and perception on the name Stalingrad, added by the placeness of Volgograd resulting from its sixty-year history of use, have been developing into the discourses of supporting and opposing to the renaming back to Stalingrad. The positions and political backgrounds that each of the political or social groups in Russia has on this renaming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 KCI등재

        관광개발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 관광지출흐름분석 』방법론의 모색

        주성재(Choo Sungjae) 한국경제지리학회 1998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 No.1

        There have been several research methodologies to measure the impacts of tourism development on the regional economy, which include input-output analysis, income multiplier analysis, labor creation effect analysis, etc. Most of these are based on regional economic indices using secondary date for medium to large regional units This study tests the possibility of adopting tourist money flow analysis, which encompasses a series of money flows beginning with tourists` payment for room, board and shopping, followed by tourist companies` expenditure for material and service purchase, wage, utilities, rent, tax and so forth, and by tourism workers` expenses for living and savings. This method makes it possible to reveal the amount and geographical extent of tourist money flow and draws some meaningful regional economic figures. Case studies of three tourist developing areas show that it is utilized for impact studies for small scale areas.

      • KCI우수등재

        다차원적 비판지명학 연구를 위한 과제

        주성재(Sungjae Choo)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4

        지명의 채택과 사용, 그리고 변화에 관여되는 정치성과 권력 관계는 오랜 관심사였다. 그 양상이 각 문화, 언어권, 정치적 단위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정리하고 이를 개념화, 범주화하려는 노력은 ‘비판지명학’이라는 이름의 분야가 정착되면서 더욱 확대되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비판지명학의 등장에 작용했던 배경과 요인을 정리하고, 이후 이루어진 연구를 이데올로기의 재현과 기념지명의 제정, 경제적 가치 실현을 위한 지명의 상품화와 자본의 흐름, 문화유산으로서 지명에 관한 비판지명학의 시각 등 핵심주제로 나누어 그 성과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비판지명학 연구의 주제를 공통으로 아우르는 개념의 틀은 ‘다차원적 비판지명학’이라는 이름으로 제안된다. 지명 채택과 변화의 동력과 그 과정에 작용하는 가치, 지명 부여의 대상인 장소와 지형물의 성격, 규모 및 장소, 지명을 통한 정체성 표현의 경로, 지명 제안과 채택 과정에 나타나는 의견 표출과 변화, 조정, 결정의 양상, 지명 사용과 전달의 매체 특성과 선택 요인 등이 그 요소를 구성한다. 지명 연구의 범위 설정, 연구방법론의 개발은 추후 과제로 제안된다. The political elements and power relations involved in adopting, using and changing geographical names have attracted interests for a long time. The attempts to address how these facets are manifested in each culture, language area and political unit, either similarly or differently, and to make relevant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have been widely extended as the research field titled ‘critical toponymy’ was formulated. This study summarizes the background and factors which functioned in the emergence of critical toponymy, and reviews research products hereafter in three core subjects; representation of ideologies and commemorative naming; commodification of geographical names intended to realize economic values and flows of capital; and critical perspectives on geographical names as cultural heritage. A conceptual framework commonly accommodating these topics of critical toponymic research is proposed as the title of ‘multi-dimensional critical toponymy.’ This framework is composed of five elements; engines of adopting and changing geographical names and values involved in that process; nature, scale and location of places and features as objects of naming; paths of representing identities through names; expression of views appearing in the process of proposing and adopting names, and aspects of changes, coordination and decision;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using and conveying names and the choice of media. Two further items are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including establishing the scope of geographical names and developing research methodologies.

      • KCI등재

        International Practices of Naming Undersea Features and the Implication for Naming Those in the East Sea

        Sungjae Choo(주성재)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5

        이 논문에서는 해저지명소위원회(SCUFN)를 중심으로 하여 해저지명 제정의 국제적 관례를 검토하고, 동해중부지역에 새롭게 제정ㆍ고시된 해저지명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하는 데 있어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한국에서 해저지명 제정활동의 역사는 길지 않으나, 최근 몇 년간 해저지형을 확인하고 지명을 제정하는 데 있어 큰 진전을 보이고 있다. SCUFN이 규정하는 해저지명제정 지침의 기준에서 볼 때, 이들 지명은 대부분 적절하게 선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역사적 인물을 사용하거나 상징적 의미를 갖는 고유명칭, 그리고 해저지명목록집에 이미 등재되어 있는 두 개의 이름에 대해서는 더욱 정교한 정당성 부여과정이 필요하다. 향후 해저지명 제정의 후속작업을 위하여 세 단계의 전략이 제안된다. 첫째, 해저지형에 대한 지속적 조사 수행과 자료 축적, 둘째, 새롭게 발견된 지형에 대한 지명 부여, 고시 및 홍보, 셋째, 국내적으로 고시된 지명의 국제적 표준화 및 국제기구 등록 추진이 그것이다. This paper reviews international practices of naming undersea features, centered on SCUFN (Sub- Committee on Undersea Feature Names), and draws some implications for the newly announced undersea feature names in East Sea. Even though the history of the activities of naming undersea features in Korea is not long, recent years have witnessed considerable progress in finding and naming undersea features. In view of the guidelines for naming undersea features by SCUFN, it is evaluated that most of these names have been appropriately selected. But more justification should be made for specific terms using historical persons, symbolic term, and for two names proposed for those already listed in the Gazetteer. For further works on naming undersea features, three steps are suggested: first, conducting surveys and accumulating data on undersea features, second, naming and announcing newly found features and publicizing them, and third, making attempts to achiev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domestically announced names.

      • KCI등재

        동해 표기의 최근 논의 동향과 지리학적 지명연구의 과제

        주성재(Sungjae Choo)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6

        이 연구는 동해 표기와 관련된 최근의 논의 동향을 정리한 후, 이로부터 지리학적 지명연구의 과제를 도출하고 주요 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2년에 있었던 국제수로기구와 유엔지명표준화회의의 총회는 동해 표기에 관해 뚜렷이 다른 한국과 일본의 입장이 반복되어 노출되었다. 그 논쟁에서 향후 지리학적 지명연구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네 가지 주제가 정리되었다. 첫째, 지명 병기의 필요성, 병기 대상의 특성과 인식 등 지명 병기의 문제; 둘째, 반폐쇄해, 배타적 경제수역 등 바다의 정치지리적 특성과 명칭 사용을 연결시키는 연구; 셋째, 한국인들의 정서에 밀착된 지리적 실체로서의 바다와 그 명칭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 넷째, 보다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논의를 진행하기 위한 적절한 용어의 정의를 위한 연구 등이 그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recent discussions on naming the sea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o draw some research topics of the geographical toponymy. The International Hydrographic Conference and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held in 2012 repeatedly saw clearly different positions of Korea and Japan on the naming of the sea. From the debates, four topics appeared distinctly which deserve receiving continuous interests in the field of geographical toponymy. These include: necessity of dual naming and characteristics of, and perceptions on the object of dual naming; political economic nature of the sea, e.g. semi-enclosed sea, EEZ, and relevant use of names; relationship between the sea containing strong emotional ties and its naming; additional definition of toponymic terminologies to proceed with more objective and logical discu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