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 모델과 모델링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조혜숙,남정희,Cho, Hye Sook,Nam, Jeonghee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진행되어 온 모델 및 모델링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1989년부터 2016년 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과학교육 분야의 모델과 모델링 관련 연구 문헌들을 85편을 추출하였다. 이를 연구 대상, 연구 분야 및 연구 설계, 연구 방법 및 자료 수집, 메타모델링 지식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분석에서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적었으며, 학생 전체와 비교하여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었다. 이로부터 교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할 수 있다. 연구 분야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및 과학 분야별 연구 중에서 절반이상이 지구과학과 화학에서 이루어졌다. 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이 모델과 모델링을 쉽게 인식하고 여러 교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특정 교과의 분야가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설계 경향을 분석한 결과는 질적 연구가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혼합연구, 양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을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 등에서 이미 개발된 모델 및 모델링 관련 프로그램이나 전략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한 논문이 가장 높았다. 과학교육에서 성공적인 모델링 실습을 위해서는 특정한 과학 현상이나 개념에 대한 모델과 모델링을 적용한 수업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메타모델링 지식의 요소의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메타모델링 지식의 요소의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모델의 목적에 대해서 분석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모델링 과정을 다룬 연구, 모델의 다양성을 다룬 연구, 모델의 본성을 다룬 연구 순이었다. 학생과 교사 모두의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이해의 향상을 위해서는 메타모델링 지식과 그 구성요소인 모델의 본성, 모델의 다양성, 모델의 목적, 모델링 과정, 모델의 평가 및 수정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이해 및 수업 전략으로써의 활용 측면연구와 과학교사의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방법,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들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model and modeling-related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from 1989 to 2016 in Korea. Eighty-five (85) models and modeling-related journal articles were extracted from the KCI-listed journal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such as participants, research fields, research design, methods, data collection and elements of metamodeling knowledge. According to research participants, three out of four (3/4) were studied for students and the rest were for teachers.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for students were conduct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fields of models and modeling-related researches in science education were comprised of earth science, chemistry, biology science, physics and science course. With regards to research design, the highest type is qualitative research and followed by hybrid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According to research methods, the most numerous researches that were analyzed was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which was a developed model and modeling-related research. The analysis from the elements of the metamodeling knowledge showed most of model and modeling-related research utilized for the change of scientific concept or understanding.

      • 노인간호요양시설의 QMI 개발과 현장 실태분석

        조혜숙,Cho, Hye-Sook 한국가정간호학회 2005 가정간호학회지 Vol.12 No.1

        Purpose: Expecting a new system of nursing security for elderly in operation in 2007, a substantial expansion of nursing facilities for elderly and quality management of those facilities are imperative now. Therefore. specific quality management measures or schemes which could be used for the operation of small-scale nursing homes are in urgent n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Quality Management Index(QMI) to guide Nursing Home management. Method: This study developed a QMI for small-scale nursing homes, which focused on quality management in structural dimensions such as environment, staffs, local community network, atmosphere, and quality management in process dimensions such as nursing, communication, resident satisfaction. The QMI developed in this study is based on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 and the actual experiences of nursing home operation. It consists of 7 dimensions, 39 components and 148 indexes, which have been verified by three times validity tests of experts group. Then the QMI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management levels of nursing homes in Korea. Result: In sum, after analyzing all nursing homes in Korea operated by nurse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quality management level among facilities in several dimensions such as environment, staffs, local community connections, communication. In dimensions such as nursing, atmosphere, resident satisfaction, however, little differences of quality management level among facilities were reported. It is considered that this result has to do with several factors like the size of facilities, operation expenses, operation forms, the disposition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philosophy and management policy of the owners. As far as generalization is concerned, however, it needs to be noted here that the sample size for this study is not statistically big enough to generalize the results. Conclusion: Having Developed a QMI for small-scale nursing home with 7 dimensions, 39 components and 148 index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developing more elaborated quality evaluation tools for nursing homes, and also function as a practical guide of quality management for those who are opening and managing nursing homes. I hope this quality index could lead to further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quality management index,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quality improvement of nursing homes.

      • KCI등재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에서 역할분담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인성 역량 변화 분석

        조혜숙,서민숙,남정희,권정인,손정우,박종석,Cho, Hye Sook,Seo, Minsook,Nam, Jeonghee,Kwon, Jeong In,Son, Jeongwoo,Park, Jongseok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이 연구는 현장의 과학 수업의 학생들의 인성 여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과교육을 통한 인성 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 탐구 전 과정에서 논의와 글쓰기를 강조한 논의-기반 탐구(Argumentbased Inquiry, ABI) 과학수업을 교수학습 전략으로 적용하였다. 논의-기반 탐구(ABI) 과학수업에서 역할분담을 변인으로 하여 역할분담을 한 집단(ABI-R집단)과 역할분담을 하지 않은 집단(ABI집단)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 인성 역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위치한 남녀공학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2개 학급 51명은 논의-기반 탐구(ABI) 과학수업에서 역할분담을 하고(ABI-R집단), 2개 학급 46명은 역할분담을 하지 않았다(ABI집단). 4개의 탐구 주제를 총 10시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처치 전 동일시기에 인성지수 검사를 실시하고 사후 인성지수 검사를 실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논의-기반 탐구(ABI) 과학수업의 마지막 단계의 반성 글쓰기에 나타나는 인성 역량을 알아보았고, 과학 수업을 통한 인성 역량 함양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학생들의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과학교과의 논의-기반 탐구(ABI) 과학수업에서 역할분담을 적용한 집단(ABI-R집단)이 역할분담을 하지 않은 집단(ABI집단)의 인성지수 검사 결과, ABI-R집단이 ABI집단 보다 인성 역량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특히, 인성 역량의 하위 요소 중 공감, 책임, 존중에서 역할분담을 적용한 그룹이 역할분담을 나누지 않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모둠 활동과 같은 협동학습에서 역할분담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역할을 명확하게 인지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높아지게 되고,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촉진되며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존중하게 된다. 그러나 협력 항목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역할분담을 적용하지 않은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개인이 하나의 역할을 유지하지 않고, 모둠내에서 자연스럽게 자신의 역할을 형성하고 상황에 따라 역할을 교대하면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협동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논의-기반 탐구(ABI) 과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자신들의 인성 역량 변화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많았고, 협력 항목이 가장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논의-기반 탐구(ABI) 과학수업이라는 모둠 활동에서 서로의 이해를 공유하고, 지식 및 정보를 의사소통을 통해 공유함으로써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강조하기 때문에 인성 역량을 키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과학교과에서 모둠 활동에서 역할분담을 통해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되, 주어진 역할 수행에만 고정되지 않고 문제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수업상황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rgument-Based Inquiry (ABI) strategy on student's character competency. For this study, 51 grade 11 students (two classes) were selected to the role assignment (ABI-R group) and 46 students (two classes) were assigned to the non-role assignment group (ABI group). In the result, the role assignment group (ABI-R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higher change in character competency than the group without role assignment (ABI group). Particularly, the ABI-R group has significantly higher grade than ABI group in empathy, responsibility, and respect among the sub-factors of character competency.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operation factor of character competency, the ABI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grade than ABI-R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rgument-Based Inquiry (ABI) a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science can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human character competency. In addition, we suggest that students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the class through role assignment, but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class situation so that they can be actively engaged according to the problem situation rather than being fixed in a given role.

      • KCI등재

        중등단계 직업교육 전문교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컴퓨팅 사고력 구성 요소 구명 및 교육 요구 분석

        조혜숙(Hye Sook Cho),이병욱(Byung Wook Lee) 대한공업교육학회 202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는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전문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 수행 과정에서 접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컴퓨팅 사고력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기 위해 요구되는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 요소를 구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중등단계 직업교육 전문교과 교사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교육 필요도와 현재의 능력 수준을 비교·분석하여 교사에게 어떠한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등단계 직업교육 전문교과 교사 47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379명(79.45%)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 요소는 문제 인식, 문제 표상, 문제 분석, 문제해결 설계, 문제해결 실천, 문제해결평가 및 전이로 구성되었다. 둘째,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전문교과 교사가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 우선 순위는 6개의 최우선 순위와 10개의 차순위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전문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력의 개념과 교육적 가치에 대한 이해 및 교수·학습 방법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교사의 교육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required to teach students the computational thinking to solv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course of job performance, targeting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addition, it provided basic data for developing teacher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by deriving priorities for education related to compon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77 teacher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specialized subjects, and a questionnaire of 379 (79.45%)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esirable to consist of problem recognition, problem representation, problem analysis, problem-solving design, problem-solving practice, problem-solving evaluation and transfer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in order to find out the compon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Second, the educational priorities required for teachers of specialized subject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o teach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to students were derived from six components as the highest priority and ten components as the next priority.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educational value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should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and level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needs of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 KCI등재

        월경통 여성의 사상체질과 비만도에 따른 변증특성 연구

        조혜숙 ( Hye Sook Cho ),이인선 ( In Seon Lee ),김규곤 ( Kyu Kon Kim ),김종원 ( Jong Won Kim )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16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29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dysmenorrhea patients with the Inbody test results by Sasang constitutions. Methods: The data from the 541 participants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measurement of menstrual pain. Based on the survey responses, we had 329 women with dysmenorrhea as the test group and 212 women without dysmenorrhea as the control group. The clinical trials subjects were asked to respond to another questionnaire for identifying their constitutional types and undergo Inbody test. Results: The result of a comparison of the test and control groups showed that the DSOM test showed that the scores of blood deficiency, qi stagnation, blood stasis and phlegm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ysmenorrhea. The result of the taeumin``s test groups showed that the DSOM test showed that the scores of heat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Sasang constitution, there is a difference on the cause of the outbreak. Taeumin from blood deficiency, blood stasis, dampness, heart, kidney, phlegm and lung is associated with dysmenorrhea. Soeumin from blood deficiency, qi stagnation, blood stasis, liver, heart, spleen and phlegm is associated with dysmenorrhea. The ratio of overweight of taeumin was low in blood deficiency and yin deficiency. The ratio of lowweight of soeumin was high in heat. Conclusions: The DSOM test showed that the scores of blood deficiency, qi stagnation, blood stasis and phlegm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ysmenorrhea.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고찰-메타모델링 지식을 중심으로-

        조혜숙 ( Hye Sook Cho ),남정희 ( Jeonghee Nam ),오필석 ( Phil Seok 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과학교육의 현장에서 모델과 모델링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해 필요한 학생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지식을 의미하는 메타모델링 지식과 그 구성요소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주요 선행 연구들을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범주화하였으며, 과학교육에서 효과적으로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메타모델링 지식은 모델과 모델링에 대해 인식하는 것이고, 과학적 모델링 실습에서 과학적 모델을 만드는데 가장 결정적인 요소이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메타모델링 지식의 구성요소는 모델의 본성, 모델의 다양성, 모델의 목적, 모델링 과정, 모델의 평가와 수정으로 범주화하였다. 모델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모델이 가지는 여러 가지 속성을 알게 되며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의 틀을 가지게 된다. 모델의 다양성은 같은 자연 현상을 나타내기 위한 여러 모델이 존재하는 것과 모델의 분류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이다. 모델의 목적은 과학자들이 자연 현상을 설명하거나 예측하기 위해 모델을 만드는 것임을 학생들인 인식하여 모델을 구성하고 사용함으로써 과학적 이해를 하는 것이다. 모델링 과정은 모델을 만들고 평가하고 수정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모델링 실습에 참여할 수 있게 되고, 교사는 모델링 실습에서 학생을 돕는 제대로 된 안내자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모델의 평가 및 수정은 학생들이 관찰한 자연 현상을 잘 설명하기 위해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모델을 수정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모델을 정교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메타모델링 지식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과 교사들이 모델과 모델링에 대해서 느끼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과학교육에서 모델과 모델링 수업을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침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tamodeling knowledge and its components, which means knowledge about model and modeling required for students and teachers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modeling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based on research literature. For this, we analyzed and categorized major previous studies on modeling and modeling through research literature methods. Metamodeling knowledge aims to recognize models and modeling and is the most crucial element to create a scientific model in scientific modeling practice. The point of view of metamodeling knowledge proposed in this study is categorize nature of model, multiplicity of model, purpose of model, modeling process, and evaluation and revision of model. Students should be able to achieve more in-depth understanding through the awareness of the nature of the model. The development of metamodeling knowledge can facilitate students` science learning.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교육 요구와 인식 조사

        조혜숙(Hye Sook Cho),남정희(Jeonghee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교육 요구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B광역시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의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문항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원격수업의 교육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5단계 리커트 척도의 11개 문항과 인식을 위한 선택형 및 의견제시의 6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회수된 응답지 220부 중에서 불성실하게 반응하였거나 응답을 누락한 38부를 제외하고, 총 182부의 자료를 SPSS 18.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초등학교 과학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의 교육 요구는 학생들의 집중도, 참여도,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와 함께 학생과 교사와의 상호작용 및 학생과 다른 학생과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과학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 및 스스로 참여하여 노작활동 등을 하는 수업과 교사의 피드백 중 댓글과 실시간 피드백을 원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과학 원격수업의 개선과 함께 교사의 초등학교 과학 원격수업의 개선 전략에 대한 연수나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the present implementation level and students' perceptions that affects elementary school science distance learning.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th and 6th grade students of 4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 city. This questionnaire consisted of 11 items on a 5-step Likert scale for educational needs and 6 items of choice and free responses for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science distance learning. A total of 182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excluding 38 data that responded unreliable or omitted responses out of 220 responses. Results As a result, the students’ educational needs of science distanc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were prioritized in the students' concentration,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ontent, as well as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between students and other stude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current status of distance learning based on students'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distance classes, students wanted real-time interactive science distance classes, self-participating classes, and comments and real-time feedback of teachers' feedback. Conclusion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a basis for improving science distance learning classes and for proposing the design of training or education programs on strategies for improving teachers' classes of science distanc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 대한 침치료 연구 동향

        조혜숙 ( Hye Sook Cho ),이인선 ( In Sun Lee ) 경락경혈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8 No.3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summarize the research on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 Methods : We searched the clinical studies with keywords of Polycystic ovarian syndrome and acupuncture therapy through the search site called CAJ (china academic journal) from 2000 to 2011. Results and Conclusions : We reviewed 22 studies about PCOS which were relative to acupuncture therapy.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Acupuncture point for PCOS in this article exclusive Auricular acupuncture treatment. SP6 (Samumgyo), CV4 (Kwanwon), CA111 (Chagung), SP10 (Hyolhae), CV6 (Kihae), B23 (Shinsu) and S40 (P`ungnyung) were used frequently. Acupuncture therapy was effective method to improve Polycystic ovarian syndrome. Further studies needed for Polycystic ovarian syndrome.

      • KCI등재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통한 중학생의 실천적 인성 역량 및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함양

        조혜숙 ( Hye Sook Cho ),권동욱 ( Dong Uk Kwon ),강유진 ( Eugene Kang ),박종석 ( Jongseok Park ),손정우 ( Jeongwoo Son ),남정희 ( Jeonghee Na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5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과에 협력적 문제해결(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 전략이 중학생의 실천적 인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전략을 적용한 학생들의 반성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여학생반을 대상으로 하여 2개 학급 49명은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적용한 집단(CoProC 집단)으로, 2개 학급 46명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 및 실험 수업을 적용한 집단(비교 집단)으로 나누었다. 두 집단에는 한학기 동안 5개 주제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CoProC 집단은 비교집단 보다 실천적 인성 역량의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하위 항목에서는 협력, 소통, 책임, 긍정적 자기이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적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의 실천적 인성 역량의 하위항목별 효과 크기(effect size)를 분석해보면, CoProC 집단은 비교 집단 보다 배려, 협력, 소통, 정직, 책임, 긍정적 자기이해, 자기조절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적용한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이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oProC 집단의 학생들이 수행한 5개 주제의 활동 중초기와 후기의 수업에서 작성된 반성 글쓰기를 분석하여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사회적 역량에 한정하여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총점에서 큰 수준의 효과 크기를 보였다. 하위항목인 구성원의 탐색과 이해는 작은 수준의 효과 크기를 나타냈으며, 조직 구성 및 유지는 중간 수준의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또한 의사소통과 자기 행동 반성은 큰 수준의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과학교과중심의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은 과학적 탐구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적 의사소통을 통한 문제해결의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 strategy on the practical character competency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middle school. For this study, 49 seventh grade students (two classes) were selected for use applying the CoProC strategy (CoProC group) while 46 students (two classes) were used for traditional lecture and experimental class (comparative group). In the result, CoProC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practical character competency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 items of the competency, the CoProC group showed resul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operation,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and positive self-understanding than the comparative group. Analysis of the effect size of students’ practical character competency showed that the CoProC group results showed more effective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erms of care, cooperation, communication, honesty, responsibility, positive self-understanding, and self-regulation.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CoProC strategy o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As a result, it showed a large effect in the total scor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Among the sub items of the competency,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members’ showed a small size of effect and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eam organization’ showed a medium size of effect. ‘Communication’ and ‘self-reflection’ showed a large effect. CoProC strategy embedded in Science subject could improve student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through the proces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in the scientific inquiry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