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송이 버섯과 그 부산물의 항산화성

        조현소(Hyun-So Cho),이현지(Hyun-Ji Lee),이수정(Soo-Jung Lee),신정혜(Jung-Hye Shin),이현욱(Hyun-Uk Lee),성낙주(Nak-Ju Sung)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0

        새송이 버섯과 그 부산물인 버섯파치, 균체파치 및 버섯파치 발효액의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화학적인 특성,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비교하였다. 수분은 발효액에서 89.37±0.42%로 가장 높았고, 조단백질 함량은 새송이 버섯에서 1.72%로 가장 높았다. 조섬유는 균체파치를 제외한 시료에서 10% 미만이었다. 무기질은 발효액에서 3,696.1 ㎎/100 g으로 가장 높았고, 칼륨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의 함량은 새송이 버섯에서 989.59 ㎎/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다. 전자공여능은 버섯파치 발효액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발효액의 메탄올 및 물추출물(10 ㎎/㎖)에서 각각 64.07±0.23, 76.27±1.46%이었다. 환원력은 발효액이 새송이 버섯 및 파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10 ㎎/㎖의 발효액 첨가 시 물추출물에서 2.22±0.03으로 가장 높았다. SOD 유사활성은 발효액의 경우 2.5 ㎎/㎖ 첨가 시 50% 이상의 활성이 있었다. 메탄올 및 물추출물에서 10 ㎎/㎖ 첨가 농도에서 균체 파치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50%이상의 활성을 보였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균체파치 메탄올추출물의 1~5 ㎎/㎖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2.5의 반응 조건에서 pH 4.0보다 우수하였으며, 메탄올추출물에서는 42.93±1.71~72.97±2.18%, 물추출물에서는 57.66±1.80~81.07±0.81%로 모든 시료에서 물추출물이 메탄올추출물보다 높았다. 따라서 새송이 버섯파치를 이용한 발효액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이나 사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eryngii and its by-products. By-products of Pleurotus eryngii were classified with mushroom, fungal body and fermented mushroom by-product. Moisture was the highest in fermented mushroom by-product and crude protein was 1.72%, in mushroom. Crude fiber content was less than 10% except the fungal body by-product. Mineral content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the fermented mushrooom with a value of 3,696.1 ㎎/100 g, and potassium was a predominant mineral in Pleurotus eryngii as well as its by-products. Amino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mushroom with a level of 989.59 ㎎/100 g.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fermented mushroom was the highest, and its m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exhibited 64.07±0.23% and 76.27±1.46% of scavenging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10 ㎎/㎖. Reducing pow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ermented mushroom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mushroom, mushroom by-product, and fungal body by-product. The reducing power of the water extract of fermented mushroom was the highest with a value of 2.22±0.03. SOD-like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samples except the fungal body by-product were higher than 50% at a concentration of 10 ㎎/㎖.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of the individual samples except the fungal body by-product were over 50%. Nitrite scavenging effects were better in pH 2.5 than in pH 4.0. While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were 42.93±1.71~72.97±2.18%, those of the water extracts were 57.66±1.80~81.07±0.81%.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fermented mushroom appeared to be the highest among the mushroom by-produc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an insight into utilization of the mushroom by-products as materials for functional foods and animal feed.

      • KCI등재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최선영(Sun-Young Choi),조현소(Hyun-So Cho),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8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전자공여 작용, 환원력, SOD 유사활성, TBARS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하여 항산화 기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ethyl acetate 추출물의 경우 전자공여 작용도 100㎍/mL 농도에서 79.2±0.06%로 BHT(74.1±0.15%)보다 더 활성이 높았고,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전자공여 작용과 환원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100 ㎍/mL 농도에서 ethyl acetate와 butanol 추출물에서 각각 25.1±0.41%와 20.2±0.13%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FeCl2와 CuSO4에 대한 항산화 활성도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ethyl acetate 추출물은 ascorbic acid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2.5에서 ethyl acetate(90.5±0.75%)>butanol(65.9±2.16%)>hexane(58.1±1.74%)>chloroform(55.4±1.02%)>water(40.9±0.35%) 추출물의 순으로 소거작용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머루 과피의 항산화 활성은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This study was worked out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skin by measuring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reducing power,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s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ethyl acetate extract, 54.4±1.18 ㎎/100 g and 645.1±5.05 ㎎/100 g, respectively. The EDA and reducing power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skin were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concentration and ethyl acetate extract (79.2±0.06%) showed the stronger than BHT (74.1±0.15%) at concentration of 100 ㎍/mL, especially. SOD-like ability of ethyl acetate (25.1±0.41%) and butanol (20.2±0.13%) extracts were stronger than other extracts at concentration of 100 ㎍/mL. TBARS of ethyl acetate extract was higher than ascorbic aci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skin (pH 2.5, 1,000 ㎍/mL) were in order of ethyl acetate (90.5±0.75%)>butanol (65.9±2.16%)>hexane (58.1±1.74%)>chloroform (55.4±1.02%)>water (40.9±0.35%).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skin was the highest in ethyl acetate extract from the results of our experiments.

      • KCI등재
      • KCI등재

        한약재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조희숙,이수정,신정혜,강민정,조현소,이현지,성낙주,Cho, Hee-Sook,Lee, Soo-Jung,Shin, Jung-Hye,Kang, Min-Jung,Cho, Hyun-So,Lee, Hyun-Ji,Sung, Nak-Ju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8

        항산화 활성이 높은 한약재 10종을 대상으로 9종의 조성물(PM-A-PM-I)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약재 조성물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모든 실험군에서 70%이상이었으며, 조성물 중 PM-D, PM-E 및 PM-F가 여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환원력도 전자공여능과 동일한 경향이었다. Hydroxyl radical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PM-D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M-E였 다. Linoleic acid 에 대한 자동산화 억제능은 PM-A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50%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M-E, PM-F에서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선복화가 첨가된 PM-D, PM-E, PM-F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9종의한약재 조성물의 항산화활성은 첨가된 한약재의 종류가 유사하였으나 PM-D, PM-E, PM-F 에서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인 것은 선복화의 작용이 컸던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한약재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간의 시너지 효과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The composites(PM-A-PM-I) of 9 groups containing 7 kinds of hot water extracted medicinal plants were produced and evaluated its antioxidative activity. Each medicinal plants used these composites were analyzed in primer research that its anti oxidative activity was high. In the composites of medicinal plant,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higher than 70% in all sample. PM-D, PM-E and PM-F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Reducing power have similar tendency to electron donating ability. PM-D was the strongest in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llowed by PM-E. In linoleic acid system, antioxidative activity of all sample was showed more than 50%, except PM-A. Especially PM-E and PM-F have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Nitrite scavenging effec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PM-D, PM-E and PM-F added to Inula Japonica Thunberg. I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of PM-D, PM-E and PM-F may be responsible for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present in Inula Japonica Thunberg. And thought to be enhanced by the synergy effect of the water extracted medicinal plants in the composite.

      • KCI등재

        곡물류와 홍삼분말 급여가 당뇨성 흰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손미예(Mi-Yae Shon),최선영(Sun-Young Choi),조현소(Hyun-So Cho),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9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식이를 개발할 목적으로 탈지시킨 곡물류 분말(대두 40%, 밀가루 30%, 보리 20%)과 홍삼분말 5% 및 밀가루 5%로 혼합한 바이오활성(BP)분말을 전체식이의 중량비로 40% 투여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쥐의 혈당강하 효과와 체내지질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SD계 웅성 흰쥐를 정상대조군, 당뇨대조군, BP분말 식이 당뇨군, 밀가루 식이 당뇨군 및 쌀가루 식이 당뇨군으로 나누어 5주간 급여하여 식이실험을 행하였다. 식이효율은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실험군에서 증가하였으며, BP 분말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5주간 식이 섭취에 따른 체중증가(75.1 vs. 29.3 g)와 혈당강하(270.1 vs. 541.7㎎/dL) 효과가 각각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p<0.05). 혈장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은 BP 분말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p<0.05), 다른 당뇨 식이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간에서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함량은 BP 분말군이 정상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당뇨 식이군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BP 분말을 흰쥐의 식이에 첨가하여 섭취시키면 혈당강하 효과와 체내 지질대사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eeding diets containing bioorganic power (BP) flour, wheat flour and rice flour on blood glucose and lipid leve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BP flour was composed with the mixture of defatted flour (16 g soybean, 12 g wheat, 8 g barley), 2 g red ginseng and 2 g whole wheat flour per 100 g diet.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non-diabetic normal and 4 diabetic groups containing control, 40% BP, 41.6% wheat and 41.6% rice flours with basal diet. BP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ody weight gain and decreased plasma glucose compared with the diabetic control, wheat and rice flour groups (p<0.05). Food efficiency ratio of diabetic ra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rat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plasma and atherogenic index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P, wheat and rice diabetic groups than diabetic control (p<0.05). The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liv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BP group as compared with the diabetic control, wheat and rice flour groups (p<0.05).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BP flour feeding improved plasma glucose level,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diabetic rats.

      • KCI등재

        염장조건이 굴비 가공 중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산화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

        강민정(Min-Jung Kang),박선영(Sun-Young Park),신정혜(Jung-Hye Shin),최덕주(Duk-Ju Choi),조현소(Hyun-So Cho),이수정(Soo-Jung Lee),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2

        굴비 가공 중 식염농도가 콜레스테롤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염장시간을 5시간과 5일로 달리하여 건조·저장한 후 콜레스테롤 및 그 산화물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생 시료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133.4±5.20 ㎎/100 g으로 정량되었으나 천일염으로 염장 후 콜레스테롤 함량은 5시간 염장하였을 때 130.3±2.95 ㎎/100 g, 5일간 염장한 시료에서 87.2±3.49 ㎎/100 g으로 염장시간에 따른 콜레스테롤의 감소가 현저하였으며 저장기간 동안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점차 감소하였다. 7-ketocholesterol은 5시간 및 5일간 염장 후 각각 75.2±2.70 ㎍/100 g과 82.4±3.30 ㎍/100 g으로 정량되었다. 5시간 염장시료는 건조 2일까지는 7-ketocholesterol의 함량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건조 5일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저장기간 동안에도 점차 증가하였다. 7α 및 7β-hy droxycholesterol은 생 시료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가공과정을 거치면서 점차 증가하였는데 7α-hydroxycholesterol의 함량은 저장 21일 후는 5시간 염장한 시료(658.1±6.20 ㎍/100 g)에서 5일간 염장한 시료(539.6±6.17 ㎍/100 g)보다 118.5 ㎍/100 g 더 많이 생성되었다. 7β-hydroxycholesterol도 염장 및 저장 기간에 따라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5일간 염장한 시료에서는 저장 7일과 14일 사이에 증가폭이 가장 컸다. Cholesterol and cholesterol oxide products (COPs) of Gulbi (Pseudosciaena manchurica) processed and stored at different salting times of 5 hours and 5 days were analyzed. The content of cholesterol was 133.4±5.20 ㎎/100 g in the fresh sample. Cholesterol content was decreased during salting and storage; its contents were 130.3±2.95 ㎎/100 g and 87.2±3.49 ㎎/100 g in 5 hours and 5 days salting samples, respectively. The content of 7-ketocholesterol in 5 hours and 5 days salting samples were 75.2±2.70 ㎍/100 g and 82.4±3.30 ㎍/100 g. The 7-ketocholesterol content of salting sample for 5 hours ha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for 2 days sun drying, but it was dramatically increased during 5 days sun drying and then increased during storage days. 7α- and 7β-hydroxycholesterol were not detected in fresh sample, but increased during Gulbi processing and storage. The 7α-hydroxycholesterol was increased during Gulbi processing and storage and a higher level of 658.1±6.20 ㎍/100 g was detected in 5 hours salting sample than in 5 days salting sample after 21 days storage. The 7β-hydroxycholesterol also showed similar tendency with 7α-hydroxycholesterol; it was largely increased between 7 and 14 days storage in 5 days salting sam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