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개 의과대학 의학과 학생의 학습양식

        여상희(Sang Hee Yeo),이경우(Kyung Woo Lee),장봉현(Bong Hyun Chang),강이철(Echeol Kang),강덕식(Duk Sik Kang),곽연식(Yun Sik Kwak),김보완(Bo Wan Kim),이유철(Yoo Chul Lee),이종명(Jong Myung Lee),조희중(Hee Jung Cho),정제명(Jae Myung Chu 한국의학교육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styles of students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NU) School of Medicine and to assess its implications on teaching-learning methods in medical school. Methods: 571 students in all years of medical school were invit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via online. For this study, Felder s Index of Learning Styles (ILS) was used, which included 49 items. Felder s ILS measures the learner s relative preference for each of the five dichotomous learning style dimensions. Results: 242 (42.3%)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More than 80% preferred sensitive information and more than 60% preferentially took in visual information. Both males and females preferred sensing and visual learning materials. On average, The students at KNU school of Medicine were reflective, sensing, visual, global and inductive.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ed some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learning based on the students preferences and some perspectives for future works.

      • KCI등재

        한국인 경골 근위부분의 형태계측

        정민석(CHUNG Min Suk),신정기(SHIN Jung Ki),조희중(Cho Hee Jung),주강(JOO Kang),정인혁(CHUNG In Hyu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2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5 No.2

        한국인 경골 188개(남자 146개, 여자 42개)를 대상으로 근위부분에서 여러 구조들의 크기를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경골 윗면의 가로길이는 73.4㎜(남자)와 67.8㎜(여자)였다. 2 내측관절융기의 가로길이는 29.8(남자)와 27.6㎜(여자)였고 앞뒤길이는 48.1㎜(남자)와 43.6㎜(여자)였으며, 외측관절융기의 가로길이는 30.7㎜(남자)와 27.2㎜(여자)였고 앞뒤길이는 39.7㎜(남자)와 35.9㎜(여자)였다. 3 내측과 외측 결절 사이 길이는 11.3㎜(남자)와 10.6㎜(여자)였으며, 내측결절의 높이는 9.8㎜(남자)와 8.9㎜(여자)였고 외측결절의 높이는 7.5㎜(남자)와 6.2㎜(여자)였다. 4 경골기친면의 중심에서 경골의 중간선까지의 길이는 11.9㎜(남자)와 10.5㎜(여자)였고, 외측관절융기의 윗면까지의 길이는 37.4㎜(남자)와 34.4㎜(여자)였다. 경골기친면의 중심 높이에서 경골의 가로길이는 48.8㎜(남자)와 45.1㎜(여자)였고, 앞뒤길이는 41.3㎜(남자)와 37.9㎜(여자)였다. 5 비골관걸면의 최대지름은 16.6㎜(남자)와 16.0㎜(여자)였고, 최소지름은 14.4㎜(남자)와 12.8㎜(여자) 였다. 6 이상의 계측치 들은 모두 오른쪽과 왼쪽의 차이가 없었으면, 경골 윗면의 가로길이는 내측과 외측 관절융기의 가로길이, 앞뒤길이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 KCI등재

        The Effect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o Glomerular Epithelial Cells in Glomerular Permeability

        고철우(Cheol Woo Ko),이경희(Kyung Hee Lee),조민현(Min Hyun Cho),조동규(Dong Kyu Cho),이재태(Jae Tae Lee),조희중(Hee Jung Cho)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5

        미세변화신증후군은 소아의 원발성 신증후군의 주요 원인질환이다. 미세변화증후군의 정확한 병인기전은 아직까지 알 려져 있지 않으나, 최근 TNF-α가 이 질환의 병인기전과 관련된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환아의 혈청과 요에서 TNF-α의 변화를 살펴보고, TNF-α가 이 질환의 표적세포인 토리 상피세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15세의 미세변화신증후군 환아에게서 혈청과 요에서 TNF-α치를 측정하였고, 토리 상피세포로 도포된 Millicell system을 사용하여 TNF-α가 토리 상피세포에 의하여 형성되는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TNF-α가 토리 상피세포에서 생성되어 토리 기저막의 투과성을 결정하는 물질인 heparan sulfate proteoglycan의 유전자 발현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미세변화신증후군의 재발시 요중 TNF-α치(ng/mg∙cr)는 364.4±51.2로서 관해와 대조군의 155.3±20.8과 36.0±4.5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p⁄0.05). 그러나 TNF-α가 토리 상피세포의 투과성 검사와 토리 상피세포의 heparan sulfate proteoglycan의 유전자 발현과 생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TNF-α는 토리 상피세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미세변화신증후군에서의 요중 TNF-α치의 증가는 질병으로 인한 이차적인 변화일 것으로 생각된다 Minimal Change Disease (MCD) is the most common primary nephrotic syndrome in children. Some suggested that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MCD. This study was done to see changes of plasma and urinary TNF-α, and its effect on determination of permeability of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BM) contributed by heparan sulfate proteoglycan (HSPG). Study patients consisted of 19 biopsy-proven MCD children aged 2-15 years old. Both plasma and urinary TNF-α were measured. Employing the Millicell system, TNF-α was screened for the permeability factors. We examined whether TNF-α regulated BM HSPG gene expression and HS synthesis in the glomerular epithelial cells (GECs). Urinary TNF-α during relapse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364.4±51.2 vs 155.3±20.8, 36.0±4.5 ng/mg∙cr) (p⁄0.05). However, the negative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permeability assay using the Millicell system. No difference was seen in BM HSPG gene expression and HS synthesis in the GECs. Therefore, it seems that TNF-α may not play a disease-specific role in the pathogenesis of MCD.

      • SCOPUS

        경북의대 의학과 학사편입 시행 경험

        이유철(Yoo Chul Lee),여상희(Sang Hee Yeo),이원기(Won Kee Lee),강덕식(Duk Sik Kang),강이철(Echeol Kang),곽연식(Yun Sik Kwak),김보완(Bo Wan Kim),이종명(Jong Myung Lee),장봉현(Bong Hyun Chang),정제명(Jae Myung Chung),조희중(Hee Jung Cho 한국의학교육학회 2003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5 No.1

        Purpos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itiated a pilot project to admit small number of qualified students who received BS degree or above in the field of sciences in 199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the pilot project. Methods: Students academic grades, outcome of their opinion surveys on adaptability to the school life, difficulties and problems from the classes of 1996 to 2001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57 students were admitted to this program over the past 7-year period, 54.8% of them from natural science major and 36.8% from engineering. Students admitted with BS degree were performing above average in the class by % ran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performance between the natural science and the engineering major. Of 20 graduated, only one took career in basic medical science (physiology). The students thought undergraduate education was helpful in maturing personal characters than in knowledge or skill attainment. Conclusion: The achievement of medical students admitted after baccalaureate level was comparable to that of students with two years of premedical education.

      • KCI등재

        흰쥐 뇌의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면역반응 신경계의 생후 발달

        김정기(Jeong Ki Kim),박원학(Won Hak Park),김상용(Sang Yong Kim),조희중(Hee Jung Cho)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3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는 중추신경계의 발달과 성장에서 생존과 분화인자로 작용하는 단백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면역조직화학기법을 사용하여 출생 후의 흰쥐 뇌에서 BDNF 면역반응(IR) 신경세포 및 축삭종말의 출현을 개체발생학적으로 관찰하였다. BDNF-IR 신경세포는 생후 1일에 조롱박겉질, 담장, CA2와 CA3, 앞등쪽 및 뇌실곁시상핵, 안쪽배쪽시상하부핵 그리고 흑색질에서 관찰되었다. 생후 1주째에는 앞후각핵, 대뇌겉질의 V 및 VI층, 담장, 치아이랑, 바닥바깥쪽편도핵, 뇌실곁시상하부핵, 유두체핵에서 관찰되었으며 성장함에 따라 그 수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안쪽배쪽시상하부핵, 뇌실곁시상하부핵, 유두핵 및 흑색질에서는 성체에서 BDNF-IR 신경세포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colchicine 처리 후 다시 많은 BDNF-IR 신경세포가 관찰되었다. BDNF-IR 축삭종말은 생후 1일에 중격핵, 중심편도핵, 분계선조침대핵, 앞배쪽시상핵, 앞안쪽시상핵, 중간앞안쪽시상핵, 뇌실곁시상핵에서, 그리고 생후 1주일째는 치아이랑 및 뇌실곁시상하부핵에서 관찰되기 시작하였고 성장함에 따라 그 수 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출생후에도 뇌의 많은 부위에서 BDNF가 출현하기 시작하거나 또한 성장함에 따라 증가하며 이러한 결과는 출생후의 중추신경계의 발달에 BDNF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BDNF is a protein that allows the survival and differentia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examined the postnatal development of BDNF-immunoreactive (IR) neuron system in the forebrain and the upper brain stem of the rat using immunohistochemistry. In the piriform cortex, claustrum, CA2 and 3, anterodorsal and paraventricular thalamic nucleus (nu.), ventromedial hypothalamic nu. and substantia nigra, BDNF-IR neurons were detected at postnatal day 1. BDNF- IR neurons in the anterior olfactory n., layers V and VI of the neocortex, claustrum, dentate gyrus, basolateral amygdaloid nu., paraventricular hypothalamic nu., mammillary nu. first appeared at postnatal 1 week of age and tended to increase in number as the rats grew. BDNF-IR neurons in ventromedial and paraventricular hypothalamic nu., mammillary nu., and substantia nigra decreased in number and none or only a few BDNF-IR neurons were seen in these areas of the adult rats. However, after treatment of colchicine, these areas showed numerous BDNF-IR neurons. BDNF-IR axon terminals were found in the septal nu., central amygdaloid nu., bed nu., of the stria terminalis, anterior ventral, anterior medial, interanteromedial and paravertricular thalamic nu., at postnatal day 1 and in dentate gyrus and paraventricular hypothalamic nu., at 1 week of age, respectively. These terminals in general continued to increase in number as the rats grew. Our results showed that BDNF immunoreactivity increased in various regions of the postnatally developing rat brain and suggest that BDNF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neuronal maturation.

      • KCI등재후보

        흰쥐 뇌에서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면역반응 신경세포 및 축삭종말의 분포

        이성원(Sung-Won Lee),김정기(Jeong-Ki Kim),김동선(Dong-Sun Kim),조희중(Hee-Jung Cho) 대한해부학회 1998 Anatomy & Cell Biology Vol.31 No.6

        BDNF는 그 다양한 기능때문에 여러 가지의 퇴행성신경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뇌에서 BDNF 면역 반응의 구조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아직 일치하지 않는 점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면역조직화학기법을 이용하여 흰쥐의 뇌에서 BDNF 면역반응 신경세포와 축삭종말의 분포를 연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끝뇌 : BDNF 면역반응 신경세포는 앞후각핵, 조롱박겉질, 새겉질, 가쪽중격, 담장, CA2와 CA3의 피라밋층, 가쪽편도핵과 종말선조핵에서 관찰되었다. BDNF 면역반응 축삭종말은 가쪽중격, CA2와 CA3의 투명층 (stratum lucidum), 문, 치아이랑, 중간 편도핵과 종말선조핵에서 관찰되었다. 사이뇌: 안쪽무릎핵, 유두체핵과 배쪽안쪽시상하부핵에서 BDNF 면역반응 신경세포가, 앞안쪽시상핵, 중간앞안쪽시상핵, 뇌실곁시상핵, 가쪽무릎핵과 안쪽무릎핵에서는 강한 면역반응 축삭종말이 관찰되었다. 중뇌 : BDNF 면역반응 축삭종말이 흑질, 배쪽뒤판부위 및 수도관주위회색질에서 관찰되었다. 교뇌 : 매우 진한 BDNF 면역반응 축삭종말이 배쪽뒤판핵과 가쪽다리뇌핵에서 관찰되었다. BDNF 면역반응 신경세포는 아 래둔덕, 다리뇌핵 및 삼차신경 운동핵에서 관찰되었다. 연수 : BDNF 면역반응 신경세포는 아래올리브핵과 맨아래구역에서 관찰되었다. 면역반응 축삭종말은 아래올리브핵, 가쪽 그물핵, dorsal cap of Kooy, 고립로핵 및 삼차신경척수핵에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은 BDNF 면역반응 신경세포와 축삭종말이 뇌의 많은 부위에서 분포되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또한 BDNF는 이들 부위의 다양한 기능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Because of its broad range of activities, BDNF is being tested or considered for treatment of a variety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However, a discrepancy exists in the literature concerning the localization of BDNF-immunoreactive (IR) structures in the brain. We performed, therefore, immunohistochemistry to investigate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BDNF-IR neurons and axon terminals in the rat brai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elencephalon : BDNF-IR neurons were found in the anterior olfactory nucleus (n.), the piriform cortex, the neocortex, the lateral septum, the claustrum, the pyramidal layer of CA2 and CA3, the basolateral amygdaloid n. and the bed n. of the stria terminalis. BDNF-IR axon terminals were localized in the lateral septum, the stratum lucidum of CA2 and CA3, the hilum, the dentate gyrus, the central amygdaloid n. and the bed n. of the stria terminalis. Diencephalon : BDNF-IR neurons were demonstrated in the medial geniculate n., the mammillary n. and the ventromedial hypothalamic n. In the anteromedial thalamic n., the anteroventral thalamic n., the paraventricular thalamic n., the lateral geniculate n. and the medial habenular n., densely stained IR terminals were found. Midbrain : BDNF-IR terminals were localized in the substantia nigra, the ventral tegmental area and the periaqueductal gray. Pons : Densely stained IR terminals were found in the ventral tegmental n. and the parabranchial n.. BDNF-IR neurons were localized in the inferior colliculus, the pontine n. and the motor trigeminal n. Medulla oblongata : BDNF-IR neurons were found in the inferior olive n. and the area postrema. IR terminals were localized in the inferior olive n., the lateral reticular n., the dorsal cap of Kooy, the n. tractus solitarious and the spinal trigeminal n. The results show that BDNF-IR neurons and terminals are distributed in numerous structures of the brain and that BDNF may be related with a various function of the regions.

      • KCI등재후보

        Colchicine 처리후 흰쥐 뇌에서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분포

        김정기(Jeong-Ki Kim),박원학(Won-Hark Park),조희중(Hee-Jung Cho)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6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 및 BDNF는 뇌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함이 밝혀져 있다. BDNF mRNA와 BDNF는 그 분포에 있어서 서로 일치하는 부위가 많지만 그렇지 않은 부위도 많다. 본 연구에서는 BDNF mRNA는 발현되 지만 BDNF가 발현되지 않는 부위에서 BDNF의 발현을 보기 위하여 뇌실에 colchicine을 투여한 후 면역조직화학기법을 시 행한 결과 다음의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1. 앞후각핵, 조롱박겉질, 대뇌겉질, 담장, CA2와 CA3의 피라밋층, 치아이랑의 과립세포층, 바닥가쪽편도핵, 가쪽무릎핵, 앞 안쪽시상핵, 앞등쪽시상핵, 뇌실곁시상핵, 뇌실곁시상하부핵 및 배쪽안쪽시상하부핵에서는 colchicine 비처리군에 비하여 BDNF 면역반응 신경세포가 증가하였다. 2. CA1의 피라밋층, A1, A2, A4-A10 세포군, C1-C3 세포군, 큰솔기핵, 가쪽거대세포핵 및 척수안뜰신경핵에서는 colchicine 처리 후 새로이 많은 BDNF 면역반응 신경세포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colchicine 처리 후 흰쥐 뇌에서 BDNF 함유 신경세포들은 그 분포에 있어서 BDNF mRNA 함유 신경세포 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Widesprea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 and protein expression has been detected in the brain. Despite substantial overlap between BDNF mRNA and protein expression, there is general anatomical regions, where there is discordance of these expression. We performed, therefore, immunohistochemistry after colchicine treatment into the ventricle to evaluate the possible presence of BDNF-immunoreactive (IR) in the regions where BDNF mRNA was expressed, but not BDNF-I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re was substantial increase in the number of BDNF-IR neurons in the anterior olfactory nucleus, the piriform cortex, the cerebral cortex, the claustrum, the stratum pyramidale of the CA2 and the CA3, the granule cell layer of the dentate gyrus, the basolateral amygdaloid nucleus, the lateral geniculate nucleus, the anteromedial thalamic nucleus, the anterodorsal thalamic nucleus, the paraventricular thalamic nucleus, the paraventricular hypothalamic nucleus and the ventromedial hypothalamus nucleus, compared to the same brain area of non-colchicine treated rat. We detected many new BDNF-IR neurons in the stratum pyramidale of the CA1, A1, A2, A4-A10 cell groups, C1-C3 cell groups, the raphe magnus nucleus, the lateral paragigantocellular nucleus and the spinal vestibular nucleus. The results show that the localization of BDNF-IR neurons after colchicine treatment is consistant with that of BDNF mRNA containing neurons in the brain.

      • KCI등재후보

        작열통모델 흰쥐의 등쪽뿌리신경절 및 척수에서 α2-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발현의 변화

        이남혁(Nam-Hyuk Lee),김동선(Dong-sun Kim),김정기(Jeong-Ki Kim),김광진(Kwang-Jin Kim),조희중(Hee-Jung Cho) 대한해부학회 1998 Anatomy & Cell Biology Vol.31 No.6

        말초신경이 손상을 입었을 때 교감신경계가 어떠한 기전에 의하여 작열통을 유발시키는지 확실히 알려진 바는 없지만, 아마도 α-아드레날린 수용체 (α-adrenergic receptor, α-AR)를 매개로 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흰쥐의 DRG 및 척수에서 α2A, α2B 및 α2C-AR mRNA의 분포를 in situ hybridization (ISH)기법으로 관찰하고 L5, 6 척수신경을 결찰한 작열통모델 흰쥐의 α2A, α2B 및 α2C-AR mRNA의 양적변화를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법으로 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들을 얻을 수 있었다. 1. 정상군의 ISH 결과, DRG의 작은, 중간 그리고 큰신경세포들에서 α2C-AR mRNA가 발현되었고 α2A-AR mRNA는 전체 신경세포의 16%에서 발현되었으며 주로 중간 및 큰세포에 분포하였다. 한편 α2B-AR mRNA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척수에서는 α2A-AR mRNA의 경우 등쪽뿔의 제 II, III층의 신경세포와 배쪽뿔의 운동신경세포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α2B-AR mRNA함유 신경세포는 관찰할 수 없었으며 α2C-AR mRNA는 배쪽뿔의 운동신경세포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2. 결찰군에서 RT-PCR 결과, 결찰측의 L5, 6 DRG에서는 α2A-AR mRNA가 반대측 및 Sham군의 DRG의 그것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α2C-AR mRNA의 경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L5 및 L6 척수의 결찰측은 반대측이나 Sham군의 척수에 비하여 α2A, α2B, 및 α2C-AR mRNA의 발현에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에 의하면 DRG에 분포하는 α2A 및 α2C-AR는 말초신경 손상후 교감신경 의존성의 작열통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척수의 α2-AR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While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by which sympathetic nervous system generates neuropathic pain is not clear, it is thought to involve an α-adrenergic receptor (AR). In the present experiment, we have elucidated the distribution of α2-AR subtypes mRNA in the DRG and spinal cord of normal rat with in situ hybridization (ISH) and analyzed changes in their expression in an experimental model of neuropathic pain with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small, medium and large DRG neurons of non-operated rats expressed α2C-AR mRNA. α2A-ARexpressing neurons were primarily medium-sized and large, comprising about 16% of the total neurons present. α2BAR-expressing neurons were not identified. In the spinal cord, α2A-AR mRNA were localized in neurons of lamina II and III, and large motor neurons in the ventral horn. α2C-AR mRNA was found in large motor neurons. 2. In the ligated animals, RT-PCR results showed that α2A-AR mRNA levels in L5, 6 DRGs on the ipsilateral sid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alateral sides and also to those of sham-operated rats. α2C-AR mRNA levels showed a marked decrease in ipsilateral L5, 6 DRGs. In the spinal cord, there was no detectable changes in α2A- and α2C-AR mRNAs levels.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α2A- and α2C-ARs in the DRG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generating sympathetically maintained neuropathic pain and that α2-AR in the spinal cord seems not to be involved.

      • KCI등재후보

        말초조직염증이 흰쥐 척수 및 등쪽뿌리신경절의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및 trkB에 미치는 영향

        이성락(Sung-Lak Lee),김정기(Jeong-Ki Kim),도미향(Mi-Hyang Do),김효신(Hyo-Sin Kim),이상지(Sang-Ji Lee),김동선(Dong-Sun Kim),조희중(Hee-Jung Cho)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6

        최근 본 연구자들은 실험동물의 말초조직에 염증을 유발시켰을 때 등쪽뿌리신경절(DRG)에서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가 증가하였고 이것은 신경성장인자를 매개로 일어난다고 보고하였다. 이때, 말초조직염증은 DRG 및 척수에서 BDNF를 증가시키며 또한 이 부위에서 trkB mRNA의 발현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어 본 연구에서는 Freund’s adjuvant를 흰쥐의 한쪽 뒷발바닥에 주사하여 염증을 유발시킨 후 DRG 및 척수에서의 BDNF 면역반응성의 변화를 면역조직화학기법으로, trkB mRNA의 양적변화를 RT-PCR법으로, 또한 in situ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하여 BDNF mRNA와 preprotachykinin (PPT) mRNA,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mRNA 혹은 trkB mRNA와의 공존여부를 연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말초조직염증을 유발시켰을 때 주사 후 1 및 3일째에 DRG에서 BDNF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7일 후에는 정상치로 회복되었다. 척수의 경우 등쪽뿔의 층판 I, II, IV 및 V에서 주사 후 1 및 3일째에 BDNF 면역반응 축삭종말의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7일 후에는 정상치로 회복되었다. 2. 말초조직염증을 유발시킨 후 DRG에서는 3일째에 truncated trkB (trkB.T) mRNA의 증가를 볼 수 있었으며 full-length trkB (trkB.FL) mRNA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척수의 경우 trkB.T mRNA 및 trkB.FL mRNA의 변화는 없었다. 3. DRG에서는 많은 BDNF mRNA 함유신경세포들이 말초조직염증 유발 후 PPT mRNA 혹은 CGRP mRNA를 공유하였다. 4. DRG의 BDNF mRNA 함유신경세포는 trkB mRNA를 거의 공유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BDNF는 말초조직염증에 의한 동통의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DRG에서는 측분비기능 (paracrine function)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Recent study showed that peripheral inflammation induced an increased express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 which was mediated by nerve growth factor in the dorsal root ganglion (DRG). Therefore, it is conceivable that peripheral inflammation may induce an increase in BDNF synthesis in DRG and consequently enhance the level of BDNF in the spinal cord and that gene expression of trkB mRNA may be altered.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changes in BDNF-immunoreactivity and trkB mRNA in the DRG and spinal cord by means of immunohistochemistry and RT-PCR, respectively, following peripheral tissue inflammation produced by intraplantar injection of Freund’s adjuvant into rat paws. In addition, coexistence of BDNF and preprotachykinin (PTT) mRNAs, BDNF and CGRP mRNAs or BDNF and trkB mRNAs in the DRG following inflammation was observed by means of in situ hybridiz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flammation induced a significant increase of the number of BDNF-immunoreactive (IR) neurons in the ipsilateral DRGs. The increase was observed 1 and 3 days after injection of adjuvant, and the levels had returned to normal by 7 days. In the spinal cord, inflammation also induced an elevation in the expression of BDNF-IR terminals in the medial superficial layers of the ipsilateral dorsal horn and in lamina V 1 and 3 days after injection. 2.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of truncated trkB (t-trkB) mRNA in the ipsilateral DRG 3 days following inflammation.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trkB mRNA in the DRG or trkB and t-trkB mRNAs in the spinal cord were not observed. 3. Many neurons showed increased coexistence of BDNF and PTT mRNAs or BDNF and CGRP mRNAs in the DRG following inflammation. 4. Few neurons showed coexistence of BDNF and trkB mRNAs in the DRG following inflammation. The results suggest a paracrine function for BDNF within the DRG in addition to an important role related with nociception following peripheral inflammation.

      • KCI등재

        말초조직염증 혹은 신경손상 후 흰쥐 등쪽뿌리신경절에서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활성화

        배재천(Jae-Chun Bae),이혜림(Hye-Lim Lee),이경민(Kyung-Min Lee),황성헌(Sung-Hun Hwang),손선주(Sun-Ju Sohn),김동선(Dong-Sun Kim),조희중(Hee-Jung Cho)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3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계열에는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38 MAPK와 c-Jun Nterminal kinase (JNK) 등이 이에 속한다. 그리고 이러한 MAPK전달계는 세포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전달하여 세포내 반응을 일으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 ERK는 성장인자, 산화 스트레스, 세포내 칼슘 증가 혹은 glutamate 수용체의 자극 등에 의하여, p38 MAPK 및 JNK는 cytokine, 열쇼크, 자외선 및 허혈 등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말초조직에 염증을 유발시키거나 말초신경의 손상 후 축삭이 퇴행을 일으키면 이곳으로부터 cytokine, 성장인자 및 기타 물질들이 생성되어 등쪽뿌리신경절(DRG)로 역행성이동을 하여 동통과민화를 야기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말초조직염증이나 신경손상 후 DRG에서 MAPK이 어떻게 활성화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조직염색 법으로 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말초조직염증을 유발시키면 동측의 L5 DRG에서 phosphorylated (P)-ERK, P-p38 MAPK 및 P-JNK 면역반응신경세포수 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2. 좌골신경절단의 경우 동측의 DRG에서 P-ERK 혹은 P-p38 MAPK 면역반응성 신경세포수의 유의한 감소와 P-JNK 면 역반응성 신경세포수의 유의한 증가를 볼 수 있었다. 3. 좌골신경의 만성협착손상(chronic constriction injury, CCI)시 DRG에서 MAPK의 활성화는 말초조직염증유발시의 그것 과 유사하였다. 4. 말초조직염증이나 CCI 후의 ERK, p38 MAPK 및 JNK의 활성화는 작은직경의 신경세포에서, 좌골신경절단 후의 JNK 의 활성화는 모든 직경 신경세포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로 미루어 보아 말초조직염증이나 좌골신경의 CCI 후 생성되는 cytokine이나 성장인자들이 DRG에서 의 P-ERK, P-p38 MAPK 및 P-JNK의 발현에 관여할 것이며 이러한 MAPK계열들은 동통과민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 로 생각된다.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family has three members: th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38 MAPK and c-Jun N-terminal kinase (JNK). There is substantial evidence indicating that the MAPK cascade plays a pivotal role in transducing extracellular stimuli into intracellular responses in all cells. The ERK is activated in response to growth factors, oxidative stress, increases in intracellular calcium levels, or glutamate receptor stimulation. The p38 MAPK and JNK are activated by stress signals such as inflammtory cytokines, heat shock, ultraviolet light, and ischemia. It has been shown that cytokines, growth factors, or other agents released and are retrograde-transported to the dorsal root ganglia (DRG) as a result of peripheral tissue inflammation or the degeneration of axons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ies which cause hyperalgesia.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ctivation of MAPKs in rat DRG by means of immunohistochemistry following peripheral inflammation or nerve injuri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Peripheral tissue inflammation induc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phosphorylated (P)-ERK, P-p38 or P-JNK 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ipsilateral L5 DRG. 2. Following axotomy, the percentage of P-ERK or P-p38 MAPK immunoreactive neuron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at of P-JNK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ipsilateral side. 3. Chronic constriction injury of the sciatic nerve (CCI) induced similar changes with those following peripheral inflammation in the activation of MAPKs in the DRG neurons. 4. The activation of ERK, p38 MAPK and JNK following inflammation and CCI was observed primarily in small neurons, while that of JNK following axotomy was found in neurons of all siz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ytokines or growth factors released as a result of peripheral inflammation or CCI of the sciatic nerve may modulate expression of P-ERK, P-p38 MAPK and P-JNK in the DRG and that MAPKs may play an important roles in pain hypersensi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